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Maggot therapy는 1900년대 초부터 압박성 욕창, 당뇨나 괴사에 의한 궤양, 수술 후 감염된 상처, 화상 등의 상처치료에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환부에 처리할 적절한 발육단계의 무균유충을 생산하고, 증식ㆍ보존용 계통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온도별(15.4, 20.6, 22.5, 26.2, 29.1, 33.0℃) 발육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배지(liver agar medium)에서 알기간과 1령 및 2령 기간은 33.0℃에서 각각 9.0시간, 14.0시간, 18.6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3령 기간과 번데기 기간은 29.1℃에서 각각 285.0시간과 171.0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온도별 발육기간을 기초로 각 발육단계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를 산출하였다. 암수 성충은 대개 1개월 이상 생존하였고, 암컷은 일평생 2.7회 산란하였으며, 총 338.5개의 알을 낳았다.

Maggot therapy (MT) has been re-introduced for non-healing wounds such as pressure sore, diabetic and necrotic ulcers, as well as infected surgical wounds, burn, and trauma injuries since early 1990s. For the production of sterile maggot of proper developmental stage, Lucilia sericata were studied on developmental periods of immature stages on liver agar medium under six different temperatures such as 15.4, 20.6, 22.5, 26.2, 29.1, and 33.0℃, and adult longevity and egg production under 29℃. The periods of eggs and larvae of the 1st and the 2nd instars were shortest at 33℃ by 9.0, 14.0 and 18.6 hours, respectively. The periods of the 3rd instar larvae and pupae were shortest at 29.1℃ by 285.0 and 171.0 hours, respectively. Developmental zero point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each stage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developmental periods. Adults of both female and male lived more than one month. Females laid an average of 338.5 eggs through 2.7 times of egg laying throughout her lifetim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Discovery of Pachynematus itoi Okutani (Hymenoptera: Tenthredinidae) infesting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from Korea Ji-doo Park ;Akihiko Shinohara ;Il-kwon Park ;Sang-chul Shin ;Bong-kyu Byun pp.1-4

Rediscovery of Tinea translucens Meyrick (Lepidoptera: Tineidae) infesting the stuffed mammal in Korea Seok Kim ;Yang-seop Bae pp.5-11

An aquatic moths, Elophila turbata (Butler,1881) (Lepidoptera, Crambidae, Nymphulinae) in Korea, with new host plants Jae-ho Jin ;Neung-ho Ahn ;Yang-seop Bae pp.13-18

광릉숲에서의 장수하늘소(딱정벌레목: 하늘소과) 서식실태 조사결과 및 보전을 위한 제언 변봉규 ;권태성 ;원갑재 ;조동광 ;이봉우 ;이유미 ;최혁재 ;김철학 ;이승환 ; pp.19-25

영남지방 지역 및 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소장 배순도 ;김현주 ;이건휘 ;박성태 pp.27-35

보리를 기주로 한 보리두갈래진딧물[Schizaphis graminum (Rondani)]의 생명표 김지수 ;이장호 ;김태흥 ;이상계 ;윤종철 pp.37-42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외부기생봉 굴파리좀벌(Diglyphus isaea)의 생태적 특성 및 저장 조건 구명 김정환 ;변영웅 ;김용헌 ;김황용 pp.43-49

벼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 및 산란반응 백채훈 ;최만영 ;서홍렬 ;김재덕 pp.51-56

생식형불일치 유형에 따른 국내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의 유전적 위치 박정아 ;김용균 pp.57-62

주요 작물 몇 가지 병해충에 대한 수익역치 추정 박홍현 ;예완해 ;박형만 pp.63-69

굴파리좀벌(Diglyphus isaea)을 이용한 시설재배 토마토 작형별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 밀도억제 효과 김정환 ;변영웅 ;이관석 ;김황용 pp.71-78

알락수염노린재의 알 기생벌 Trissolcus nigripedius의 지역적 분포와 다른 콩 노린재류에 대한 기생 임언택 ;박경수 ;알리 마흐무드 ;정철의 pp.79-85

