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탈성리학적 정치론 : 황종희(黃宗羲), 오규 소라이(荻生조徠), 정약용 / 김대중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民昌社, 2007.06.30
수록지명
韓國實學硏究. 제13호 (2007년 6월), pp.211-26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7136349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탈성리학적 정치론 : 황종희(黃宗羲), 오규 소라이(荻生조徠), 정약용 / 김대중 1

국문요약 1

1. 문제제기 3

2. 탈성리학적 정치론의 특징 8

1) '공적 영역'에 대한 새로운 자각 8

2) '민'(民)에 대한 태도의 문제 22

3. 탈성리학적 정치론의 인간학적 토대 31

4. 전망과 앞으로의 과제 48

〈참고문헌〉 51

Abstract 54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는 황종희(黃宗羲, 1610~1695), 오규 소라이(荻生徠, 1666~1728),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정치론을 비교한 연구이다. 전근대 동아시아의 정치론이 공유한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그 사상적 모색의 공통성과 개별적인 차이는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이 비교의 목적이다. 본고는 우선 공적 영역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 이들의 공통된 문제의식을 구성한다고 파악하고, 여기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했다. 소라이는 사적인 정분 관계에 입각한 의리가 국가의 정치 영역에 개입되는 것을 끊고, 그와 구분되는 정치적 논리를 중시했다. 여기에 비해 황종희와 정약용에게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일정하게’ 구분되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절연하게’ 구분된 것은 아니다. 시각을 바꾸어 그 ‘공적 영역’의 ‘정치’와 ‘제도’가 결국 누구를 위한 것인지를 기준으로 놓고 보면, 황종희와 정약용이 정치의 중심에 ‘민’을 둔 것과 달리 소라이가 철저하게 발견해낸 그 ‘정치’란 것은 결국 ‘민’에 대한 ‘통치술’로 귀결된다. 이들 정치론 사이의 이런 중요한 차이점은 근본적으로 인간학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이들의 인간학은 모두 윤리 도덕의 ‘선험성’보다 ‘실천’을 중시하는 쪽으로 정향되었다는 점에서는 서로 유사하다. 그러나 황종희와 정약용의 인간학이 인간을 ‘도덕적 주체’로 정립해 나간 데 반해 소라이의 인간학은 인간의 내면성과 도덕성을 소거하고 오로지 ‘외재적 규율’에 의해 제어되는 ‘타율적이고 몰주체적인 인간상’을 세웠다. 이런 인간학의 차이가 이들 정치론의 차이를 근본적으로 규정해주고 있는바, 황종희와 정약용의 정치론과 달리 소라이의 정치론에는 ‘인간적 가치’와 인간의 ‘내면적 요청’이 실현될 여지가 없거나 혹시 있더라도 지극히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Post-Sung-Confucian Political Thoughts Considered In East Asian Perspectives-Huang Zong-Xi, Ogiu Sorahi and Cheung Yak-Yong攀* Process of philosophy,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攀攀Kim, Dae-Joong*This thesis is a comparative research into the political perspectives of Huang Zong-Xi(黃宗羲, 1610~1695), Ogiu Sorahi(荻生徠, 1666~1728) and Cheung Yak-Yong(丁若鏞, 1762~1836). I focuss on not only what premodern East Asia had shared with in the politics but also what is the commonality and individuality among the approaches of them. As a starting point, I discuss a new approach to public sphere with which they share in politics. Sorahi radically destroyed the continuity between a private and a public sphere. Rather, he emphasized on the superiority of the public sphere. Both Huang and Cheung, in conrast, did not try to see a clear-cut dichotomy between the two parts, yet still