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노인복지시설 사회화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의 관계 / 강환세 ; 마은경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선행연구 검토 3
1. 노인복지시설 사회화의 개념 3
2.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 7
4. 시설사회화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과의 관계 8
III. 연구방법 9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9
2. 조사 도구 10
3. 분석방법 10
IV. 연구결과 및 분석 11
1. 노인복지시설 및 시설노인의 일반적 특성 11
2. 노인복지시설의 사회화 정도 12
3. 노인복지시설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 13
4. 노인복지시설 사회화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간의 상관관계 13
5. 노인복지시설사회화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과의 관계 14
V. 결론 및 제언 15
참고문헌 17
[요약] 20
본 연구는 시설의 폐쇄성의 대안으로 제시된 시설사회화에 따른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우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남지역의 노인복지시설 33개 시설과 그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 349명을 대상으로 시설 사회화 정도와 생활만족도, 우울의 수준 그리고 시설 사회화와 생활만족도,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시설의 사회화 정도는 5점 만점에 2.84로 평균을 조금 넘는 보통수준이었다. 둘째,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수준은 60점 만점에 평균39.19로, 시설노인의 우울 수준은 8점 만점에 5.08로 각각 나타나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우울 수준은 평균보다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사회화와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운영의 사회화와 정보의 사회화가 그리고 시설노인의 우울에는 운영의 사회화가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감정기, (2000)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화에 관한 경남지역 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학연구회, 인간과 복지 | 미소장 |
2 | 감정기, (1999) 통영·거제지역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화에 관한 연구, 인간과 복지 | 미소장 |
3 | 감정기, (2006) 지역사회복지론, 나남출판 | 미소장 |
4 | 권중돈,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 미소장 |
5 | 곽병은, (2006)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화와 생활자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6 | 김기태, (1996)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비교, 사회복지연구 | 미소장 |
7 | 김기태 ; 최송식 ; 박미진, (2007) 노인의 심리사회적 자원과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 미소장 |
8 | 김미혜, (200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 미소장 |
9 | 김종숙, (1987) 한국노인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0 | 박영숙, (1999) 생태체계이론에 대한 이해와 사회사업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 미소장 |
11 | 박태영, (1991) 육아시설의 사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 미소장 |
12 | 박태영, (1995) 사회복지시설과 지역사회, 백산출판사 | 미소장 |
13 | 변용찬, (1996) 사회복지 수용시설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14 | 변호순, (2005) 미신고 복지시설 노인의 사회적지지와 우울?자아존중감에 대한 다층분석-개인요인과 시설요인을 중심으로-, | 미소장 |
15 | 서국희, (1999) 노년기 치매와 우울증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 | 미소장 |
16 | 오승환, (2006)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도시?농촌?어촌지역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 미소장 |
17 | 이병록, (2004) 사회복지시설 사회화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8 | 이신영 ; 이재모, (2006)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 미소장 |
19 | 이종복, (1989) 사회복지시설의 사회화에 관한 고찰, 평택대학교 논문집 | 미소장 |
20 | 윤진, (1982)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제작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 미소장 |
21 | 조성희, (1992) 사회복지시설의 개방성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22 | 조흥식, (1998) 장애인 수용시설의 지역사회 개방화, 재활과 복지 | 미소장 |
23 | 차용은, (1994) 유료시설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 미소장 |
24 | 차주원, (1991) 노인의 사회적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일반가정노인과 양로원노인을 대상으로-, | 미소장 |
25 | 보건복지부, (2007) 2007 노인복지시설 현황, | 미소장 |
26 | 통계청, (2007) 장래특별인구추계, | 미소장 |
27 | 牧里每治, (1983) 施設社會化の到達點と課題, 大阪府立大學社會問題硏究會 | 미소장 |
28 | 秋山智久, (1978) 施設の社會化 とは何か ?その槪念?歷史?發展段階?, 鐵道弘濟會 | 미소장 |
29 | 野口定久, (1980) 老人ホ?ムにおはる施設社會化の實踐組とそ展開, 社會老年學 | 미소장 |
30 | 小笠原祐次, (1980) 老人ホ?ムおはる施設社會化の諸問題と展開の課題, 社會老年學 | 미소장 |
31 | 鈴木五郞, (1982) 施設の社會化の課題, 老年學硏究 | 미소장 |
32 | 古川孝順, (1988) 複合施設化=脫"施設社會化"の觀點, 日本社會事業大學紀要 | 미소장 |
33 | 深谷美技 外, (2001) 施設の社會化の戰略(社會福祉施設實踐の質的分析), 明治學院論叢 | 미소장 |
34 | 高澤武司, (1979) 施設社會化"問題の背景と今後,の課題, 全國社會福祉協議會 | 미소장 |
35 | 井上修一, (2000) 高齡者福祉施設における地域活動の再構築に向けて, 大妻女子大學 人間關係學部, 人間關係硏究 創刊號 | 미소장 |
36 | Commerford, (1996) Relationship of relig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The Journal of Psychology | 미소장 |
37 | Kalish,R.L, (1975) Late Adulthood:Perspective on Human Development, Calif:Cole Publishing C. | 미소장 |
38 | Koening,H.G, (1996) Depression In J.E.Birren(Ed.),Encyclopedia of Gerontology, Academic Press. | 미소장 |
39 | Magilvy.J.K, (1985)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Journal of Gerontology | 미소장 |
40 | Neugarten,B.L,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