실내조건에서 친환경농자재가 포식성 칠레이리응애, Phytoseiulus persimilis(Acari: Phytoseiidae)에 미치는 영향 강명기 ;강은진 ;이희진 ;이대홍 ;석희봉 ;김다아 ;길미라 ;서미자 ;유용만 ; pp.87-95

실내조건에서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Coleoptera: Coccinellidae)의 각 발육단계에 친환경농자재가 미치는 영향 강은진 ;강명기 ;이희진 ;이대홍 ;석희봉 ;김다아 ;길미라 ;서미자 ;유용만 ; pp.97-107

전남지역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Ampullariidae)의 발생생태 및 피해 김도익 ;김선곤 ;최경주 ;강범용 ;박종대 ;김정준 ;최동로 ;박형만 pp.109-115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Ampullariidae) 방제를 위한 오리 및 통발 이용 김도익 ;김선곤 ;최경주 ;강범용 ;김정준 ;박형만 pp.117-122

뒤영벌 인공수정기 개발 윤형주 ;조영희 ;Boris Baer pp.123-129

곤충 장내미생물로부터 lipase 생산능력이 우수한 Burkholderia sp. HY-10 균주의 분리 및 특성 박두상 ;오현우 ;배경숙 ;김향미 ;허선연 ;김남정 ;설광열 ;박호용 pp.131-139

온도별 구리금파리(Lucilia sericata)의 발육 김현철 ;김수정 ;윤지은 ;조태호 ;최병렬 ;박정규 pp.141-145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알팔파바구미의 감수성 실내 검정 김형환 ;한건영 ;박정찬 ;추호렬 ;조성래 ;이흥수 ;이동운 ;박정규 pp.147-151

콩포장에서 노린재류의 밀도조사법 개발 배순도 ;김현주 ;이건휘 ;박성태 pp.153-158

영남지방내 완두콩바구미의 발생 및 약제방제 효과 김현주 ;배순도 ;이건휘 ;박성태 ;박정규 pp.159-164

고구마 재배지 주요 굼벵이 발생양상 및 피해 백채훈 ;이건휘 ;최만영 ;김두호 ;최동로 ;서홍렬 pp.165-168

둥근마(Dioscorea bulbifera)를 가해하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 HSC)의 cytochrome oxidase subunit Ⅱ(COII) 염기서열 분석 한상찬 ;강상진 ;김용균 pp.169-173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4) Detection and partial characterisation of two antibacterial factors from the excretions/secretions of the medicinal maggot Lucilia sericata and their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미소장
2 (1995) Larvatherapy-bio-surgery, 미소장
3 (2006) Growth rates of the blowfly, Lucilia sericata, on different body tissues, 미소장
4 (2001) Effect of temperature on Lucilia sericata (Diptera: Calliphoridae) develop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somegalen- and isomorphen-diagram, 미소장
5 (1991) Flies as forensic indicators, 미소장
6 (1979) Ecology and control of flies, 미소장
7 (1976) Maggor therapy for subacute mastoiditis, 미소장
8 (2001) On the flies collected from Mt. Geonheung and Landfill, Geochang-gun, Gyeongnam, Korea and their seasonal prevalence, 미소장
9 (2001) Clinical applications for maggots in wound care, 미소장
10 (2006) Maggot therapy: The science and implication for CAM. Part II-Maggot combat infection, 미소장
11 (1998) On the flies collected in a seaside, Songna-myon, Pohang, Korea and their seasonal prevalence, 미소장
12 (2004) The successful use of maggots in necrotizing fasciitis of the neck: A case report, 미소장
13 (1988) The use of maggots in wound debridement, 미소장
14 (1991) Maggot therapy for treating pressure sores in spinal cord patients, 미소장
15 (1996) Maggot therapy for venous stasis ulcers, 미소장
16 (2000) Medicinal maggots: an ancient remedy for some contemporary afflictions, 미소장
17 (1993) The reproductive output of the blowfly Lucilia sericata, 미소장
18 (2001) Pre-adult mortality in the blowfly Lucilia sericata, 미소장
19 (1933) bacteriological and clinical study of larval or maggo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pyogenic infection, 미소장
20 (2003) Maggot therapy for wound debridement in a traumatic foot-degloving injury: A Case Repor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