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판소리의 다문화적 성격은 매체형식이 융합되는 방식을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그것은 판소리가 다양한 매체형식들이 융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현대에 들어 판소리가 다른 장르로 확충되거나 판소리 관련 장르를 파생시킬 때에도 그것이 현대 문화양식들과의 매체적 융합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판소리는 원래 기층문화적 인식을 토대로 생겨난 것이었다. 그런데 판소리가 성장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촉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크게는 무가, 나례, 그리고 도시 유흥문화라고 할 수 있다. 무가 자체는 다문화적 성격을 부단하게 습합해온 장르였고, 나례와 접촉하면서는 궁정문화와 놀이문화적 속성을 융합할 수 있었으며, 도시의 유흥예술 장르들과의 접촉에서는 도시의 세련된 음악성과 풍류성을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다문화적인 요소들이 합성되어 형성된 판소리의 이질혼합성은 판소리로 하여금 현대의 다양한 문화양식들과 만나 무한하게 변종, 증식할 수 있는 연변 능력을 갖게 한 바탕이 되었다. 판소리는 소리, 이미지, 이야기, 그리고 표현방식이라는 네 가지 매체형식을 갖는다. 판소리는 현대의 다양한 문화양식들을 만나 이들 매체형식 각각을 유사성이라는 인식적 틀(은유)을 통해 변주하거나, 인접성이라는 인식적 틀(환유)을 통해 변주함으로써 새로운 장르를 만들거나 상대방 문화양식에 변화를 가한다. 그리하여 창극, 창작판소리, 가야금병창, 판소리 관련 영화, 드라마, 뮤지컬, 광고, 마당놀이 등과 같은 모든 판소리 관련 장르들은 네 가지 매체형식들의 은유적 또는 환유적 조합인 것이다. 오늘날 판소리적인 요소들은 현대 대중문화 속으로 깊이 침투하고 있다. 그것은 현대 대중문화가 추구하는 구술적인 속성과 엔터테인먼트적인 경향이 판소리의 추구방향과 상당히 밀접하게 관계되기 때문이기도 하고, 크로스오버와 퓨전화 등을 통해 경계를 흐릿하게 만드는 특성이 있는 현대 대중문화의 상황이 혼합과 융합을 기본속성으로 하는 판소리를 받아들일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해주었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in Pansori are found on the way of uniting of medium form. Pansori was formed through the mingling of various medum forms, and many public genres related with Pansori in modern times were derived from the mingling of medium forms.Pansori was originated with the elements of folk culture, but it was contacted with diverse cultures of upper class and middle class in the course of growth and development. Among genres contacted with Pansori, the song of shaman was the genre which many different kind of cultures were accumulated continuously during the long time, through Narae (Seasoning performance in royal court), royal culture and entertaining element, and through amusing artistic genres in consuming city, refined musical quality and elegance. Pansori’s heterogeneity caused from these contacts with various diverse cultures or medium forms, became a resource of boundless cultural variety of Pansori’s elements in modern times. Pansori have four elements of medium form, that is, sound, image, story, and expressional way. Pansori make new public genres by tuning of these medium forms, one style with metaphoric recognition frame based on similarity, the other style with metonymic recognition frame based on contiguity. Pansori opera, new Pansori with new composition style, Pansori with Gayageum(a twelve-stringed Korean harp), yard playing, movie, drama, musical, advertisement related with Pansori in modern times, are metaphoric or metonymic compounding of four elements of medium form. Pansori’s elements penetrate into modern public cultural genres. It’s because oral and entertaining tendency as a modern public cultural pursuit coincides with Pansori’s one. And it’s because the crossover or fusion of generic boundary in modern public cultures coincides with the tendency of mixture or amalgamation of medium forms in Pansori.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구비문학과 다문화주의(多文化主義) 최원오 pp.1-27

『골계전』설화의 다문화 읽기와 다문화 사회 임재해 pp.29-73

민요 사설에서의 다문화 존재양상 :『한국민요대전』을 중심으로 이영식 pp.75-100

판소리의 다문화적 성격과 문화연변 金賢柱 pp.101-129

민속극의 놀이꾼과 구경꾼의 관계를 통해 본 문화융합 박진태 pp.131-156

다문화시대의 구비문학 연구 강정원 pp.157-184

선도성모의 담론의 신화학적 조명 천혜숙 pp.185-215

<대대로 내려온 불씨>담의 성격과 불 기원신화적 면모 권태효 pp.217-247

한국 천주교 순교자 설화 연구 :여성 동정 순교자 설화를 중심으로 이유진 pp.249-290

러시아인의 영웅담 :볼흐 브세슬라브예비치를 중심으로 김진원 pp.291-330

<바리공주>의 서술구조와 '망자축원'의 존재양상 :배경재본을 중심으로 강진옥 pp.331-369

함경도 본풀이 <돈전풀이>의 특징과 의의 김헌선 ;시지은 pp.371-405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성도, (2003) 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 경성대 출판부 미소장
2 김욱동, (1999) 은유와 환유, 민음사 미소장
3 김종철, (1996)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미소장
4 김종철, (1991) 게우사, 한국학보 미소장
5 김현주, (1998) 판소리 담화분석, 좋은날 미소장
6 사진실, (1997) 한국연극사 연구, 태학사 미소장
7 판소리와 서사무가의 대비연구 소장
8 이경엽, (1998) 무가문학연구, 박이정 미소장
9 The Shamanistic Music of Sinawi Area 네이버 미소장
10 조주관, (2005) 디지털 문화의 지형도를 위한 파노라마(2) - 이미지와 상호매체적 스토리텔링, 『기술매체 시대의 텍스트와 미학』, 연세대 출판부 미소장
11 Kelly, Paul, (2002) Multiculturalism Reconsidered, Polity Press 미소장
12 Modood, T, (2007) Multiculturalism, Pol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