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글 캘리그래피의 디지털 폰트화를 위한 모듈에 관한 연구 / 김묘수 ; 김지현 1

[Title] 1

ABSTRACT 3

요약 3

1. 서론 4

1.1. 연구목적 4

1.2. 연구방법 및 범위 4

2. 한글 타이포그래피 4

2.1.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발달과정 4

2.2. 한글 글꼴의 구조적 특성 5

2.3. 한글글꼴의 조형적 특성 5

2.4. 한글 글꼴의 개발 현황 5

3. 캘리그래피 6

3.1. 캘리그래피(Calligraphy)의 정의 6

3.2. 한글 캘리그래피의 현황(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6

3.3. 디지털 캘리그래피의 개발사례 및 특징 7

4. 한글 캘리그래피의 타이틀용 디지털 폰트화 8

4.1. 기존 영화타이틀용 캘리그래피와 디지털 캘리그래피와의 가로, 세로폭의 비교분석 8

4.2. 타이틀용 캘리그래피를 위한 제안 및 적용사례 10

4.2.1. 폰트화를 위한 모듈구성 10

4.2.2. 모듈 적용사례 11

5. 결론 12

참고문헌 12

초록보기

한글은 훈민정음 창제당시 기하학적인 형태의 글꼴에서 시작하여 여러 환경과 과정 속에 글꼴의 모습이 다양해져왔다. 이제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 환경으로 손으로 쓰던 시대를 거쳐 컴퓨터 자판을 이용하여 글자를 ‘치는 시대’가 되었다. 컴퓨터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컴퓨터를 통하여 폰트화 되어 있는 한글 글꼴을 접할 수 있으며, 이제는 그 폰트의 선택, 사용 또한 사용자의 몫이 되었다. 요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캘리그래피는 단순히 기존의 정형화된 네모틀 서체에서 탈네모틀 글자꼴로의 구조 변화만이 아닌 글자를 쓰는 도구와 더불어 글자를 쓰는 사람의 감정을 담아낼 수 있는 감성적 글꼴로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캘리그래피의 활용은 영화 타이틀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아직까지 캘리그래피는 이미지화 된 캘리그래피일 뿐 컴퓨터상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글꼴은 아니다. 이러한 글꼴이 글자를 쓰는 사람의 정서와 개성만을 담은 예술로서의 작품이 아닌 손쉽게 응용하여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서체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고, 컴퓨터 상에서 좀더 다양하면서도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도록 타이틀용 폰트로의 제작 또한 현 시대에 필요한 일이라 판단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붓글씨로 사용된 캘리그래피의 영화 타이틀을 조사 분석하여 캘리그래피의 디지털 폰트화를 위한 탈네모틀의 조합형 모듈을 만들고, 현재 필사체 폰트에서 확장된,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에 적합하고, 사용자가 그 목적에 따라 직접 글자꼴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캘리그래피의 디지털 폰트로의 구현 방법을 제안하였다.

Starting with the geometrical characters at the time of the birth of Hunmingungem, Hangeul has varied with diverse characters through various environments and processes. After the days of handwriting, the era of "hitting" the characters on the keyboard has come by the distribution of the personal computers and the Internet. Whoever uses a computer can get access to many types of Hangeul fonts, and now the choice and usage also have become in charge of the user.Calligraphy, which is attracting many people's attention nowadays enables not only to simply vary the existing fixed square-framed characters to off-square-framed ones structurally but also to express sentimentally the characters and the user's emotions. While such application can be frequently observed in movie titles, the present calligraphy is mere the image but not the characters able to be employed for computers freely. The production of the fonts for titles is considered to be needed also in this era so that such characters not simply remain as an art work containing the writers' sentiment and personality but settle as a new type of digital characters and can be embodied by computer more variously and naturally.Therefore, this study is suggesting a method for embodying digital fonts of calligraphy, which researches and analyzes the movie titles of the calligraphy performed by writing brush to make off-square-framed combination modules for calligraphic digital fonts, and is extended from the present script fonts, fits the user's needs and demands and enable the user to construct characters for his(her) own purpos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종이 상자 구성요소를 통한 자아 연상이미지의 조형화 과정 연구 김형길 pp.1-11

보기
리액티브 옵아트와 선택적 조형에 관한 연구 :예술과 기술,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결합에 대한 관점에서 이봉희 ;오승환 pp.13-23

보기
제품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휴대폰 브랜드 S사 애니콜의 조형 요인을 중심으로 인치호 ;이소현 pp.25-35

보기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환경디자인 연구 임은영 pp.37-47

보기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구조에 관한 연구 김건우 pp.49-57

보기
개념미술의 방법적 특성을 통해 본 개념적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인성 pp.59-69

보기
변화기 공격적 경영전략으로써 이미지 툴 필요성 명광주 pp.71-81

보기
디자인 큐레이팅에 관한 연구 :디자인 박물관 및 갤러리 중심으로 박선욱 pp.83-93

보기
가현운동원리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상현 ;조 열 pp.95-107

보기
오토 노이랏(Otto Neurath)과 정보디자인 교육의 방향 이주훈 pp.109-118

보기
한글 캘리그래피의 디지털 폰트화를 위한 모듈에 관한 연구 김묘수 ;김지현 pp.119-131

보기
미술공예운동과 모던 및 포스트모던디자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동하 pp.133-142

보기
몰입형 VR 기반의 디자인 환경 구축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김홍배 pp.143-155

보기
조형기호의 의미중첩성에 관한 연구 :뉴디자인의 레디메이드와 초현실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박경애 pp.157-167

