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石亭 李定稷 文論 再考 : 法 인식을 중심으로 / 朴銀正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제어문학회, 2008.08.30
수록지명
國際語文. 제43집 (2008년 8월), pp.67-90
자료실
[서울관] 전자자료,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813675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석정 이정직 문혼 재고 : 법 인식을 중심으로 / 朴銀正 1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정법(定法)으로서의 고법(古法) 추구 4

3. 정법(定法)의 예시로서의 「백이전(伯夷傳)」분석 11

4. 정법의 활용과 「한훤소품(寒暄小品)」·「척독이지(尺牘易知)」 17

5. 마무리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4

초록보기 더보기

이정직의 문론은 한마디로 법고(法古)라 할 수 있다. 이때 말하는 고(古)란 항상된 것이며, 변하려고 해도 변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법(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정직은 문장에 있어서의 법을 장인에게 있어서 규구(規矩)와 같다고 했다. 장인이 어떻게 활용하든지 규구는 있어야 하며, 규구는 정해진 것이다. 이로 볼 때 이정직이 말하는 배워야 할 법은 고법(古法)이며 정법(定法)이다. 다만 정법을 모두 체득한 이후에 자신의 글을 쓸 때는 변화하여야 하니, 이것이 법고이다. 다시 말해 작문에 임하여 글을 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법이라는 기존의 논의에서 더 나아가, 이정직은 작문에 임해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법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법을 익혀 두어야 한다고 정법으로서의 고법을 주장한 것이다. 이에 이정직은 ?백이전(伯夷傳)?을 분석하여 정법의 예를 보여주었고, ?한훤소품(寒暄小品)?과?척독이지(尺牘已知)?를 통해 정법으로서의 고법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다.

Lee Jeong-jik's composition theory can be said to be Beopgo(法古) in a word. What Go(古), which is said at this time, means what was enhanced, and what cannot be changed in the face of striving to change. This is the same even in Beop(法). Lee Jeong-jik said that Beop(法) in sentence is like Gyugu(規矩) in artisan.

No matter how the artisan applies, there should be Gyugu(規矩), and Gyugu(規矩) is what was fixed. In light of this, Beop(法) mentioned by Lee Jeong-jik, which will need to be learnt, is Gobeop(古法) and Jeongbeop(定法). Still, as there is necessity of a change when performing own writing after acquiring all the Jeongbeop(定法), this is Beopgo(法古). In other words, the existing discussion is that Beop(法) means to be naturally formed in the writing process with facing composition. Further, Lee Jeong-jik asserted Gobeop(古法) as Jeongbeop(定法) with saying that Beop(法) needs to be learnt basically in order to allow own Beop(法) to be formed naturally with facing composition. Accordingly, Lee Jeong-jik analyzed ?Baekijeon(伯夷傳)? and then showed the example of Jeongbeop(定法), and strived to arrange Gobeop(古法) as Jeongbeop(定法) through ?Hanhwonsopum(寒暄小品)?and ?Cheokdokiji(尺牘已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석정 이정직의 논시시 연구 :<戱爲二十四絶句>를 중심으로 구사회 pp.5-3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과 「시경」 심경호 pp.37-6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石亭 李定稷 文論 再考 :法 인식을 중심으로 朴銀正 pp.67-9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찬기파랑가>의 상징체계와 경덕왕대 정치사 신영명 pp.91-12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경기 북부지역 마을신앙과 가을제의에 대한 일고찰 김종대 ;차보영 pp.121-14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농민시에 나타난 여성상(女性像) 연구 서범석 pp.147-18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식민지 지식인의 제국 여행-임학수 김승구 pp.181-21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국 역사추리소설에 투사된 대중의 서사적 욕망 김영성 pp.215-24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김수영 시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연구 전병준 pp.247-27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모험의 가능성과 제국의 균열 :『소년』의 번역 텍스트와 역사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안용희 pp.277-30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현대성에 맞서는 농민적 가치와 삶 :이무영론 강진호 pp.303-32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김우진의 「난파」에 나타난 예술 활용과 그 의미 양근애 pp.329-35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1970, 80년대 한국 사극영화의 정치학 이현경 pp.361-38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토론대화에 나타난 메타화행의 특징 김선화 pp.389-41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李定稷, (1990) 石亭先生文集, 한국문집편찬위원회 미소장
2 李定稷, (2001) 石亭李定稷遺藁, 金堤文化院 미소장
3 석정 李定稷의 古文論과 歷代 文評 소장
4 구사회, (2004)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의 문장의식과 문예론적 특질, 국어국문학 미소장
5 The Structure of Lee Jeong-jik's Composition Theory 소장
6 梅泉 黃玹과 石亭 李定稷의 문학논쟁 소장
7 김효경, (2005) 이정직의 간찰서식집 『척독이지(尺牘易知)』, 문헌과해석사 미소장
8 박영호, (1992) 朝鮮中期 古文論 硏究, 미소장
9 박은정, (2005) 17C 말 18C 전기 農巖 계열 문장가들의 古文論 연구 - 金昌協?李宜顯?李德壽?申靖夏?李夏坤의 韓歐正脈論을 중심으로 -, 미소장
10 李定稷 文論의 韓歐正脈論 계승·변모 양상 연구 소장
11 고전문장이론에서 '法'의 문제에 대하여 네이버 미소장
12 정우봉, (2005) 한문 산문의 분석 방법과 실제 비평 - 조선시대 「백이열전(伯夷列傳)」비평자료를 중심으로」, 『한국 한문학 연구의 새 지평』, 소명출판 미소장
13 谿谷 張維의 學問精神과 文論 네이버 미소장
14 최영성, 「石亭 李定稷 遺藁 解題」, 『石亭李定稷遺藁』, 김제문화원,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