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교사양성 교육과정으로서 교육실습의 가치 / 조석훈 1

요약 1

I.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II. 이론적 배경 3

1. 교사양성 교육과정 3

2. 교육실습의 연구 관점 4

III. 연구 방법 5

1. 분석 자료 5

2. 분석 방법 6

IV. [내용누락;p.323~324] 7

1. [내용누락;p.323~324] 7

2. 주인공 9

가. 주인공 되기 9

나. 돌발 상황 맞이하기 10

다. 가르치는 일의 즐거움 느끼기 11

3. 구체적인 학생·교사·학교의 이해 12

가. 구체적인 학생의 모습 경험 12

나. 구체적인 교사의 모습 경험 13

다. 구체적인 학교의 모습 경험 14

4. 가르치기와 배우기의 병행 15

가. 배우면서 가르치기 15

나. 가르치며 배우기 16

V. 논의 및 결론 18

참고문헌 22

Abstract 25

초록보기

이 연구는 최근 교원정책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교육실습이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일부로서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중등학교 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17명의 학생이 작성한 실습일기를 분석 자료로 삼았다. 먼저 교육실습 경험을 분석한 결과 교육실습은 첫 출근, 첫 수업, 첫 제자를 경험하는 데뷔무대에 서는 경험이었고, 돌발 상황을 맞이하면서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주인공이 되어 사랑을 받고 가르치는 즐거움을 느끼는 경험이었으며, 학교나 교사에 대한 막연하고 추상적인 개념이 구체적으로 변해가는 경험이었고, '가르치기와 배우기의 병행'이 이루어지는 경험이었다.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과 다른 독자적인 생활경험을 이루는 이런 교육실습의 특징은 교육실습생으로 하여금 주체가 되어 스스로 판단하고 책임지는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며,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의 가치를 인식하고 교사로서 능력요건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대학의 교육과정과 상보적인 관계에서 가치를 갖고 있었다. 제언으로서 첫째, 교육실습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교육실습생에 대해 지나친 보호주의적인 지도를 자제하고, 둘째, 대학에서도 단순 발표를 넘어 학생이 가르쳐보는 기회를 다양하게 갖도록 하며, 셋째,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초기단계에서 실습 기회를 부여하여 그 경험이 대학의 학습과정에 반영되도록 하며, 넷째, 교육실습생이 필요하다고 느낀 아동 지도·통제나 상담·이해 등의 능력을 길러줄 수 있도록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보완이 요구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교 평준화제도와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의 관계 실증 분석 연구 김현진 pp.1-22

보기
교육정책집행 영향요인의 특성 분석 :교육대학발전 교사교육프로그램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성수 pp.23-48

보기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균열 pp.49-74

보기
지역교육안전망의 구축 조건 탐색 :청주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인희 pp.75-103

보기
우리나라 학교교육조직의 상호의존성, 갈등, 신뢰, 교육의 질 구조에 대한 모델 개발 연구 유길한 pp.105-132

보기
2007년 교육감 주민직선 결과 및 쟁점 분석 고전 pp.133-152

보기
학생의 교사평가에 대한 참여 가능성 연구 :현행 교사평가제도를 중심으로 안길훈 pp.153-180

보기
새 정부의 학교정책의 방향과 과제 :고교다양화 300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양성관 ;전상훈 ;이일권 pp.181-206

보기
교육정책 평가의 전건모형에 관한 탐색연구 김승훈 pp.207-227

보기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S대 중등교육연수원 사례를 중심으로 진동섭 ;허은정 ;이재덕 ;김효정 ;김정현 ;신철균 ;이동찬 ;김시영 pp.229-257

보기
열린교육 개혁과정에 관한 분석연구 서용희 ;강석봉 ;주철안 pp.259-285

보기
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이 교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경석 ;홍철희 pp.287-315

보기
교사양성 교육과정으로서 교육실습의 가치 조석훈 pp.317-342

보기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박상완 pp.343-362

보기
교직헌신과 리더-부하관계(LMX)가 교수효과성 및 업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 pp.363-389

