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멀티미디어로서의 '보이는 라디오' : 재매개, 다중감각양식, 그리고 미디어 경험 / 이재현 1

[요약] 1

1. 문제제기 2

2. '보이는 라디오'의 재매개와 혼종성 4

1) '보이는 라디오'의 재매개와 미디어 연계 4

2) '보이는 라디오'의 혼종성 7

3. '보이는 라디오'의 미디어 다중성과 다중감각양식 9

1) '보이는 라디오'와 미디어 다중성 9

2) '보이는 라디오'와 다중감각양식 11

4. '보이는 라디오'와 미디어 경험 14

1) '보이는 라디오'의 듣기와 보기: 탈어쿠스마틱 청취 14

2) 탈어쿠스마틱 청취와 사운드로부터의 이탈 15

3) '보이는 라디오'의 조작성과 사운드로부터의 이탈 18

5. 맺음말: '보이는 라디오'의 정체성 20

참고문헌 22

[요약] 25

초록보기

본 논문은 인터넷 라디오의 한 형태인 ‘보이는 라디오’의 특성을 재매개, 감각양식, 그리고 미디어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보이는 라디오’는 기존의 어떤 미디어들을 재매개하였으며, ‘보이는 라디오’는 어떤 미디어들과 연계되는가, 그리고 재매개와 연계가 갖는 함의는 무엇인가? 둘째, 재매개를 통해 성취된 ‘보이는 라디오’의 미디어다중성(multimediality)과 다중감각양식(multi-sensory modalities)의 구체적 양상은 어떠한가, 그리고 그런 속성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보이는 라디오’ 청취 또는 이용은 미디어 경험 또는 사운드 청취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라디오 경험과 어떻게 다른가? 마지막으로 ‘보이는 라디오’의 정체성은 결국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보이는 라디오’라는 하나의 미디어를 다양한 수준에서 고찰함으로써 현대 멀티미디어 일반에 대한 이해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visible radio as a new form of Internet radio. Firstly, it is explained which media conventions visible radio does remediate and which media it is connected with. In this regards, visible radio can be called as ‘crystallizations’ of remediations and media connections. Secondly, visible radio shows multimedality and multi-sensory modalities which are the typical traits of multimedia. Thirdly, this paper aims to reveal to what extent and in what aspect experiences of visible radio are different with those of traditional radio. Visible radio is arguably defined as experience of ‘disacousmatic listening’ which results in displacement of sound immersion. Finally, the identity of visible radio is briefly discussed. This exploratory study on visible radio hopes to offer some basis for understanding modern multimedia in genera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왜 나는 스파이더맨을 좋아하는가 :자기민속지학 방법의 모색 주형일 pp.2-36

보기
디지털사회, 소통의 문화 :디지털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논고 김예란 pp.39-70

보기
멀티미디어로서의 '보이는 라디오' :재매개, 다중감각양식, 그리고 미디어 경험 이재현 pp.71-95

보기
텍스트로서의 게임, 참여자로서의 게이머 :디지털게임의 문화연구적 접근 윤태진 pp.96-130

보기
Strange sympathies :horizons of media theory in America and Germany John Durham Peters pp.131-152

보기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5) 소리의 문화사: 축음기에서 MP3까지, 서울: 살림 미소장
2 (2005a)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3 (2005b)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4 (1995) ≪聲の資本主義≫. 東京: 講談社, 서울: 이매진 미소장
5 (1998) Point-of-listening in radio plays, 미소장
6 (2002) The ‘Death of Radio’?: An essay in radio-philosophy for the digital age, Electronic Book 미소장
7 (2006) The desire for transparency in an era of hybridity, 미소장
8 (2000) Sounding out the city: Personal stereos and the management of everyday life, Oxford: Berg 미소장
9 (19902003) 영화의 소리와 영상≫, 미소장
10 (2006) New media, old media: A history and theory reader,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11 (2002) Digital hybridisation: A technique, an aesthetic, 미소장
12 Multimedia in High Gear 네이버 미소장
13 (2003) Digitextuality and click theory, London: Routledge 미소장
14 (1994) Creating multi-sensory images for the mind Journal of Visual Literacy, 미소장
15 (2002) Auditory perception and sound as event: Theorising sound imagery in psychology, 미소장
16 (2003) The virtual window, Cambridge, MA: MIT Press 미소장
17 (1979)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미소장
18 (19662001) Also published as Higgins with an Appendix by H, 미소장
19 (2000) Convergence? I diverge, 미소장
20 (2003) Encyclopedia of new media: An essential reference to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Thousand Oaks: Sage 미소장
21 (2001) The language of new media, Cambridge, MA: MIT Press 미소장
22 (2004) New media cultures, London: Arnold 미소장
23 (1964) The extensions of man, MIT Press 미소장
24 (19821996)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미소장
25 (2003) Sen()ble intermediality and Interesse: Toward an ontology of the in-between, 미소장
26 (2006) Dialogism, intermediality and digital textuality, 미소장
27 (2001) Web radio: Radio production for Internet streaming, Oxford: Focal Press 미소장
28 (2003) Smart mobs: The next social revolution,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29 (1996) Acousmatics, New York: Continuum 미소장
30 (1977) Our sonic environment and the tuning of the world, 미소장
31 (1997) The aesthetics of music, Oxford: Clarendon Press 미소장
32 (2001) Sensory modalities are not separate modalities: Plasticity and interactions, 미소장
33 (2002) Embarking on multimodal interface design, Pittsburgh, USA 미소장
34 (2003) Becoming mobile: SMS and portable text, 미소장
35 (2006) Hybridity: Arts, sciences and cultural effects, 미소장
36 (2000) The need for radio theory in the digital age, 미소장
37 (2003) Rethinking media change: The aesthetics of transition, Cambridge, MA: MIT Press 미소장
38 (1996) Introduction: Ekphrasis, iconotexts, and intermediality-the state(s) of the art(s), Berlin: Walter de Gruyter 미소장
39 (2006) Multimediality, intermediality, and medially complex digital poetr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