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knowledge based economy requires more and more people to learn new knowledge and skills in a timely and effective manner. These needs and new technology such as computer and Internet are fueling a transition in e-learning. We did the case study of K company, which is leading the business to business e-learning in Korea. We investigated prior studies about e-learning and deduced the major variables composed of learner, tutor, infrastructure, contents, and practice. And then we suggested the successful way of doing the operation for the company's e-learning.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he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or consider the adoption of e-lear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SLA의 수행 단계별 성숙도가 SLA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기찬 ;김주희 pp.1-20

인터넷에서의 anchoring 효과 분석 :instant poll을 중심으로 김종진 ;양광민 pp.21-36

아키텍처 노력 도입 수준의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홍용덕 ;김성근 pp.37-55

성별 특성에 따른 무선인터넷 서비스 품질, 만족도, 추가사용 의도의 관계 분석 :휴대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임세헌 pp.57-74

중국 인터넷쇼핑몰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서창수 ;백춘호 ;서우종 pp.75-97

고객관계관리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 품질을 매개로 한동균 ;조성민 ;이선로 pp.99-116

가상기업의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박경혜 ;최세연 pp.117-135

회전 변환에 강인한 주파수 영역 로고 삽입 워터마크 방법 이인정 ;이 형 ;유혜림 ;민준영 pp.137-144

기업 이러닝의 성공적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K사를 중심으로 윤영한 ;박학범 ;권순동 pp.145-160

CRM에서 고객정보관리 활동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연구 이상곤 ;윤여중 pp.161-178

비자발적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심리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계정보시스템 사용자를 중심으로 장원경 ;김태균 pp.179-202

참고문헌 (5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미량, (2001.) 교육용 웹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의 개발 및 적용, 미소장
2 김성수, (2003.) Web-based HRM : e-Learning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전자상거래 지원센터 미소장
3 김현수, (1999) 가상교육의 핵심성공요인, 미소장
4 나일주, (2000) 기업교육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가상교육 플랫폼 모형 개발연구, 미소장
5 문남미, (2001) 지시기반 기업교육을 위한 e-Learning, 미소장
6 산업자원부 전자상거래총괄과, (2003) 2003년 e- Learning 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산업자원부 전자상거래총괄과 미소장
7 오인경, (2001.)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델에 따른 기업내 웹 기반 교육의 학습효과 평가 , 미소장
8 오인경, (1999) 기업에서의 웹기반연수, 교육과학사 미소장
9 유인출, (2001) 성공적인 e-Learning 비즈니스 전략, 이비컴 미소장
10 유일, (2003) 웹기반 온라인 기업교육의 성과에 관한 연구:L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미소장
11 유일, (2000) 학습자 원격교육시스템 이용의도와 성과에 관한 원격교육 자기효능감의 역할 , 미소장
12 윤영한, (2005) 충북의 e-Learning 산업 육성방안 , 충북개발연구원 미소장
13 이웅규, (2004) 가상강좌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소와 자기효능감, 미소장
14 이웅규 ; 이종규, (2006) e-Learning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미소장
15 정동섭, (2001.) 기업교육에 있어서 e-Learning 시스템 도입전략 , 미소장
16 정해용 ; 김상훈, (2002)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미소장
17 조은순, (2002) 최상의 학습 성과를 위한 e-러닝의 활용, 한국능률협회 미소장
18 Alavi, M. , (2001) Research Commentary:Technology-Mediated Learning:A Call for Greater Depth and Breadth of Research, 미소장
19 M, (1982.) Kirkpatrick’s Levels of Training Criteria:Thirty Years Later, 미소장
20 Aronauer, R., , (2006.) The Classroom vs. E-Learning, 미소장
21 Ayers, J, (1998) Testing a Refinement in an Intervention for Communication Apprehension, 미소장
22 Berry, J, (2000.) Traditional training fades in favor of e-Learning:Internet Economy Demands a more flexible training Approach, New York, NY: McGraw-Hill 미소장
23 Corlett D, (2005) Evaluation of a mobile learning organiser for university students , 미소장
24 T, (1990) Electronic Groups at Work, 미소장
25 Fuller, R. M, (2006) E-learning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The Role of Computer Anxiety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 미소장
26 Gartner, (2006) Hype Cycle for Software as a Service, 미소장
27 Garton, L. , (1995) Social Impacts of Electronic Mail in Organizations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미소장
28 Gist, (1988)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미소장
29 Hamel,G, (2000) Leading the Revolu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미소장
30 Hammond,D, (2001.) Reality bytes, 미소장
31 Hiltz, (1997)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As a Virtual Classroom , 미소장
32 Kettanurak, V, (2001) User Attitude as a Mediator of Learning Performance Improvement in an Interactive Multimedia Environment: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Degree of Interactivity and Learning Styles, 미소장
33 Kirkpatrick. D. L, San Francisco, CA:Berrett-Koehler Publishers 미소장
34 Lay, (1989)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미소장
35 Leidman M. W, (2003.) Key Elements of Online Learning University of Illinois, Illinois Online Network, University of Illinois 미소장
36 Leidner, D. E. , (1995)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Enhance Management School Education:A Theoretical View, 미소장
37 Markus, (1994) Electronic Mail as the Medium of Managerial Choice, 미소장
38 McAleese, (1980) The Impact of Technology on Higher Education . Aspects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XIV:Educational Technology to the Year 2000. New York:Kogan Page, 미소장
39 Peneder, M, (2001) Dynamics of initial cluster formation:the case of multimedia and cultural content in Innovative Clusters, 미소장
40 Petrides, L. A, (2002) Web-Based Technologies for Distributed Learning:Creating Learning-Centered Educational Experiences in the Higher Education Classroom, 미소장
41 Potashnik, M. , (1998) Distance Education: Growth and Diversity, 미소장
42 Rosenberg, M. J, (2001) e-Learning:Strategies for deliv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Y:McGraw Hill 미소장
43 Russell, D, (2003) Creating new learning communities:towards effective e-learning production, 미소장
44 Schwabe G. , (2005) Mobile learning with a mobile game: design and motivational effects, 미소장
45 L, (1986) Reducing Social Context Cues:Electronic Mail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미소장
46 Szabo, (1992) Two Decades of Research on Computer-Managed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on Computing in Education, 미소장
47 Travamaler, G, (2002)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Learning Pedagogical Considerations , 미소장
48 Urban, T. A. , (2000.) Corporate e-Learning:Exploring a new frontier, WR Hambrecht+ Co 미소장
49 Vician, C. , (2000) Unraveling the Message Quilt:A Case Study Examination of Student Interaction in Computer-Based Communication Assignments, 미소장
50 Walter, S. B, (1999.) e-learning:A Catalyst for competition in higher education, IMP 미소장
51 Wang, Y-S, (2002) Assessment of learner satisfaction with asynchronous electronic learning systems , 미소장
52 Wu, W. Y, (2002) An initial exploration into the structure of online learning in enterprises, 미소장
53 Zhang, D, (2004) Can e-Learning replace classroom learning?, 미소장
54 Ziegler, R, (2002.10) The Integration of e-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e-Learning,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