보기
대화 개념에 근거한 학교컨설팅 방법론 탐색 정수현 pp.391-414

보기
학교 자율화의 쟁점과 주요 과제 정제영 pp.415-435

보기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조영하 ;김병찬 ;김봉준 pp.437-462

보기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영심 ; 박재국 ; 안성우 ; 김자경 ; 김남진, (2007)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미소장
2 곽덕주 ; 진석언 ; 조덕주, (2007)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교육학연구 미소장
3 (2006) 교원정책 개선방안 실행계획,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4 김병찬, (2005)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미소장
5 김신영 ; 송미영, (2008)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과 교육실습의 효과, 교육평가연구 미소장
6 김신영, (2005) 교육실습 전.후 그리고 초임교사로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교육연구 미소장
7 김유림, (2000) 교육실습의 특성이 초임교사의 역할 수행 지각에 미치는 영향, 미소장
8 김호연 ; 박경옥 ; 이태수 ; 유재연, (2007) 예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운영 실태 분석 및 인식 조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미소장
9 남정걸, (1998)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미소장
10 노원경, (2007)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 경희대교육발전연구 미소장
11 노종희, (1997) 한국 교원 교육정책의 현황과 과제. 교원교육정책의 현황과 과제, 제4회 한.일 교육행정학 공동 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12 류의규, (1989) 교육실습 협력학교 지도교사의 직무와 역할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미소장
13 류칠선, (1998)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실습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미소장
14 박노식, (2000)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연구, 미소장
15 박병도 ; 손천택, (2006) 특수체육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이해, 한국특수체육학회지 미소장
16 박상옥, (2003) 효과적인 예비교사 현장실습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미소장
17 박성혜, (2007) 교육 실습을 통한 중등 예비 교사들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의 변화, 한국교원교육연구 미소장
18 박영만, (2003) 교육실습제도 개선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19 박영숙, (2003) 새 정부의 교원 정책 개혁 과제. 새정부의 교육개혁 과제, 2003년도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개혁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20 박찬주 ; 심춘자, (2002) 초.중등 교사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미소장
21 백순근 ; 함은혜, (2007)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미소장
22 소경희, (2004) 특수교육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미소장
23 손지현, (2006) 대학과 교실현장이 연계된 교육실습-미국의 미술 교사 교육 사례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미소장
24 송혜숙, (1988)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일 연구, 미소장
25 신상명, (2002) 교원양성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교육행정학연구 미소장
26 엄주용, (1988) 교육실습제도의 개선을 위한 일연구, 미소장
27 염지숙, (2003) 유아교육실습: 예비교사들의 경험 이야기, 한국교원교육연구 미소장
28 염지숙, (2007)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이야기: 가르치며 배우고, 배우며 가르치기, 유아교육연구 미소장
29 오영재, (2001) 교단일기를 통해 본 중등교사들의 삶과 문화, 교육학연구 미소장
30 오정란, (2003)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미소장
31 육선희, (2001) 교육실습 일지 분석에 관한 일 연구, 미소장
32 윤기옥, (2001) 반성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협력교사, 초임교사, 교생의 지각분석, 초등교육연구 미소장
33 이경희, (2005) 교육실습의 내용과 환경 분석, 교육발전연구 미소장
34 이명순, (2001) 두 교육실습생 경험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미소장
35 이유미, (1996)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미소장
36 정영근, (2004)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천, 문음사 미소장
37 정혜영, (2003)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서울.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미소장
38 정확실, (1987) 대교수학, 교육과학사 미소장
39 조석훈, (2007) 교원자격 및 양성에 관한 법령 제정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40 조석훈, (1998) 수요자 중심 교육체제의 입장에서 ‘교육의 전문성’에 대한 재해석, 교육행정학연구 미소장
41 조석훈, (2004) 교육실습생의 교직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미소장
42 조운주, (2004) 유아교육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미소장
43 진동섭, (1993) 교원교육의 실상과 개혁의 방향, 교육학연구 미소장
44 천은숙, (1995) 교육실습을 통한 교사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미소장
45 한지혜, (1993) 교육실습이 교생의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 미소장
46 황윤한, (2007) 교육대학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광주교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