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 적 : 맥파 속도는 동맥 경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이다. 비만은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하여 동맥 경직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소아 비만에서 맥파 속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저자들은 비만 청소년에서 비만이 맥파 속도와 발목 상완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군은 15-16세 사이의 체질량지수가 85-95 백분위수 사이인 비만 위험군 청소년 40명(남자 22명, 여자 18명)으로 하였고, 2군은 체질량지수가 95백분위수 이상인 비만 청소년 39명(남자 26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청소년 99명(남자 54명, 여자 4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신장,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였고, VP-1000 기기(Colin Medical Technology Company, Komaki, Japan)를 이용하여 사지 수축기, 이완기, 평균 혈압, 양측 맥파 속도,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 박출 시간, 전구출기를 측정 후 비교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와 좌우 상완-발목 맥파 속도,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 혈압을 비교 분석하였고, 각 변수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우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1군(944.8 cm/sec)이나 3군(941.0 cm/sec)에 비하여 2군(1,012.8 cm/sec)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여 주었고, 좌상완-발목 맥파 속도도 2군(1,015.3 cm/ sec)에서 1군(940.1 cm/sec)이나 3군(942.2 cm/sec)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 심박동수, 전구출기/박동 시간 값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완-발목 맥파 속도와 혈압은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발목-상완 동맥압 지수는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어느 것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맥파 속도가 증가하는 점을 볼 때, 비만이 동맥 경직도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맥파 속도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비만군 및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성인기에 심혈관 질환으로 이환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Purpose :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has doubled over the last 30 years. Obesity-associated sequelae in the vasculature begins in the early stages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ulse wave velocity (PWV) and ankle brachial index (ABI) change with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in obese adolescents.
Methods : Seventy-nine obese adolescents (group 1: 85th BMI<95th percentile, n=40; group 2 (BMI 95th percentile, n=39) were included. The control group(group 3) included 99 healthy adolescents. Brachial- ankle (ba) PWV and ABI were estimated with blood pressure from four extremities. Heart rate (HR), and pre-ejection period/ejection time (PEP/ET) were also estimated. BMI was calculated from individual height and weight.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between BMI and PWV.
Results : Blood pressure and baPWV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compared to either group 1 or group 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BI, HR and PEP/ET between the groups. PWV showed linear correlation with both BMI and body weight.
Conclusion : Obes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arterial stiffness in adolescents, which was demonstrated by an increase in PWV.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ABI.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급성 우심 부전의 집중 치료 | 김기범 ;노정일 | pp.1041-1048 |
|
|
소아 심근염과 심근증 | 길홍량 | pp.1049-1054 |
|
|
선천성 심질환에서 우심부전 | 정조원 | pp.1055-1060 |
|
|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screening for developmental delay in the setting of a pediatric outpatient clinic | Eun Young Kim ;In Kyung Sung | pp.1061-1066 |
|
|
Improved survival rate with decreased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in extreme immaturity | Ga Won Jeon ;Myo Jing Kim ;Sung Shin Kim ;Jae Won Shim ;Yun Sil Chang ;Won Soon Park ;Mun Hyang Lee | pp.1067-1071 |
|
|
건강한 만삭아에서 모유황달의 발생 빈도 | 윤용호 ;최경은 ;김경아 ;고선영 ;이연경 ;신손문 | pp.1072-1077 |
|
|
비만 청소년에서 맥파 속도와 발목 상완 동맥압 지수에 대한 연구 | 김지혜 ;구희선 ;홍영미 | pp.1078-1084 |
|
|
소아 청소년 부정맥 환자에서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의 이용 성적 | 장영범 ;이승현 ;강은영 ;이경석 ;주찬웅 | pp.1085-1090 |
|
|
비만 소아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 | 이 진 ;권효진 ;박문호 ;장기영 ;이기형 ;이광철 ;손창성 ;이주원 | pp.1091-1096 |
|
|
급성 증후성 경련 환아에서 비유발성 경련의 위험인자들에 대한 연구 | 이은주 ;김원섭 | pp.1097-1103 |
|
|
학교집단뇨검사를 통한 1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의 조기진단의 효과 | 정성훈 ;박성신 ;김성도 ;조병수 | pp.1104-1109 |
|
|
초기에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임상, 내분비학 및 방사선학적 경과 | 정승준 ;이성용 ;신충호 ;양세원 | pp.1110-1115 |
|
|
소아기 피부근염의 임상적 고찰 :진단시 임상증상을 중심으로 한 고찰 | 이소영 ;방지석 ;김희석 ;김중곤 | pp.1116-1124 |
|
|
Epidural hematoma treated by aspiration of accompanying cephalhematoma in a newborn infant | Ki Won Oh ;Heng Mi Kim | pp.1125-1128 |
|
|
Long-term recombinant interferon-γ treatment in 2 cases of osteopetrosis | Dong-yun Kim ;Dong-kyun Han ;Hee-jo Baek ;Sung-taek Jung ;Hoon Kook ;Tai-ju Hwang | pp.1129-1133 |
