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로젝의 계급과 여가이론의 비판 : 여가소비양식을 중심으로 / 박상곤 1

ABSTRACT 1

I. 서론 2

II. 계급과 여가소비 양식에 관한 논의 3

1. 여가소비 양식 3

2. 로젝의 계급과 여가에 대한 비판적 논의 5

III. 결론 및 시사점 14

참고문헌 16

초록보기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mode of leisure consumption. Especially, it is to focus on critical review of Rojek's statement that leisure in modern life has no longer relation with social class, which resulted from the change of leisure pattern to privatization, individuation commercialization and pacification.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his work, the researcher comes to a conclusion with follows. Firstly, society is formed on various distinctive criteria like class, race, age, sex, etc. Secondly, the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class and leisure is centered on class distinc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sex, age and ethnicity among other distinction- making criteria. Therefore,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core subject on the relation between class and leisure should be turned to the premise, social actors consume the leisure, actively or passively with conforming to their social classes they belong to.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한국관광산업 이익집단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심원섭 ;이연택 pp.13-35

보기
지속가능 관광개발의 파트너십 및 네트워크와 관광거버넌스 간의 구조관계 연구 유정우 pp.37-60

보기
에믹(emic)과 에틱(etic)방법을 이용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개발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구조 분석 김남조 pp.61-81

보기
관광레저도시 개발을 위한 방한 중국관광객 성향 분석 김철원 ;김대관 ;이태숙 pp.83-102

보기
관광개발 갈등의 인과관계 분석 김영준 ;이석호 ;박석희 pp.103-121

보기
2012 여수세계박람회 유치활동 분석을 통한 메가이벤트 유치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 언론 3사 보도내용을 중심으로 진영재 pp.123-143

보기
비교문화적 관점에서의 엑스포참가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임하정 ;홍성화 pp.145-165

보기
세계자연유산 등재에 대한 제주 지역주민의 인식 조문수 ;박시사 ;노경국 ;오상운 pp.167-186

보기
시뮬레이션을 통한 관광지 시설물의 시각적 선호도 차이 분석 박상훈 ;한범수 pp.187-207

보기
관광지 방문 후 이미지가 관광객의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홍범 ;장호성 pp.209-229

보기
동굴관광영향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적용 최영희 ;이 훈 pp.231-254

보기
어촌관광 방문동기에 관한 연구 신동주 ;손재영 pp.255-273

보기
스토리텔링기법을 이용한 잠수함관광 활성화 :국내·외 잠수함관광회사의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김민철 ;양승훈 pp.275-295

보기
스키어와 스노우보더간 여가갈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종구 ;조태영 pp.297-317

보기
추구편익에 따른 골프관광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제주방문 내국인 골프관광자를 대상으로 오상훈 ;양필수 ;김정희 pp.319-338

보기
제주지역 내 내국인 관광객의 방문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ordinal regraession 이용 김민철 ;부창산 ;문성종 ;김영훈 pp.339-354

보기
로젝의 계급과 여가이론의 비판 :여가소비양식을 중심으로 박상곤 pp.355-374

보기
서비스회복에 관한 비교문화적 접근 :항공운송서비스를 중심으로 문성현 ;김정만 pp.375-396

보기
이러닝과 블랜디드러닝의 플로우 경험구조 및 학습만족 비교 崔和春 pp.397-413

보기
「The language of tourism :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Graham M.S. Dann 저 <書評> 이진형 [평] pp.417-418

