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for the areas of culture late in the 20th
century is the brilliant development of the visual media including film. The
rising of the visual media has promoted new cultural environment of the day.
In this reason it becomes hard to understand today’s social and cultural changes
without any knowledges of the role of visual media.
We often observe that one kind of literature text is transformed into different
forms of media to be produced in diverse states. These are the cases that their
literal texts are got out of the narrow literal category and enlarged to the new
media forms in the new situations. In this basis the necessity rises that the
theme of the new media research methodology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area must be accepted positively and developed following the new trend.
The movement of the form of film has been raised from the late of the 19th
century like that of the modernism in literature. But it has been constituted in a
condensed and united aspect even if going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modernism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form of film has enlarged
and spreaded out until over the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he tendency
makes the novelists of the James Joyce’s age and important novelists at the present being able to speak for the today’s literal situation build up their
concrete relationship. Speci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Joyce and the film
shows typicall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odern artists in literature and
other areas.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ilm and literature in the point
of using images. Images are used to reveal some important things visually in
literature and in film, by the wa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things
showed visually. It seems that techniques of images are same but the point of
emphasis are different in them.
The montage of film is a kind of signal order system of images. The
montage is necessary to the life of prologue. If there is no montage there are
only remained simple and constant time and space and reproduced exactly
endlessly. Different time and difference space can be existed together owing to
the montage in film with successive series in the narrative scene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일제강점기하 영화통제정책의 초기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 복환모 | pp.5-25 |
|
|
영화 <청춘의 십자로>의 스타일 연구 | 신강호 | pp.27-56 |
|
|
식민지 조선의 도시적 삶과 <청춘의 십자로>(1934) | 정민아 | pp.57-87 |
|
|
일제말기 통제영화사의 배우에 관한 연구 | 한상언 | pp.89-114 |
|
|
중일전쟁 시기 일본과 조선에서의 영화정책 및 영화계의 대응 양상 비교연구, 1937~1940 :영화와 국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함충범 | pp.115-136 |
|
|
탈프레임 화면구성과 귀소와 치유의 로드무비 :전수일 론 | 문관규 | pp.137-165 |
|
|
영화와 문학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몽타주 기법을 중심으로 본 | 오진곤 | pp.167-193 |
|
|
역사 속에서 새로운 창작의 혁신을 찾다 :1984년에서부터 1989년까지의 중국영화 | 정태수 | pp.195-22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성곤, 문학과 영화 , 민음사, 1977. | 미소장 |
2 | 김성곤, 영상텍스트와 문학연구방법의 확장 , 문학과 영상학회, 도사출판 다락방. 2000. | 미소장 |
3 | 이향만, 미국소설과 영화의 만남 , 도서출판 동인, 2005. | 미소장 |
4 | Film als Erweiterung der Literatur-Literatur als Erweiterung des Films | 소장 |
5 | Antonioni, Michelangelo, Screenplays of Michelangelo Antonioni, trans. Louis and Roger J. Moor(1963), New York: Orion, 1963. | 미소장 |
6 | Boggs, Joseph, The Art of Watching Films, 1978, 이용관 옮김, 영화읽기와 영화보기 , 제3문학사, 2001. | 미소장 |
7 | Bordwell. D & Thomson. k.(1997). Film Art, New York: McGrawHill. | 미소장 |
8 | Chatman, Seymour(1990). Coming to terms: The Rhetoric of Fiction and Film, 한용한ㆍ강덕화 옮김, 영화와 소설의 수사학 ,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 미소장 |
9 | Cohan, Steven & Shires, Linda. Telling Stories: A theoretical analysis of narrative fiction, 1988, 임병권ㆍ이호 옮김, 이야기하기의 이론: 소설과 영화의 문화 기호학 , 한나래, 2001. | 미소장 |
10 | Crane, Hart, The Complete Poems of Hart Crane, New York: Docubleday(Anchor), 1958. | 미소장 |
11 | Deleuze, Gilles, CINÉMA Ⅱ: L’IMAGE-TEMPS, 1985, 이정하 옮김, 시네마 Ⅱ: 시간-이미지 , 시각과 언어, 2005. | 미소장 |
12 | Eisenstein, Sergei, Film Form, Cleveland and New York: World(Meridian), 1951. | 미소장 |
13 | Eisenstein, Sergei, Film Form and Montage, 1957, 정일몽 옮김, 영화의 형식과 몽타주 , 영화진흥공사, 영화이론총서 제25집. | 미소장 |
14 | Hauser, Arnold, The Social History of Art, Vol.2, New York: Knopf, 1951 | 미소장 |
15 | Hauser, Arnold, The Social History of Art, VI, New York, 1958. | 미소장 |
16 | Joyce, James,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New York: Viking Press, 1965. | 미소장 |
17 | Levin, Harry, The Gates of Horn; A Study Five French Realist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63. | 미소장 |
18 | Levin, Harry, “What Was Modernism?”, Varieties of Literary Experience, ed, New York: Stanley Burnshaw, 1962. | 미소장 |
19 | Paech, Joachim, Literature und Film, Stuttgart, 1988, 임정택 옮김, 영화와 문학에 대하여 , 민음사, 1997. | 미소장 |
20 | Richardson, Robert, Literture and Film, 1969, 이형식 옮김, 영화와 문학 , 동문선, 2000. | 미소장 |
21 | Riser, Martin & Zapp, Andrea, New Screen Media: Cinema/Art/Narrative, London, 2002. | 미소장 |
22 | Schlink, Bernhard, ≪The Reader≫, 2004, 김재혁 옮김, ≪더 리더≫, 이레, 2004. | 미소장 |
23 | Spiegel, Alan, Fiction and the Camera Eye, Virginia, 1976, 박유희 김종수 역, 소설과 카메라의 눈 , 르네상스, 2005. | 미소장 |
24 | Voytilla, Stuart, Myth and the Movies, 1977, 김경식 옮김, 영화와 신화 , 을유문화사, 2005. | 미소장 |
25 | http://www.kyobobook.co.kr/produc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