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설 문체론의 방법 탐구를 위한 물음들 禹漢鎔 pp.7-30

이태준의 문장론과 소설 기법 이익성 pp.31-45

이제하 소설의 서술 방식 연구 :<환상지(幻想志)>를 중심으로 정혜경 pp.46-59

매장하기와 글쓰기 :문체로 읽는 신경숙의 <배드민턴 치는 女子> 황도경 pp.60-75

1910년대 『매일신보』 연재소설의 문체변화 과정 ,1 :1910년대 전반기 작품을 중심으로 이희정 pp.76-93

이광수와 근대 우화의 소설적 전유 :『千眼記』와 『社會諷刺 銀파리』 이경돈 pp.94-108

여공의 신체에 새겨진 '화폐'의 초상 :채만식의 단편소설 <童話>와 <病이 낫거든>을 중심으로 김지영 pp.109-126

근대적 가족제도와 일제말기 여성담론 서영인 pp.127-141

손창섭 소설의 환상적 타자성 연구 :여성인물의 타자화 양상을 중심으로 양현진 pp.142-164

박상륭 소설 <유리장>의 인물 연구 유승현 pp.165-179

1970년대 한승원의 소설에 나타난 '바다'의 생태론적 의미 정연희 pp.180-193

「별사(別辭)」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연구 :문체 분석을 중심으로 정재림 pp.194-208

「혼불」의 여성독법과 여성적 글쓰기 이덕화 pp.209-224

오정희 소설의 서술전략 연구 :80년 이후 발표작을 중심으로 황영미 pp.225-240

윤림호 소설의 민족의식 표출양상과 의미 박지혜 pp.241-263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윤림호, (1984) 투사의 슬픔, 미소장
2 윤림호, (1992) 고요한 라고하, 미소장
3 고부응, (2003)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4 김승찬, (1997) 중국 조선족 문학의 전통과 변혁, 부산대출판부 미소장
5 서울시립대 인문화학연구소, (2005) 한국 근대문학과 민족-국가 담론, 소명출판 미소장
6 윤인진, (2004)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 출판부 미소장
7 이명재, (2004) 억압과 망각 그리고 디아스포라, 한국문화사 미소장
8 임계순, (2003)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미소장
9 최문규, (2003) 기억과 망각, 책세상 미소장
10 Bhabba, Homi K, (2003)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미소장
11 김형규, (2006.3) 중국 조선족 소설 연구의 현황과 현재적 의의, 미소장
12 민현기, (2003) 중국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개혁 개방’의 사회적 의미,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미소장
13 박상기, (2001) 탈식민주의의 양가성과 혼성성, 미소장
14 오양호, (2004) 중국조선족문학에 나타난 고향의식, 국제한인문학회 미소장
15 윤의섭, (2006.8) 중국 조선족 시 형성과정의 탈식민주의적 의미, 한중인문학회 미소장
16 이규태, (2001)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정, 재외한인학회 미소장
17 이소희, (2001) 호미 바바의 “제3의 영역”에 대한 고찰, 미소장
18 이시활, (2003) 韓中 현대문학에 나타난 고향의식 비교-현진건과 魯迅, 정지용과 戴望舒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미소장
19 소수적 문학으로서의 재중교포문학 소장
20 정덕준, (2003) 개혁개방 시기 재중 조선족 소설 연구-1976-1995년대 전반기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미소장
21 정지인, (2005) 조선족문학, 그 변두리 문학으로서의 특징과 정체성 찾기, 미소장
22 최병우, (2006.8) 고난의 년대의 탈식민주의적 연구, 한중인문학회 미소장
23 김동훈, (1984.1) 인간성의 탐구에서 제기되는 문제, 미소장
24 김원도, (1987.3) 작가의 비판적 의식과 개방적 자태, 미소장
25 림국웅, (1996) 윤림호, 그는 구경 무엇을 낚고 있는가?,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미소장
26 장학규, 윤림호 소설의 미, 륜리학적취향진단,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미소장
27 전철호, (1987.5) 작자 윤림호에게 하고 싶은 말, 미소장
28 조성일, (1985.1) 민요≪아리랑≫ 및 그 전설에 대하여,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