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교육수준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와 취업선택 결정 요인 / 오은진 ; 민현주 ; 김지현 1

[요약] 1

I. 문제의 제기 2

II. 자료의 특성 및 연구방법 4

1. 자료의 특성 4

2. 연구내용 및 방법 5

III. 연구 결과 6

1. 학력 수준에 따른 첫 직장에서 현재 고용상태로의 이행 실태 6

2. 노동시장참여 결정요인 분석 10

IV. 결론 18

참고문헌 20

abstract 22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학교 졸업 이후 노동시장에서 직업경험을 했던 여성들 중 첫 직장 이후 노동시장 퇴장을 경험한 사례를 중심으로 현재 그들의 직업상태(취업/미취업) 및 직업지위 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선, 기술적 통계를 활용하여 고학력 여성들이 첫 직장 이후 생애주기 사건과 맞물려 노동이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직업이동 및 직업지위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로짓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노동이동 및 직업선택에 주요한 원인이 되는 개인적 또는 사회적 변인들을 추출한 후 이들 요인 중 학력수준별 여성의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여성들이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 시 학력이 높을수록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또한 더 나은 직업지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재로 학력이 작용하고 있었는데, 첫 직장 고용상태가 정규직이었던 경우 대졸은 그 이후 30%가 재취업 시 그 직업지위를 유지했다면 전문대졸은 20.6%, 고졸은 10.8%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 근로자보다 첫 직장으로 자영업을 경험했던 경우 노동시장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 시간 이상 경력단절을 경험한 후에도 여성들이 노동시장에 진출할 경우 자신의 학력프리미엄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교수설계자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엄미리 pp.1-23

보기
직무 및 작업조직 특성이 공식, 비공식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동명 ;안성익 pp.25-47

보기
ASTD를 통해 본 인적자원개발의 최근 동향 오헌석 ;최윤미 ;배진현 ;위현진 ;배형준 ;권귀헌 ;선우형 ;성문주 ;이도엽 ; pp.49-73

보기
핵심인재우대정책과 제도의 실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고찰 김현동 ;송보화 pp.75-93

보기
자본시장통합법 도입에 따른 인적자원개발의 과제 :은행권 인적자원의 역량을 중심으로 구인혁 pp.95-115

보기
대학생의 해외 어학연수가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천수 pp.117-139

보기
교육수준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와 취업선택 결정 요인 오은진 ;민현주 ;김지현 pp.141-162

보기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유망직업 선정에 관한 연구 장서영 ;은혜경 ;오민홍 pp.163-187

보기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Married Women's Return to the Workforce: Findings from the Participants in a Reemployment Training Program 소장
2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계획과 재취업교육 요구분석 연구 소장
3 김영옥(1999). 여성취업력의 동태적인 변화 분석 , 한국여성개발원. 미소장
4 김종숙 외(2007). 대졸여성 청년층 노동시장 구조파악과 정책과제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5 김혜원 외(2005). 주요국의 여성 고용정책 , 한국노동연구원. 미소장
6 A Dynamic Analysis of Maternal Employment and The Birth Spacing 소장
7 The Consequences of Life Events on Korean Women's First Entry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소장
8 오은진(2001). 「미국 고등교육에서의 임금 차이에 대한 효과 분석: 교육수준 및 전공영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 제19권 제2호, 145~153쪽, 한국직업교육학회. 미소장
9 오은진 외(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연구 , 여성부. 미소장
10 "여성취업이행 경로의 생애과정 씨퀀스(sequence) 분석" 소장
11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소장
12 장서영 외(2007).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개발 연구 , 한국고용정보원. 미소장
13 기혼여성, 경력단절의 경제적 효과와 직업선호 소장
14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7). 여성가족패널조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15 The returns to education in the sub-baccalaureate labor market, 1984–1990 네이버 미소장
16 The Community College: Educating Students at the Margin between College and Work 네이버 미소장
17 Job continuity among new mother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