remained within the division of the two spheres. However, if we ask a question of for whom the politics and social system contributed, a potential answer is that both Huang and Cheung focuss on the people at the center of their politics, while Sorahi goes beyond the concept of the public, extending his political view into a strategy of ruling. I think that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points of views among them are fundamentally drawn from those of humanics. They all agree in humanics that a practical side in ethics is more important than a transcendental one. While the humanics of Huang and Cheung attempted to shed light on a human being as a ethical subject, Sorahi's stood fast his belief only in a dependent, non-subjective human, governed by the external principle. Therefore, unlike Huang and Cheung, Sorahi did not try to seek a possibility in that not only human values but also inner desires of human beings are achiev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이해 :다산 정치학과 관련하여 임형택 pp.7-3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다산 예론(禮論)의 실천적 함의 박종천 pp.39-7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고례(古禮) 중심의 예교(禮敎) 사상과 그 경학적 토대에 대한 고찰 :다산의 『상의절요(喪儀節要)』와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동우 pp.77-13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다산의 '윤집궐중(允執厥中)'론 백민정 pp.133-16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다산 정약용(丁若鏞)의 세계관 :인륜세계 실현의 이론적 기초에 대한 탐구 한정길 pp.169-20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탈성리학적 정치론 :황종희(黃宗羲), 오규 소라이(荻生조徠), 정약용 김대중 pp.211-26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권근(權近)의 경전 이해와 후대의 반향 이봉규 pp.267-30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대학사변록(大學思辨錄)」에 대한 재검토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의 주자주(朱子註)에 대한 비판적 고찰의 의미를 중심으로 강지은 pp.303-33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문인화관 연구 :남종문인화의 수용을 중심으로 정혜린 pp.333-36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조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 :특히 『관자(管子)』와 『노자(老子)』의 독법과 관련하여 심경호 pp.365-40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의 실심적(實心的) 실학관 장병한 pp.407-42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與猶堂全書, 한국문집총간 281. 미소장
2 『孟子要義』與猶堂全書本 미소장
3 『大學公議』『與猶堂全書』二集, 한국문집총간 282 미소장
4 『中庸講義』『與猶堂全書』二集,한국문집총간 282 미소장
5 『心經密験』『與猶堂全書』二集,한국문집총간 282. 미소장
6 『牧民心書』『與猶堂全書』五集, 한국문집총간 285 미소장
7 『經世遺表』『與猶堂全書』五集, 한국문집총간 285 미소장
8 민족문화추진회 편,『국역 다산시문집』5,서울: 솔출판사, 1983 중판1쇄 1996 미소장
9 『역주 맹자요의』, 현대실학사, 1994. 미소장
10 『譯註 牧民心書』, 丁若鏞 著, 茶山研究會 譯註, 創作과批評社, 1978. 미소장
11 『국역 경세유표』,민족문화추진회, 1977 미소장
12 『明夷待訪錄』 沈善洪 主編, 『黃宗義全集』第1冊, 杭州: 浙江古籍出版社, 2005. 미소장
13 『孟子師說』 沈善洪 主編, 『黃宗義全集』第1冊, 杭州: 浙江古籍出版社, 2005 미소장
