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이형성 결절의 영상 소견 / 한준구 ; 은효원 ; 김세형 1

Abstract 1

서론 1

사례 1

1. 임상 소견 1

2. 영상 소견 1

고찰 2

참고문헌 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우리나라 만성 간질환 환자들이 당면한 문제점과 대한간학회의 역할 :사회적 편견, 건강보험 요양급여의 미비, 복지지원제도로부터의 소외를 중심으로 김동준 ;김홍수 ;임형준 ;서정일 ;정재연 ;김인희 ;탁원영 ;이영석 ;이창희 ; pp.125-135

보기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정맥 압력차와 간경변증의 합병증과의 상관관계 백용한 pp.136-138

보기
담관세포 연구를 위한 생리적 또는 병리적 실험 모델들 이승옥 pp.139-149

보기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정맥 압력차와 간경변증의 임상 병기, 정맥류 및 복수와의 상관관계 김문영 ;백순구 ;석기태 ;예창진 ;이일영 ;김재우 ;차승환 ;김영주 ;엄순호 ; pp.150-158

보기
간경변증 쥐 모델에서 혈청 hyaluronic acid와 간섬유화의 정량적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 김문영 ;백순구 ;장윤옥 ;석기태 ;김재우 ;김현수 ;조미연 ;최선주 ;엄순호 ; pp.159-167

보기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간동맥화학색전술 후 급성 신부전의 빈도 및 위험인자 장병국 ;이승현 ;정우진 ;박경식 ;조광범 ;황재석 ;김영환 ;최진수 ;권중혁 pp.168-177

보기
Fitz-Hugh-Curtis 증후군의 임상양상 :25예의 분석 양현웅 ;정성희 ;한현영 ;김안나 ;이윤정 ;차상우 ;고 훈 ;최기영 ;조성훈 ;임 pp.178-184

보기
B형간염과 연관된 간세포암종의 근치적 절제술 후 혈관내피성장인자 아형의 발현양상 및 예후와의 관계 문주익 ;김종만 ;정금오 ;천재민 ;최규성 ;박재범 ;권준혁 ;김성주 ;조재원 pp.185-196

보기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hepatitis B core antigen의 발현과 분포 위치에 따른 라미부딘의 치료 반응 시계동 ;황성규 ;최주현 ;황일준 ;윤재호 ;김광일 ;권창일 ;홍성표 ;박필원 ; pp.197-205

보기
백선 복용 후 발생한 독성 간손상 4예 장종순 ;서의근 ;한 철 ;채희복 ;김순제 ;이재동 ;왕준호 pp.206-212

보기
HBsAg 음성/anti-HBs 양성인 B세포 만성 림프구백혈병 환자에서 chlorambucil 및 prednisolone 치료 중 재활성화된 B형간염 임성민 ;장정원 ;김병욱 ;최 황 ;최규용 ;박수정 ;한치화 pp.213-218

보기
An adult case of glycogen storage disease type Ⅲa Kyeong Ok Kim ;Heon Ju Lee ;Jae Won Choi ;Jong Ryul Eun ;Joon Hyuk Choi pp.219-225

보기
간경변증에서 발생한 국소결절증식양 결절 김혜령 ;박영년 pp.226-230

보기
이형성 결절의 영상 소견 한준구 ;은효원 ;김세형 pp.231-234

보기
라미부딘 내성을 보인 B형간염 환자에서 아데포비어와 라미부딘 병용치료 권소영 pp.235-239

보기
B형간염 관련 분야 장명국 pp.240-245

보기
B형간염의 치료 관련 분야 박지영 pp.246-249

보기
C형간염 관련 분야 김석현 pp.250-253

보기
C형간염의 치료 관련 분야 장정원 pp.254-259

보기
알코올간질환 관련 분야 김도영 pp.260-263

보기
비알코올지방간질환 관련 분야 박상훈 pp.264-267

보기
간경변증 관련 분야(정맥류출혈 및 문맥압항진증) 조용균 pp.268-272

보기
간경변증 관련 분야(복수) 임형준 pp.273-278

보기
간경변증 관련 분야(간뇌증) 서연석 pp.279-280

보기
간세포암종 관련 분야 명선정 pp.287-291

보기
간세포암종의 치료 관련 분야 탁원영 pp.292-295

보기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erminology of nodular hepatocellular lesions 네이버 미소장
2 Pathologic differentiation between dysplastic nodule and well-differenti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Journal of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2003;3:40-47. 미소장
3 The vascular profile of regenerative and dysplastic nodules of the cirrhotic liver: Implications for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네이버 미소장
4 Early stages of multistep hepatocarcinogenesis: Adenomatous hyperplasia and early hepatocellular carcinoma 네이버 미소장
5 Vascular supply in adenomatous hyperplasia of the liver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A morphometric study 네이버 미소장
6 Neoangiogenesis and Sinusoidal "Capillarization" in Dysplastic Nodules of the liver 네이버 미소장
7 Dysplastic nodules in liver cirrhosis: imaging. Abdom Imaging 2002;27:117-128. 미소장
8 Adenomatous Hyperplasia of the Liver: Triple-phase Helical CT Findings 네이버 미소장
9 Adenomatous hyperplastic nodules in the cirrhotic liver: differentiation from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MR imaging. 네이버 미소장
10 Diagnosis of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 correlation of MR imaging and tumor histologic studies. 네이버 미소장
11 Magnetic Resonance Imaging-Histologic Correlation of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s and Adenomatous Hyperplasias 네이버 미소장
12 Pathomorphological study of Kupffer cell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hyperplastic nodular lesions in the liver 네이버 미소장
13 Conspicuity of hepatocellular nodular lesions in cirrhotic livers at ferumoxides-enhanced MR imaging: importance of Kupffer cell number. 네이버 미소장
14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orrelation with histological grading. Hepatology 2000;32:205-2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