|
|
Three cases of pulmonary and/or intestinal tuberculosis in adolescents | Jung Hye Byeon ;Yoon Lee ;Jin Chul Lee ;Young Yoo ;Kee Hyoung Lee ;Kwang Chul Lee ;Ji Tae Choung ;So | pp.1134-1138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Prevalence of overweight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United States, 1999- 2002.http://www.cdc.gov/nchs/products/pubs/pubd/hestats/ overwght99.htm | 미소장 |
2 | Secular trends in growth and changes in eating patterns of Japanese children. ![]() |
미소장 |
3 | Prevalence And Trends In Overweight And Obesity In Three Cross Sectional Studies Of British Children, 1974-94 ![]() |
미소장 |
4 | Kang YJ, Hong CH, Hong YJ.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over the last 18 year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1997;30:832-9. | 미소장 |
5 | Physical Status:;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Anthropometry ![]() |
미소장 |
6 |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 |
미소장 |
7 | Overweight and obesity as determinants of cardiovascular risk: the Framingham experience. ![]() |
미소장 |
8 | Obesity, arterial stiffness, and cardiovascular risk. ![]() |
미소장 |
9 | Humoral markers of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relation to adiposity and in vivo insulin action in Pima Indians ![]() |
미소장 |
10 |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Mexican Americans ![]() |
미소장 |
11 | Relation between number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events and noninvasive Doppler ultrasound assessments of aortic compliance. ![]() |
미소장 |
12 | McGill HC Jr, McMahan CA, Herderick EE, Malcom GT, Tracy RE, Strong JP. Origin of atherosclerosi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m J Clin Nutr 2000;72(5 Suppl):1307S- 1315S. | 미소장 |
13 | Nationalwide Study on Body Mass Index, Skinfold Thickness, and Arm Circumference in Korean Children ![]() |
미소장 |
14 | Reproducibility of Arterial Stiffness Indices (Pulse Wave Velocity and Augmentation Index) Simultaneously Assessed by Automated Pulse Wave Analysis and Their Associated Risk Factors in Essential Hypertensive Patients ![]() |
미소장 |
15 | Measures of obesity are associated with vascular stiffness in young and older adults. ![]() |
미소장 |
16 | Pulse wave velocity in patients with obesity and hypertension ![]() |
미소장 |
17 | Presence of increased stiffness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and endothelial dysfunction in severely obese children: a prospective study ![]() |
미소장 |
18 | Czernichow W, Bertrais S, Galan P, Blacher J, Oppert JM, Ducimetière P et al. Body composition and fat repartition in relation to structure and function of large arteries in middle-aged adults. Int J Obes 2005;29:826-32. | 미소장 |
19 | Niboshi A, Hamaoka K, Sakata K, Inoue F. Characteristics of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in Japanese children. Eur J Pediatr 2006;165:625-9. | 미소장 |
20 | Effects of age and aerobic capacity on arterial stiffness in healthy adults. ![]() |
미소장 |
21 |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humans: A dose-response study ![]() |
미소장 |
22 | Insulin action in vascular endothelium: potential mechanisms linking insulin resistance with hypertension. ![]() |
미소장 |
23 | Diminished arterial elasticity in diabetes: association with fluorescent advanced glycosylation end products in collagen. ![]() |
미소장 |
24 | Sympathetic Neural Activation in Visceral Obesity ![]() |
미소장 |
25 | Participation of the hypothalamus-hypophysis axis in the sympathetic activation of human obesity. ![]() |
미소장 |
26 | Leptin stimulates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 |
미소장 |
27 | Influence of Leptin on Arterial Distensibility ![]() |
미소장 |
28 | Low-grade systemic inflammation in overweight children. ![]() |
미소장 |
29 |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Children ![]() |
미소장 |
30 | A proinflammatory state is detectable in obese children and is accompanied by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vascular changes. ![]() |
미소장 |
31 | Planas A, Clara A, Pou JM, Vidal-Barraquer F, Gasol A, de Moner A, et al. Relationship of obesity distribution and peripheral arterial occlusive disease in elderly 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1;25:1068-70. | 미소장 |
32 | Vanhala MJ, Vanhala PT, Keinänen-Kiukaanniemi SM, Kumpusalo EA, Takala JK. Relative weight gain and obesity as a child predict metabolic syndrome as an adul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23:656-9. | 미소장 |
33 | Must A, Jacques PF, Dallal GE, Bajema CJ, Dietz WH. Long-term morbidity and mortality of overweight adolescents. A follow-up of the Harvard Growth Study of 1922 to 1935. N Engl J Med 1992;327:1350-5. | 미소장 |
34 | The Comparison of Body Fat Rate and Body Mass Index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