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현상학으로서 예술 / 원승룡 1

【요약문】 1

1. 머리말: 현상학적 미학의 문제론 2

2. 미적 사태 자체에로: 예술작품 혹은 미적 대상? 3

3. 미적 대상의 존재론 혹은 미적 체험의 기술론 13

4. 현상학으로서 예술 21

5. 맺는 말 25

참고문헌 26

Zusammenfassung 27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현상학적 미학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상학과 예술이 만나는 접점을 찾아 예술의 정신을 재조명하는 데에 있다. 현상학적 미학은 미적 체험의 사태를 기술하는 데에만 관심을 가지며, 미적 체험에 출현하지 않는 어떤 대상도 괄호 친다. 따라서 미적 대상으로 출현하지 않는 소위 예술작품 자체는 괄호쳐 진다.

그러나 미적 대상으로 출현하는 한 예술작품은 미적 대상과 구분되지 않는다. 잉가르덴과 뒤프렌느는 이러한 점에서 양자의 이원론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그들은 모두 미적 대상이 결국 조회해야 할 예술작품의 존재를 완전히 떨쳐버리지 못했다.

미적 체험의 기술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미적 대상의 존재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사르트르는 상상적 대상과 아날로곤의 개념으로 미적 대상이 단순히 심적 표상(이미지)가 아니라 예술작품에 내재하는 일종의 실재임을 밝혀낸다. 뒤프렌느 역시 이 점을 계승하면서 미적 대상이 충실하게 출현할 때 미적 대상은 어떤 것을 참되게 표현하며 스스로를 보여준 다는 점을 강조한다. 여기서 미적 대상은 사실세계의 진리성보다 더 진리적이며 우리로 하여금 존재의 재인식의 기쁨을 가져다준다.

우리는 예술은 현상학의 하나의 탐구대상임을 주장한다기보다 예술은 현상학과 유사한 탐구 작업임을 주장한다. 예술은 하나의 대상 탐구 작업이며, 어떤 것을 어떤 것으로 대상을 대상화하는 작업이다. 우리는 현상학에서 예술, 미학이론, 철학이론이 종합되는 최초의 사례를 만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주역』의 "吉·凶·悔·吝"에 대한 고찰 金學權 pp.1-26

보기
이제마의 몸 이해 崔大羽 pp.27-52

보기
불교에서의 선악으로부터의 자유 안옥선 pp.53-85

보기
위진남북조시대 배불론의 두 가지 틀 :격의적 배불론과 신멸론적 배불론 강규여 pp.87-114

보기
아우구스티누스와 해석학적 보편성 김창래 pp.115-158

보기
헤겔과 현대성 문제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정미라 pp.159-181

보기
화이트헤드 유기체 철학의 윤리적 개념 정윤승 pp.183-203

보기
하이데거가 말한 죽음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기철 pp.205-227

보기
형이상학의 종말과 사유의 문제 문동규 pp.229-253

보기
몽상의 존재론과 기분의 존재론 : 바슐라르와 하이데거 박유정 pp.255-275

보기
현상학으로서 예술 원승룡 pp.277-304

보기
로티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곽소현 pp.305-328

보기
도덕의 영역들 노양진 pp.329-350

보기
은유와 철학적 사유 :신실용주의와 체험주의 국순아 pp.351-378

보기
과학적 추론과 철학적 추론의 비교 박승배 ; 손종역 ; 신영한 ; 박봉규 ; 임영근 ; 박승미 ; 정형준 ; 이후선 pp.379-398

보기
역행인과 다시 보기 :뉴컴의 문제, 뒤늦은 선택 실험, 예측가능성 김재영 pp.399-422

보기
세계화시대에서의 인권의 정당화 유주현 pp.423-450

보기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ufrenne et le problème du beau 네이버 미소장
2 Bensch, G, (1994) Vom Kunstwerk zum ästhetischen Objekt, Wilhelm Fink Verlag 미소장
3 Dufrenne, M, (1967) Phénoménologie de L'expérience Esthétique, PUF 미소장
4 Gadamer, H. G, (1975) Wahrheit und Methode, 미소장
5 Husserl, E, (1976) Ideen zu einer Phänomenologie und die phänomenologischen Philosophie, Husserliana Bd.3/1, Den Haag 미소장
6 Ingarden, R, (1931) Das Literarische Kunstwerk, Max Niemeyer 미소장
7 Henrich, D, (1962) Prinzipien einer erkenntnistheoretischen Betrachtung der ästhetischen Bewußtseins(in Theorien der Kunst), Frankfurt 미소장
8 Jamme, Ch, (2000) Malerei der Blindheit’. Phänomenologische Philosophie und Malerei(in: Phänomenologie der Kunst) , Wien 미소장
9 Merleau-Ponty, M, (1944) Le Doute de Cézanne(in Sens et Non-sens), 미소장
10 (1961) L’Oeil et l’Esprit, Gallimard 미소장
11 Pöltner, G, (2000) Phänomenologie der Kunst, Wien 미소장
12 Sartre, J. P, (1940) L’Imaginaire, Gallimard 미소장
13 (1948) Qu’est-ce que la Littérature?, Gallimard 미소장
14 Wiesing, L, (2000) Phänomenologie und die Frage, Wann ist die Kunst( in: Phänomene im Bild), Wilhelm Fink Verlag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