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흡착질의 증기압이 흡착에 미치는 영향 / 김상원 ; 권준호 ; 강정화 ; 송승구 1

Abstract 1

1. 서론 1

2. 재료 및 방법 2

2.1. 실험재료 2

2.2. 실험방법 2

2.3. 분석방법 3

3. 결과 및 고찰 3

3.1. 비극성물질의 흡착량 비교 3

3.2. 각 활성탄에서의 비극성물질의 흡착능 비교 3

3.3. 흡착제의 세공영역별에 공통된 흡착인자의 적용 3

3.4. 흡착에 영향을 미치는 흡착질의 증기압 6

3.5. 분자의 유동성 6

3.6. 증기압계수 계산 6

4. 결론 9

감사의 글 9

참고문헌 9

초록보기

Adsorption process is largely influenced by pore structures of adsorb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adsorbates and adsorbents. The previous studies of this laboratory was focused on the role of pore structures of adsorbents. And we found some pores of adsorbates which have larger pore diameters than the diameter of adsorbate are filled with easil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dsorbates and adsorbents, such as pore size distribution, vapor pressure on adsorption were investigated more thoroughly at the concentration of adsorbate of 1000 ppm. The adsorption in the pore ranges of 2~4 times of adsorbates's diameter could be explained by space filling concept. But there was some condensation phenomena at larger pore ranges. The errors between the adsorbed amount of non-polar adsorbates and the calculated amounts by considering factors were found to be 44.46%, positively, and -142%, negatively. When vapor pressure is considered, the errors between the adsorbed amount of non-polar adsorbates and the calculated amounts were in the range of 1.69%~32.25% positively, and negatively -1.08%~-63.1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castanea crenata community and both sides 허만규 ;최주수 ;장지봉 pp.1-6

보기
Simultaneous removal of H₂S, NH₃ and toluene in a biofilter packed with zeocarbon carrier 박병기 ;신원식 ;정용식 ;정종식 pp.7-17

보기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in the parts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in Viet Nam Bui Ha Thu Thi ;박문기 pp.19-27

보기
마산만 오염 준설토사의 생태회복 이찬원 ;전홍표 ;하경애 pp.29-36

보기
전기 펜톤-유사 반응을 이용한 Rhodamine B의 색 제거 김동석 ;박영식 pp.37-44

보기
일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 중 알데히드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노출로 인한 건강위해성 평가 양지연 ;김호현 ;신동천 ;김윤신 ;손종렬 ;임준환 ;임영욱 pp.45-56

보기
경남 고성 구리광산 지역의 중금속 분산특성과 오염기준 :빈도분석과 확률도의 적용성 나춘기 ;박현주 pp.57-66

보기
흡착질의 증기압이 흡착에 미치는 영향 김상원 ;권준호 ;강정화 ;송승구 pp.67-75

보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국립공원 탐방객 통행량 계수시스템 개발 이주희 ;심규원 ;배민기 pp.77-83

보기
해색영상을 이용한 동중국해 북부해역 하계 클로로필 a의 시공간 분포 김상우 ;임진욱 ;장이현 pp.85-95

보기
SVE 및 생물학적 공법을 이용한 TPH 오염토양처리에 관한 연구 김정권 pp.97-105

보기
산기관용 멤브레인 고무판의 환경내구성 향상을 위한 EPDM 고무의 개질 안원술 pp.107-112

보기
하수처리장 분산방류에 의한 방류수역의 수질개선효과 김동수 ;박종태 ;김용구 ;박성천 pp.113-118

보기
EMPLUX Collector에 의한 토양 오염 가스 조사 김정성 pp.119-128

보기
시중에 유통되는 한방생약제제의 중금속 함량 정대화 ;박문기 pp.129-133

보기

참고문헌 (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Jack W., 1997, Chemical engineering thermodynamics, Appendix Ⅲ, John Wiley & Sons, Inc, 55-57, 152-154. 미소장
2 Ruthven D. M., 1984, Principles of adsorption and adsorption process, Wiley, New York, 10-90. 미소장
3 Lee S. W., Bae S. K., Kwon J. H., Na Y. S., An C. D., Yoon Y. S., Song S. K., 2005,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vapor according to pore structures of zeolite 5A modified with hydrochloric acid, J. of KSEE, 27(8), 807-812. 미소장
4 Kwon J. H., 2006,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VOCs on activated carbon according to pore areas, Thesis,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미소장
5 Kang J. H., 2007, The effect on adsorption caused by relation between pore sizes of activated carbo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adsorbates, Thesis,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미소장
6 Kwon J. H., Kang J. H., Kim S. W., Song S. K., 2007, Effect on adsorption caused by relationship between pore sizes of activated carbo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non-polar adsorbates, J. Environ Sci., 1(3), 377-38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