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효"가치관이 가족 간병인의 적응양식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전미애 1
[요약] 1
I. 머리말 1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
1. "효"가치관과 가족간병인의 부담과 스트레스 2
2. 가족간병인의 적응 대처양식과 정신건강 3
3. 사회문화적 스트레스 적응 모델 4
III. 연구방법 5
1. 연구 가설 5
2. 연구 절차 6
3. 연구 도구 6
IV. 연구결과 7
1. 간병인들의 인구학적 특성 7
2. 주요 변수의 평균 비교 7
3. 경로 분석 결과 8
V. 결론 및 제언 11
VI. 맺음말 12
참고문헌 13
[요약] 16
거동이 불편하거나 문제행동을 하는 노인을 보살피는 일은 육체적?정신적 부담이 따르며 때로는 우울감을 불러오기도 한다. 이러한 정신적 반응은 인종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한국 간병인들은 환자의 기능 장애나 문제행동이 미국 거주 한인 환자에 비해 적음에도 불구하고 간병 부담감과 우울감이 미국의 한인 간병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스트레스와 적응모델을 이용하여 “효”가치관이 간병인의 적응 양식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87명의 미국 거주 한인 가족 간병인들과 83명의 한국 거주 가족 간병인들을 면접 설문조사하였다. 경로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간병인들은 미국의 한인 간병인과 비교하여 높은 간병 부담감과 우울감을 보이는데, 이는 그들이 사용하는 적응양식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 적응 대처 양식은 간병인의 우울감 경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한국의 간병인들은 미국의 한인 간병인에 비해 능동적 적응 대처 양식을 적게 사용하고 수동적?사회의지 적응양식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수동적?사회의지 적응양식은 간병 부담감이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간병인 교육에 있어서 능동적 적응 대처 양식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동적?사회의지 적응 양식이 유용한 적응양식이 아닌 점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효”가치관은 능동적 적응양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효” 가치관과 능동적 적응양식, 그리고 “효”가치관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환자의 거동 불편 또는 문제 행동 정도가 커짐에 따라 간병인의 부담감과 우울감이 함께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정책방안들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Using the Sociocultural Stress and Coping Model (Aranda & Knight, 1997),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filial piety value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Eighty-seven Korean-American caregivers and 83 Korean caregivers were interviewed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Korean caregivers used less active coping and more passive coping compared to Korean-American caregivers. The use of active coping was found to be related to lower caregiver depression. However, Korean caregivers used more passive coping which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With regards to caregiver training,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active coping, but not passive coping, helped reduce caregiver distress.
In addition, filial piety valu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ctive coping. More studies of filial piety and active coping are recommende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moderners" who view traditional values with less regard, to pay attention the positive effects of filial piety values. Furthermore, we should prepare policies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caregiving. Higher levels of functional difficulties and behavior problems correspond with higher levels of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범수, (2001) 전통 효 사상의 현대적 재인식을 통한 노인부양 문제해결, | 미소장 |
2 | 김윤정, (2000) 치매노인 부양자들의 대처방식과 대처효과에 대한 지각, | 미소장 |
3 | 백경숙 ; 권용신, (2005)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노인복지연구 | 미소장 |
4 | 윤현숙 ; 류삼희, (2005) 전통적인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년층과 장년층 비교 연구, | 미소장 |
5 | 이경자, (1995) 치매노인의 간호문제와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6 | 이해정 ; 김영숙 ; 김기련 ; 김주성 ; 서지민, (2003)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간호제공자의 우울 예측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미소장 |
7 | 조남옥, (1996) 치매환자 가족의 경험과 간호요구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8 | 최정혜, (1998) 기혼자녀의 효 의식 가족주의 및 부모 부양의식, | 미소장 |
9 | 최해경, (2002) 정신장애인 가족의 대처방식과 주관적 부담에 대한 작용, 사회복지연구 | 미소장 |
10 | Aranda,M.P, (1997) The influence of ethnicity and culture on the caregiver stress and coping process:A sociocultural review and analysis, | 미소장 |
11 | Arbuckle, J. L, (1997) AMOS users' guide Version 3.6, | 미소장 |
