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초등학생 소방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양소방서 소방과학교실을 중심으로 / 현성호 ; 차정민 ; 송윤석 ; 박경효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2. 소방안전교육의 이론적 배경 2

2.1. 소방안전교육의 개념 2

2.2. 소방안전교육의 중요성 3

2.3. 일선초등학교 소방안전교육의 실태 3

2.4. 선행연구검토 3

3. 초등학교 안전사고현황과 사례분석 4

3.1. 안전사고 현황 4

3.2. 초등학교 주요 안전사고사례 4

4. 소방과학교실의 실태분석 5

4.1. 교육 개요 및 현황 5

4.2. 교육목적 및 내용 6

4.3. 설문지를 통한 조사 8

5. 결론 10

참고문헌 11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안전교육 분야 중에서 소방안전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에 먼저 소 방안전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고, 초등학교 안전사고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현재 경기도 고 양소방서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소방과학교실을 중심으로 소방과학교실의 교육개요 및 현황, 교육 목적 및 내용, 그리고 소방과학교실에 참여한 초등학생들과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만족도 조 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화학이나 물리의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는 소방관련 화학 실험을 일반 및 청소년에게도 보급하여 자연스러운 소방교육 및 홍보 관련뿐만 아니라 학습과 소방상식을 동시에 직접 체험하는 즐거움(fun)과 놀라움(surprise)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소방교육 홍보영역을 개발함으로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소방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primarily among the fields of child safety education. So, first of all, this study consid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e and cases of safety accidents in elementary schools. And by focusing on the fire fighting science class for elementary schools which Gyeonggi-do Goyang fire station is executing now,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outline, present state, educational goal, and content of fire fighting science class, and conducted the satisfaction survey through questionnaire ove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fire fighting science class and the fire fighting officers in charge of fire fighting science class. On basis of this research, by developing the new field of fire fighting education and publicity into the program which can diffuse the fire fighting-related chemical experiment based on the science of chemistry and physics in the future and so provide the pleasure and surprise of experiencing directly not only natural fire fighting education and publicity but also learning and the common sense of fire fighting,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alternatives about the measures for activating the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향 검지 시스템의 특성 해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최충석 pp.1-5

보기
소방시설 내진설계의 필요성과 기준정비에 관한 연구 신이철 ;한병찬 ;박선규 ;이현진 ;권영진 pp.6-12

보기
A 호텔 & 카지노 아트리움의 화재 및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위주설계 사례연구 박창복 ;이영주 ;김민주 ;윤명오 ;최영화 ;박재성 ;김환진 pp.13-19

보기
실대규모 화재시험(ISO 13784-1)을 적용한 샌드위치 패널 시스템의 연소성능 분류 박계원 ;임홍순 ;정재군 ;이길용 ;김정욱 ;정정호 ;이우석 ;김운형 pp.20-26

보기
하중재하 영향에 의한 합성보의 화재거동에 관한 연구 김성배 ;이창남 ;김우철 ;김상섭 pp.27-35

보기
전기화재원인분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안 제시 이종호 ;김두현 ;김성철 pp.36-40

보기
USN기반의 화재 온도 데이터의 시·공간 분포특성 분석 최갑용 ;엄정섭 pp.41-48

보기
재래시장 종사자의 소방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방창훈 pp.49-54

보기
화재 수신기용 과도현상 보호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이동명 pp.55-61

보기
누전차단기 절연재료의 소손 특성에 관한 연구 이춘하 ;김시국 ;옥경재 ;지승욱 pp.62-66

보기
초등학생 소방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고양소방서 소방과학교실을 중심으로 현성호 ;차정민 ;송윤석 ;박경효 pp.67-77

보기
미분무수 소화설비의 소화특성 실험 황원준 ;김황진 ;오규형 ;이성은 pp.78-84

보기
소방공무원의 조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내외근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채 진 ;우성천 pp.85-95

보기
산불진화 헬기의 물 살포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이시영 ;배택훈 pp.96-100

보기
화재조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기봉 ;이시영 pp.101-110

보기
방염 처리에 따른 화재지연 효과 연구 오규형 ;김황진 ;이성은 pp.111-116

보기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소비자보호원, “어린이 안전정책포럼”, 서울, 한국소비자보호원, p.1(2005). 미소장
2 서울소방학교, “소방연구논문집”, 서울소방학교, p.211(2003). 미소장
3 권상순,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안전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평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2004). 미소장
4 서채문, “인간과 건강”, 서울, 태근문화사(1998). 미소장
5 박창열, 박장규, 고영규, 손진수,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p.3(2004). 미소장
6 최정열, “초등학교 소방안전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8(2005). 미소장
7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안전교육실태 분석을 통한 안전교육 개선방안연구”(2003). 미소장
8 이명선, “학교안전교육 실태분석을 통한 안전교육 개선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학술연구, pp.12-13(2003). 미소장
9 소방법기본법 시행령 [별표 2의 2] 소방안전교육사의 배치대상별 배치기준. 미소장
10 김경진, “어린이 소방안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호서대학교 행정대학원 소방정책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최정아, “어린이집 소방안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서울시 12개구 구립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한영수, “한국의 소방안전교육에 관한 연구: 초·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소방행정전공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이상희, “어린이 소방안전교육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방재공학과 석사학위논문, pp.19-21(2005). 미소장
14 천안/연합뉴스(2003. 03. 27). 미소장
15 김태숙, “안전사고 사례별 대책”, 학교안전공제회,pp.14-15(2005). 미소장
16 매일경제(2003. 11. 02). 미소장
17 어린이동아(2004. 10. 22). 미소장
18 국민일보 쿠키뉴스(2005. 11. 04). 미소장
19 광주CBS, YTN(2006. 05. 29). 미소장
20 한국일보(2006. 06. 02). 미소장
21 매일신문(2006. 12. 30). 미소장
22 매일신문(2007. 02. 05). 미소장
23 SBS 있다! 없다? 플러스 - “불기둥이 치솟는 망치가 있다! 없다?”(2008년 2월 15일). 미소장
24 KBS-TV 신나라 과학나라 - “성냥 없이도 불을 만들 수 있다!”(2004년 12월 2일). 미소장
25 SBS-TV UCC 과학탐험대 - “물을 폭발하게 하는 미 스터리 폭탄! 그 정체를 밝혀라!!”(2008년 5월 22일). 미소장
26 YTN-TV 놀라운발견 - “나트륨의 폭발”(2008년 6월 17일). 미소장
27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별표 1] 위험물 및 지정수량.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