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입학전형 전문가제도의 정착과제 / 조석훈 1
1. 들어가는 말 1
2. 입학사정관을 둘러싼 세가지 오해 1
3. 입학전형 전문가제도의 정착과제 2
가. 제도 도입의 취지에 대한 이해 2
나. 입학전형 준칙의 제정과 활용 2
다. 지원 가능 대학 수 제한 및 등록 의무에 대한 재검토 3
라. 합격자 발표 인원의 탄력적 조정 허용 3
마. 입학전형 기간의 확대 3
바. 연수프로그램의 운영 4
사. 대학별 역할 4
참고문헌 5
필자소개 5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입학사정관 도입의 의의 | 김정희 | pp.7-11 |
|
보기 |
입학사정관의 기능과 역할 | 신원동 | pp.12-17 |
|
보기 |
대학에서 바라보는 입학사정관제도 | 양성관 | pp.18-24 |
|
보기 |
입학전형 전문가제도의 정착과제 | 조석훈 | pp.29-33 |
|
보기 |
글로벌 청년리더십 양성 방안과 전망 :해외봉사 및 인턴십 파견을 중심으로 | 이성철 | pp.41-49 |
|
보기 |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사업 | 박주호 | pp.50-54 |
|
보기 |
미래 최고 직업선택 준비를 위한 '다문화 세계인' 되기 | 박영숙 | pp.56-66 |
|
보기 |
대학 자체평가 시행 방안 | 황인성 | pp.67-71 |
|
보기 |
e-러닝을 통한 대학교육 경쟁력 강화 | 김희배 | pp.73-78 |
|
보기 |
주요국가 대학종합평가의 실제 | 이영호 | pp.79-84 |
|
보기 |
독일 대학 교수제의 어제와 오늘 :교수자격조건과 교수등급을 중심으로 | 조미애 | pp.85-90 |
|
보기 |
캐나다 고등교육의 세계화 :국제 협동 연구 개발 전략을 중심으로 | 이정규 | pp.91-96 |
|
보기 |
대입 논술이 학교 교육에 미치는 영향 | 최병기 | pp.97-101 |
|
보기 |
학부모가 본 입학사정관제도 | 강소연 | pp.25-28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