12 | Carver,C.S, (1997) You want to measure coping but your protocol's too long:Consider the Brief COPE, | 미소장 |
13 | Chee,Y.K, (2001) Culture and dementia:Accounts by family caregivers and health professionals for dementia-affected elders in South Korea, | 미소장 |
14 | Chun, M, (2007) 2007 in press Differences in stress and coping models of emotional distress among Korean, | 미소장 |
15 | Covinsky, K. E.,, (2003) Patient and caregiver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 | 미소장 |
16 | Endler, (1990)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co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미소장 |
17 | Farran, C.J, (1997) Race, finding meaning, and caregiver distress, | 미소장 |
18 | Gallois, C.,, (1999)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cross the Pacific Rim The impact of filial piety Latest Contributions to cross-cultural psychology Selected papers from the thirtee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ross-Cultural Psychology, | 미소장 |
19 | Gonzalez-Salvador, M. T.,, (1999) The stress and psychological morbidity of the Alzheimer patient caregiver, | 미소장 |
20 | GoodeK. T.,, (1998) Predicting longitudinal changes in caregiver physical and mental health, | 미소장 |
21 | Hayley, (1987)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group intervention for dementia caregivers, | 미소장 |
22 | HaleyW. E.,, (2003)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spousal caregivers in hospice Application of a stress process model , | 미소장 |
23 | Haley, W.E, (1996) Appraisal, coping,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of well-being in Black and Whit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 | 미소장 |
24 | Holmes,J.A, (1990) Differential effects of avoidant and attentional coping strategies on adaptation to chronic and recent-onset pain, | 미소장 |
25 | Ingersoll-Dayton, B., , (1996) Caregiving for parents and parents-in-law, | 미소장 |
26 | Kim,J.S, (2001) Daughter-in-law in Korean caregiving families, | 미소장 |
27 | Kim S. H, (2000) A study on the factors effecting upon the relief of caregiver's burden for senile dementia patients Department of Social Wo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 미소장 |
28 | Knight,B. G, (2002) Cross cultural issues in caregiving for persons with dementia, | 미소장 |
29 | Knight, B.G, (2000) A sociocultural stress and coping model for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African American caregivers in Southern California , | 미소장 |
30 | Koh, (1987) Korean elders in the United States, | 미소장 |
31 | LeeH. S.,, (2001) Relationship of empathy to appraisal and physical health in informal caregivers of older adults, | 미소장 |
32 | Maruyama, G.M, (1998) Bas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Publications Inc | 미소장 |
33 | McCallum, T.J, (2002) Dementia caregiving and ethnicity :African American caregivers^the sociocultural stress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npublished Dissertation | 미소장 |
34 | Menaghan,E, (1982) Measuring coping effectiveness:A panel analysis of marital problems and coping efforts, | 미소장 |
35 | Peters-Davis,N.D, (1999) Children-in-law in caregiving families, | 미소장 |
36 | Radloff,L.S, (1977) The CES-D Scale: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 미소장 |
37 | Robinson, and distress among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 미소장 |
38 | Rohde, (1990) Dimensionality of coping and its relation to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미소장 |
39 | Schulz, R, (1995) Psychiatric and physical morbidity effects of dementia caregiving, | 미소장 |
40 | Shin, Y.M, (1998) The effects of day care center utilization on caregiver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Department of Social Work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 미소장 |
41 | Wright, (1993181-195) Health consequences of caregiver stress, | 미소장 |
42 | Youn, G, (1999) Differences in familism valuesand caregiving outcomes among Korean Korean American and White American dementia caregivers, | 미소장 |
43 | Reever, (1980) Relatives of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