보기

참고문헌 (7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문겸, (1993) 여가의 사회학:한국의 레저문화,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2 김사헌, (2006) 국제관광론:사회문화론적 접근, 백산출판사 미소장
3 김용학, (2005) 『애정과 결혼의 사회적 관계망』. 미발표원고(중앙일보, 2005.7.22일자), 미소장
4 김현주, (2004) 가족배경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제5차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미소장
5 김희영, (2005) 비고유성 시대의 고유성: 존재론적 고유성의 탐색, 학술연구 발표 논문집 미소장
6 남춘호, (2004) 교육과 불평등 현대한국사회의 불평등,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7 A Study on Residential Segregtion of Social Classes in the City of Seoul 네이버 미소장
8 문철, (1999) 강남사람 강북사람, 주간동아 미소장
9 백선기, (1997) 가족 컨텍스트와 텔레비전의 사용에 관한 연구, 기호학연구 미소장
10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노동계급의 현재 소장
11 양종희, (1997) 한국인의 여가문화와 사회계급.한국인의 놀이의식과 여가문화, 집문당 미소장
12 한국의 도시와 지역공동체의 변화와 전망 네이버 미소장
13 장미혜, (2000) 소비 양식에 미치는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상대적 효과, 미소장
14 조광익, (1993) 마르크스의 노동-여가 개념에 관한 연구, 미소장
15 홍성민, (2000) 문화와 아비투스, 나남출판 미소장
16 홍성민, (2002) 아비투스와 계급: 부르디외 학문의 지성학적 의미, pp.13~48, 미소장
17 양은경, (2002) 문화와 계급: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동문선 미소장
18 중앙일보, (2005) 2005년 6월 15일자 “골프장 회원권 10억 시대”, 미소장
19 Beyond Class: The Decline of Industrial Labor and Leisure 네이버 미소장
20 Baudrillard,J., (1970) 소비의 사회 [La societe de consommation: ses mythes, ses structures, 문예출판사 미소장
21 Berger,P.L., (1981) Sociology Reinterpreted, Penguin Books Ltd 미소장
22 Bourdieu,P., (1979)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ㆍ下 La Distinction: critique sociale du jugement.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새물결 미소장
23 Brown,G., (1992) Tourism and Symbolic Consumption Choice and demand in tourism, Mansell 미소장
24 Chanan,N., (2003) The dream that kicks: The prehistory and early years of cinema in Bri,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25 Chaney,D., (1996) Lifestyle,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26 Coalter,F., (1980) Leisure and ideology: Notes toward a context for the study of the state and leisure policy, Leisure Studies Association Quarterly 미소장
27 Crane,D., (1992) The Production of Culture: Media and the Urban Arts, London: Sage 미소장
28 Crane,D., (1992) High Culture versus Popular Culture Revisited: A reconceptualization of Recorded Cultures Cultivating Differenc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29 Critcher,C., (1982) The politics of leisure: Social control and social development, In Work and leisure: The implications of technological change, Tourism and Recreation Research Unit Conference Proceedings, Edinburgh, TRRU 미소장
30 Crompton,R., (1993) 현대의 계급론. [Class and stratification: an introduction to current debates. Cambridge: Polity Press],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31 Cunningham,H., (1980) Leisure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St. Martin’s Press 미소장
32 de Certeau,M., (1984)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33 Classification in Art 네이버 미소장
34 DiMaggio, P., (1994) Social stratification, life-style, and social cognition Social Stratification: Class, race, and gender in Sociological perspective, San Francisco: Westview Press 미소장
35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ital Selection 네이버 미소장
36 DiMaggio,P., (1982)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미소장
37 Douglas,M., (1979) The world of goods :towards an anthropology of consumption, London: Allen Lane 미소장
38 Dumazedier,J., (1967) Toward a Society of Leisure, New York: Free Press 미소장
39 Fiske,J., (1989) 대중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New York: Routledge], 경문사 미소장
40 Gans,Herbert J., (1974) Popular Culture and High Culture, Boston: Basic Books 미소장
41 Giddens,A., (1991)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후기 현대의 자아와 사회[Modernity and self-identity: self and society in the late modern age. Cambridge: Polity Press], 새물결 미소장
42 Goldthorpe J.H., (1987) Social mobility and class structure in modern Britain, Clarendon Press. 미소장
43 Goldthorpe J.H., (1974) The social grading of occupations, Oxford: Clarendon Press 미소장
44 Affluence and the British Class Structure 네이버 미소장
45 Graburn,Nelson.H.H., (1983) Anthropology of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미소장
46 Horkheimer,M., (1969)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Dialektik der Aufklarung: Philosophische Fragmente. Frankfurt am Main: S. Fischer.], 문학과지성사 미소장
47 The Stratification of Leisure and Taste: Classes and Lifestyles in Israel 네이버 미소장
48 Kubey,R.W., (1990) Television and the quality of life: how viewing shapes everyday experience, New Jersey: L.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49 Lazer,W., (1963)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toward scientific marketing,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Winter conference, 1963(reprint 1965), 미소장
50 May,L., (1980) Screening out the past: the birth of mass culture and the motion picture indust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1 McKendrick,G.D., (1988) 문화와 소비 [Culture and consumption: new approaches to the symbolic character of consumer goods and activitie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문예출판사 미소장
52 Prentice,Richard, (1997) Cultural and landscape tourism: Facilitating meaning In : Tourism, Development and growth: the challenge of substantiality, London: Routledge 미소장
53 Ritzer,George, (1997) McDisneyization and Post-tourism: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Tourism”. in Chris Rojek & John Urry. Touring Culture: Transformations of Travel and Theory, Routledge 미소장
54 Robert,K., (1981)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growth of leisure, London: Longman 미소장
55 Rojek,C., (1985) 자본주의와 여가이론 [Capitalism and leisure theory. New York: Tavistock], 일신사 미소장
56 Rupp, J. C. C., (1997) Rethinking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Reworking class, Cornell University Press 미소장
57 Saram,P.A., (1983) Tourist regions: Some sociological observations, California Sociologist 미소장
58 Shields,R., (1992) Lifestyle shopping: the subject of consumption,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59 Simmel,G., (1904) Fashion, International Quarterly 미소장
60 Sklar,R., (1978) Movie-made America: a cultural history of American movies, London: Chappell 미소장
61 The ideology of class and tourism confronting the discourse of advertising 네이버 미소장
62 Leisure and social theory 네이버 미소장
63 Walvin,J., (1978) Leisure and society, London: Longman 미소장
64 Interpretations of tourism as commodity 네이버 미소장
65 Weber,M., (1968) Economy and society: 2. Roth, Wittich, G. and Claus, Bedminster Press. 미소장
66 Weber,M., (1972) 경제와 사회 1 [Wirtschaft und Gesellschaft: Grundriss d. verstehenden Soziologie. T ubingen: Mohr], 경인문화사 미소장
67 Class Boundaries in Advanced Capitalist Societies 네이버 미소장
68 Wright,E.O., (1989) The debate on classes, Verso. 미소장
69 Wuthnow,R., (1984) 『문화분석: 피터 버거, 메리 더글러스, 미셸 푸코, 위르겐 하버마스의 연구』. [Cultural analysis; the work of Peter L. Berger, Mary Kouglas, Michel Foucault and Jurgen Habermas. Boston: Taylor & Francis Books Ltd.] (최샛별 역). 파주: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70 Leisure, lifestyle and the construction of social position 네이버 미소장
71 Wynne,D, (1998) Leisure,Lifestyle and the new middle class, Routled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