보기
화가의 신체 체험에 관한 연구 :1945년 이후 1970년대까지의 신체 표현을 중심으로 박소영 pp.169-178

보기
기계의 속도와 느림의 의미에 대한 연구 윤희수 pp.179-189

보기
일본 현대 박람회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이낙현 pp.191-201

보기
디자이너로서의 세종과 디자인으로서의 한글 이혜숙 ;김인철 pp.203-214

보기
CTP(Computer to plate)환경에 따른 Color management system(CMS)에 관한 연구 최태선 pp.215-226

보기
전통공간에서 나타나는 진입에 의한 전이 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숙 pp.227-236

보기
IIDA award winners들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정 ;한민정 pp.237-246

보기
판재 성형에 의한 제품조형 연구 :색채선별기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김시만 pp.247-256

보기
공예문화마케팅을 위한 디자인 경영과 성공사례 :가나아트, 청주공예비엔날레 디자인 경영 성공사례중심으로 민숙현 pp.257-266

보기
현대 산업직물에 나타난 소재표현의 조형적 다양성 연구 박남성 pp.267-278

보기
시리즈 광고의 시각적 상이성과 동일성 및 관여정도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박인성 ;차명호 pp.279-289

보기
재활용 오브제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송록영 pp.291-299

보기
노만 맥라렌의 animated sound에 대한 연구 유영재 pp.301-311

보기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대응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윤석영 ;김 민 pp.313-323

보기
韓國 傳統建築空間에 나타난 造形要素의 美的 特徵에 관한 硏究 이미영 pp.325-337

보기
굿디자인 선정제품이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연차 ;전종찬 pp.339-350

보기
서양복 장식의 초기 유형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최해주 pp.351-363

보기
상감청자 운학문매병의 비례미 연구 김석호 ;이승용 pp.365-375

보기
17세기, 18세기 유럽 화예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나선영 pp.377-387

보기
사천왕상전(四天王像塼)에 부조된 주형양식의 상징성 유홍도 pp.389-399

보기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recycle design 방안에 관한 연구 :세발자전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병훈 pp.401-411

보기
내러티브 광고의 구조기호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 정혜욱 pp.413-424

보기
도예교육을 통한 공방시스템의 발전에 관한 연구 곽태영 pp.425-435

보기
글로벌 기업의 효율적 e-business를 위한 웹 아이덴티티 구축 사례에 관한 연구 :글로벌 레저 스포츠 기업의 WI를 중심으로 김기현 pp.437-448

보기
접목학문 이론에 기초한 영상 디자인 연구 김성호 ;김근한 pp.449-459

보기
한국적 디자인의 可能性으로서의 諧謔에 관한 연구 김은주 ;정성환 pp.461-471

보기
디자인발상의 발명가능성 탐색 연구 이길순 pp.473-483

보기
문화재 디지털 복원을 통한 디지털 문화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전주 경기전(慶基殿)을 중심으로 박소연 pp.485-495

보기
원시신화로 본 고대 크레타 '뱀 여신'상 복식조형의 상징 연구 서명자 ;강병석 pp.497-507

보기
제품에 있어서 'design personality'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연구 이희명 ;유창국 pp.509-518

보기
A study on virtual character for successful e-commerce :focused on AVATA Jihee Lee pp.519-532

보기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기초조형 요소의 적용 사례 연구 최진식 pp.533-542

보기
평면구성에 있어서의 동세 표현의 연구 森竹巳 pp.543-554

보기
平面構成における動勢表現の硏究 森竹巳 pp.555-565

보기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지현, (1998) 타입과 타이포그래피, 임프레스 미소장
2 김진평, (1986) 한글의 글자 표현, 미진사 미소장
3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000) 한글글꼴용어사전, 한글 글꼴 개발원 미소장
4 윤영기, (1999) 한글 디자인, 도서출판 정글 미소장
5 서승연, (2004)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안그라픽스 미소장
6 정종화, (1993) 한국의 영화 포스터Ⅰ, 범우사 미소장
7 정종화, (1993) 한국의 영화 포스터Ⅱ, 범우사 미소장
8 정종화, (2000) 한국의 영화 포스터Ⅲ, 범우사 미소장
9 Philip B. Meggs, (2003)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 미진사 미소장
10 고 김진평 교수 추모 논문집 발간위원회, (1999) 한글 조형 연구, 미소장
11 김민정, (1997) 한글 글자꼴 개발을 위한 연구, 미소장
12 김성학, (1995) 새한글 폰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한글 폰트 디자인-, 미소장
13 김연수, (1999) 한글 폰트형태의 분류체계 연구-개발 방향을 중심으로, 미소장
14 김혜숙, (1997) 한글 손글씨의 Font화에 관한 연구-한글 가로쓰기를 중심으로, 미소장
15 박수진, (2004) 영화 포스터의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미소장
16 백인숙, (1999) 디지탈 폰트의 발전 방향에 대한연구-한글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미소장
17 심진수, (1996) 캘리그래피 개념의 한글 적용에 관한 연구, 미소장
18 안호정, (2003) 영화 포스터에 나타난 타이틀 로고에 관한 연구, 미소장
19 정원일, (1992) 현대 그라픽 디자인에서의 캘리그래피적 표현과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주리나, (2003) 시각 디자인 요소로서의 한글 캘리그래피 활용에 관한 연구, 미소장
21 최경자, (1991) 한국 영화 포스터의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2002.8) film 2.0 ,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