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서산층군 함철규암의 쇄설성 저어콘에 대한 SHRIMP U-Pb 연대 :시대와 층서의 제한 | 조등룡 ;김용준 ;Richard Armstrong | pp.119-127 |
|
|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 좌용주 ;김건기 ;고석배 ;김종선 | pp.128-138 |
|
|
종묘 어도박석 화강암의 재질특성 연구 | 홍세선 ;윤현수 ;이진영 ;이병태 ;이효민 ;송치영 | pp.139-153 |
|
|
국내 석재산지의 지역별 분포유형과 특성 | 이춘오 ;홍세선 ;이병태 ;김경수 ;윤현수 | pp.154-16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1982) 한국동력자원연구소, | 미소장 |
2 | (1965) 서산지구철광상조사보고, | 미소장 |
3 | (1982) 서산층군의 층서 및 변성작용, | 미소장 |
4 | (1971) 동아의 선캠브리아계의 층서에 관하여, | 미소장 |
5 | (1996) 1:250,000 대전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 미소장 |
6 | (1989) 당진장고항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 미소장 |
7 | (1982) 한국동력자원연구소, | 미소장 |
8 | (2004) 저어콘 아입자분석을 위한 효율적인 광물분리 및 시료준비 방법, | 미소장 |
9 | (2003) 경기육괴 포천 지역의 흑운모 편마암과 우백질 화강암맥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측정 광역변성작용 연령 및 퇴적시기의 제한, | 미소장 |
10 | (2004) 옥천변성대 규장질 변성응회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 미소장 |
11 | (1982) Rb/Sr 연대측정 연구 서산화강편마암 및 화강암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조사연구보고 제13호, | 미소장 |
12 | (1995) 한국지질도 (1:1,000,000). , 한국자원연구소. | 미소장 |
13 | (1996) Collisional orogene between north and south China and its eastern ex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 미소장 |
14 | (2000) Early Proterozoic Granulites in Central Korea: Tectonic Correlation with Chinese Cratons, | 미소장 |
15 | (2006) Partial melting origin of Neoarchean migmatitte in Daeijak Island, South Korea: A preliminary study, | 미소장 |
16 | (2001a) SQUID 1.00: A user's manua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 미소장 |
17 | (2001b) User's manual for Isoplot/Ex, version 2.49: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 미소장 |
18 | (1992) A study on the metamorph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 Massif, | 미소장 |
19 | (2006) Spinel granulite in Odesan area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colli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in presss | 미소장 |
20 | (1996) Possible eastward extension of Chinese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the Imjingang belt, | 미소장 |
21 | (2003) Paleoproterozoic orogeny in South Korea: evidence from Sm-Nd and Pb step-leaching garnet ages of Precambrian basement rocks, | 미소장 |
22 |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r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s, Korea, | 미소장 |
23 | (1998) U-Th-Pb geochronology by ion microprobe. In: McKibben M.A., Shanks, | 미소장 |
24 | (1998) U-Pb geochronology of zircons from lunar breccia 73217 using a sensitive high mass-resolution ion microprobe, | 미소장 |
25 | (1993) An indentation model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an-Lu and Honam Fault System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