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확보를 통한 조화의 모색/박천오;주재현 1

〈요약〉 1

I. 문제의 제기 2

II. 정부관료제의 비민주적 속성과 정부관료제의 책임 및 통제 3

III.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확보방안 9

IV. 결론 22

참고문헌 25

Abstract 33

초록보기

20세기 중반 이후 정부관료제가 막강한 권력을 배경으로 정치적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회나 정치적 집행부가 이를 제대로 통제할 수 없는 현실은 정치적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을 야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확보를 통해 관료제와 민주주의 간의 조화를 모색하는 여러 제도적 방안들의 논리적ㆍ현실적인 가능성과 유용성 및 한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정부관료제의 정당한 역할(legitimate role)을 규명한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관료제 통제의 제도적 방안들은 관료들의 자기이익 추구활동과 재량을 허용하되 그것이 사회전체의 집합적 이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①대표관료제, ②다원주의적 조직편성, ③시민참여, ④성과주의 인사)과 관료들의 자기이익 추구활동과 재량을 제한함으로써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의 조화를 추구하는 접근(①관료행위지침 정교화, ②엽관인사, ③민간위탁)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정부관료제의 역할 증대가 민주주의 이념과 본질적으로 상충된다고 보거나 정부관료제를 사회적 부담으로 간주하는 기존의 가치전제에서 벗어나, 정부관료제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유익한 사회자산으로 적극 활용하려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가 주도 경제개발정책의 연속과 단절 :경제엘리트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승연 pp.11-32

보기
OECD 국가들의 발생주의 회계제도 도입요인에 관한 연구 임동완 ;문광민 pp.33-60

보기
바우처 분석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정광호 pp.61-109

보기
혁신체제 전환 과정에서 정부 역할과 정책 대응 :한국과 핀란드 사례 비교 성지은 ;송위진 pp.111-135

보기
정책네트워크 연구의 유용성과 사회연결망 이론 활용 방법의 고찰 고길곤 pp.137-164

보기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외부역량에 미치는 영향 :성남시 사례를 중심으로 윤두섭 ;오승은 pp.165-192

보기
시민참여 유형분류를 통한 참여 성과 분석 전영평 ;홍성만 ;김선희 pp.193-220

보기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확보를 통한 조화의 모색 박천오 ;주재현 pp.221-253

보기
검사주재 수사구조에서 수사경찰관의 역할갈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이환범 ;이수창 ;심덕보 pp.255-280

보기
정보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개인의 태도 및 행동 경로분석 박정훈 ;이숙현 pp.281-307

보기
하천 살리기 네트워크의 성공조건 :부산광역시 온천천과 동천 복원사례의 비교분석 김창수 pp.309-341

보기

참고문헌 (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is study seeks a legitimate role of bureaucracy on the assumption that bureaucracy is a crucial component of social capital needed for solving social problem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