14 『南雷詩文集』 沈善洪 主編, 『黃宗義全集』第10冊, 杭州: 浙江古籍出版社, 2005 미소장
15 "명이대방록", 한길사, 2000 미소장
16 『新譯明夷待訪錄』, 臺北: 三民書局, 2001. 미소장
17 『政談』 吉川幸次郞 • 丸山眞男 • 西田太一郞 • 辻達也 校注,『荻生徂徠』, 日本思想大系 36, 東京: 岩波書店, 1973 미소장
18 『政談』 吉川幸次郞 • 丸山眞男 • 西田太一郞 • 辻達也 校注,『荻生徂徠』, 日本思想大系 36, 東京: 岩波書店, 1973 미소장
19 徂徠先生答問書(荻生徂徠全集 第1巻, みすず書房, 1973). 미소장
20 『徂徠集』 近世儒家文集集成 第三卷,東京: ぺりかん社, 1986 미소장
21 ,『荻生徂徠』, 尾藤正英 責任編集, 日本の 名著 16, 東京: 中央公論社, 1974 미소장
22 「정다산의 서학사상」, 『정다산과 그 시대』, 민음사, 1986. 미소장
23 黃宗羲의 氣哲學 소장
24 도와 덕: 다산과 오규소라이의 ≪중용≫·≪대학≫ 해석, 이끌리오, 2004. 미소장
25 다산『논어고금주論語古今注』에 수용된 훤원학파蘐園學派 논어설 소장
26 근세 동아시아의 개혁사상 , 논형, 2003. 미소장
27 2010. 『한국정치사상사』. 서울: 삼영사. 미소장
28 (2003). 운화와 근대, 돌베개. 미소장
29 (2005), 「『목민심서』를 통해 본 지방행정의 개혁」,『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파주: 돌베개. 미소장
30 사서四書 해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정치론 소장
31 특집 : 다산의 경세학 ; 다산의 인간관계 범주구분과 사회인식, "다산학", 다산학술문화재단, 2003, 4, 8~53 미소장
32 (2000),「정약용의 민주적 정치사상의 이론적 •현실적 근저」, 『실사구시의 한국학』, 서울: 창작과비평사 미소장
33 (2005a),「정약용의『주례』연구와 개혁사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한국 중세의 정치사상과 주례』연세국학총서 68,서울: 도서출판... 미소장
34 기호남인계 실학과 일본 고학(古學)의 비교 : 『논어고금주』에 나타난 정약용과 다자이 순다이(太宰春臺)의 견해를 중심으로 소장
35 朝鮮後期 實學者의 日本觀 硏究 소장
36 특집 : 다산학의 국제적 지평 ; 정약용(丁若鏞)과 오규 소라이(荻生조徠)의 경학사상 비교 연구, "다산학", 다산학술문화재단, 2002, 3, 112~143 미소장
37 “실학연구의 어제와 오늘”,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서울: 푸른역사,2007). 미소장
38 (2001), 「黃宗義的人生定位與文化選擇」, 陳平原 等 編,『晚明與晚淸』,武漢: 湖北敎育出版社 미소장
39 (2006), 『黃宗羲心學的定位』, 杭州: 浙江古籍出版社. 미소장
40 (2005),『日本近世儒學家荻生徂徠』,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미소장
41 (1994), 一本萬殊, 人民出版社. 미소장
42 (2005),『困境與轉型-黃宗義哲學文本的一種解讀』, 北京: 人民出版社 미소장
43 《明淸之際士大夫硏究》.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9. 미소장
44 (1994), 「淸初經世實學與丁若鏞的實學思想」,『中國實學思想史』下, 北京: 首都師範大學出版社 미소장
45 (2004),『明淸浙東學術文化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미소장
46 (1980),『中國前近代思想の屈折と展開』,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김용천 옮김,『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서울: 동과서,1999. 미소장
47 (1995) . 『中國の公と私』. 硏文出版. 정태섭•김용천 옮김(2004) . 『중국의 공과 사』. 신서원 미소장
48 (1985),『近世日本社會と宋學』,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박홍규 옮김,『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 서울: 예문서원, 2007 미소장
49 "日本 封建思想史 硏究", 靑木書店, 1990 미소장
50 (1990),「荻生徂徠の公私觀と政治思想」,日本思想史學會編,『日本思想史學』第22号 미소장
51 『徂徠學と反徂徠』, ペリカン社, 1994. 미소장
52 (1995),『德川思想小史』, 東京: 中央公論社 박규태 • 이용수 옮김,『도쿠가와 시대의 철학』, 서울: 예문서원,2000 미소장
53 「事件」としての徂徠学, 青士社, 1990. 미소장
54 (2002),『鬼神論』, 東京: 白澤社 이승연 옮김,『귀신론』,서울: 역사비평사, 2006. 미소장
55 (1991),『徂徠學の世界』,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56 『日本政治思想史研究』, 東京大學出版會,1952. 미소장
57 "日本政治思想史硏究", 통나무, 1995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