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음악으로 신학을 하다 : 바흐의 「내 주는 강한 성」 / 채현경 1
1. 들어가며 1
2. 바흐와 라이프치히 그리고 음악환경 7
1) 합창단의 구성과 교육과정 9
2) 합창훈련과 신학의 가르침 11
3) 악기주자들 12
4) 예배순서와 교회음악 프로그램 13
3. 바흐의 「내 주는 강한 성」(BWV 80) 16
1) 라이프치히 칸타타 16
2) 「내 주는 강한 성」(Ein feste Burg ist unser Gott, BWV 80) 18
4. 나가면서 35
참고문헌 39
Internet 자료 41
악보 41
[요약] 42
J. S. Bach has finally achieved his dream of establishing "well-regulated church music" as a cantor and music director in Leipzig. He was in charge of worship music at four churches in the city, including St. Thomas Church, the most musically active church in German music tradition. He was also responsible for educating young musicians in Thomas Latin School and managing the instrumentalists in the Collegium Musicum. Having nearly all the musical talent of the town at his disposal, he systematically carried out the reform of church music by positioning cantatas of his own composition as the "Haupt Musik" of the service. Unlike previous music directors, Bach wrote a new cantata every week that matched the sermon and that followed the church calendar. He selected all the hymns and published the text of cantatas based on the Bible in a handbook size with his own money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cantatas. The ultimate goal of cantatas for Bach was to announce the word of God and his cantatas created such musical affect and meaning with careful treatment of the text [Taruskin 2005: 340]. During his 27 years of residence in Leipzig, his cantata performances of 1600 times were always well received by fully packed congregations [Wolff: 2000: 251]. His desire to reform the order and music of worship, which began in 1708 while working as a church organist in M?lhausen, was finally realized.
This paper examines his success as a church music reformer, focusing on his activities in Leipzig. Recent studies by Christoph Wolff (2000) on Bach archives revealed abundant information on Bach's activities in various venues. First, I will draw a comprehensive picture surrounding the performance of cantatas from three different angles: 1) reaction of the city and the church officials as well as reception of the congregations; 2) the composer's philosophy on church music; and 3) musical education of Latin school tradition and its affect on performance practice of the time. Second, I will analyze the cantata, BWV 80, the most important choral of Lutheran as well as Bach's personal confession of belief, "Ein feste Burg." I will focus on how the meaning of the text is depicted or symbolized in music. Combining the analysis of music with the contextual research, I will argue that the success of Bach as church musician is not simply the result of the Romantic notion of "genius" composer's musical talent but of a hard lifetime of training and the continuous pursuit of a dream.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BSC에 의한 가야문화축제의 평가 | 최덕규 ;김창욱 ;최영경 | pp.17-59 |
|
보기 |
한국음악의 관점 ,4 :양악의 혼합주의 | 홍정수 | pp.61-110 |
|
보기 |
한국 전통음악의 근대적 전환 :기보와 매체를 중심으로 | 김은영 | pp.111-138 |
|
보기 |
황종-중려 음정 지각의 실험 연구 :순서 효과, 시작음고, 학습정도에 따른 지각 특성 | 권오연 | pp.139-166 |
|
보기 |
그레고리오성가의 고대 수사본에 관한 연구 | 최호영 | pp.167-196 |
|
보기 |
음악으로 신학을 하다 :바흐의 「내 주는 강한 성」 | 채현경 | pp.197-240 |
|
보기 |
바흐의 성탄절 오라토리오의 파로디 문제에 대하여 | 나진규 | pp.241-264 |
|
보기 |
생태여성주의 교육의 관점에서 본 클라라 슈만의 음악과 생애 | 이인화 | pp.265-290 |
|
보기 |
피아노 음역대에 있는 주파수의 진동현상에 관한 연구 | 하기종 | pp.291-304 |
|
보기 |
클래식방송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 CJ들의 기본인식 조사 | 김민애 | pp.305-328 |
|
보기 |
고령사회의 음악문화시장 파악을 위한 STP전략 | 이은호 | pp.329-352 |
|
보기 |
실용음악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연구 :버클리음악대학을 중심으로 | 박철홍 | pp.353-390 |
|
보기 |
초등학교 4학년의 음악적성과 청각인지능력 상관관계 연구 | 양소영 | pp.391-416 |
|
보기 |
리라(Lyra) | 지형주 | pp.421-432 |
|
보기 |
모마 여름음악회(2006/2008)를 보고 : New Music for New York | 신설령 | pp.417-419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