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김포군 3·1운동 발발의 경제적 기초 / 김인호 인기도
발행사항
천안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04.30
수록지명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32집 (2009년 4월), pp.151-18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909231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김포군 3.1운동 발발의 경제적 기초 / 김인호 1

1. 머리말 1

2. 농업생산 여건과 항일운동의 실태 4

1) 통진 중심의 농업생산 집중 4

2) 통진 중심의 항일민족운동 7

3. 통진·유산층 중심 항일운동의 경제적 기초 10

1) 총독부의 치밀한 군세 파악 10

2) 토지조사사업 이후 소작 증가 17

3) 통진 중심의 지세 중과세 20

4) 10년대 후반 일본인 토지소유 확대 25

5) 일본 농업자본의 침투 28

4. 맺음말 29

◈ 참고문헌 32

◎ 국문요약 33

◎ 영문요약 35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1910년대 김포지역에서 발생한 민족운동이 특별히 통진지역 중심·유산계급 중심으로 전개된 사회경제적 이유를 지역별 계급별 생산력 구성, 소유 구조, 지세중과세 문제 등을 통하여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천·김포·통진군이 김포군으로 통합되는 1914년 이전 통진군은 상대적으로 비옥한 지역인 반면 구김포나 양천은 경기도의 여타 지역에 비해서도 농업생산성이 열악한 낙후지역이었다. 또한 자작농이 많은 구김포는 1910년대 초반까지는 일본인의 진출이 드러나지 않으나 1917년 이후 증가하면서 농민층 분해로 타격을 받는 농민계층의 反지주·反농장 운동이 고양될 토양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둘째, 통진이나 양천지역은 전통적으로 조선인 지주가 기득권을 강력하게 보유한 지역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1913년 이후 김포지역 경작지가 급증했는데, 그 원인은 대체로 토지조사사업으로 총독부가 종래 隱結化된 지주나 재력가의 보유지를 면밀하게 파악한 결과로 여겨진다. 또한 토지조사사업과 함께 1910년대에는 김포일원에 대한 총독부의 과도한 지세 중과세 양상이 포착되고 있다. 이런 조세수탈구조는 당시 서울 등 대도시에 대한 민심 위무를 위해 감세나 낮은 세율이 적용된 반

면 통진 등 김포지역 중에서도 곡창지대의 조선인 지주에게 지세 중과세를 실현하여 그 부담을 전가한 것이었다.

이상의 경향은 기왕의 조선인 토지소유자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조건 아래서 김포3·23만세운동(김포 3·1운동)은 지역별로 생산력이 높고 지주가 강한 통진지역에서 많이 발생한 것이다.

요컨대, 1910년대 김포지역 민족운동은 기왕의 생산력을 장악한 조선인 유산자층과 국가적 농업 지배를 실현하고 조세수탈을 확대하려는 총독부간의 생산력 쟁탈전의 결과로 본다. 이 위에 1910년대 후반 대규모 일본인 농업자본(농장)의 침투는 기왕의 조선인 유산층의 기득권에 더욱 위기감을 조장했고, 그러한 위기감이 김포지역 조선인 유산자 그룹이 주도가 된 3·23 김포 오라리 만세운동의 도화선을 당겼다. 그런 의미에서 김포 3·1운동이 부르주아민주주의적 운동이라는 이해는 여전히

유효하다.

In the article I tried to closely examine the socioeconomic reason why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in Kimpo in 1910s was started specially with

the propertied classes as the central figures centering in Tongjin area

through the composition of productive capacity by region and class,

ownership structure, the issues of the heavy tax on land, etc. It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Tongjin county before Yangcheon, Kimpo and Tongjin county

were integrated into Kimpo county in 1914 was a region with rich soil

relatively, however, both Yangcheon and old Kimpo were underdeveloped

and their productivity of labor lagged behind the other counties in

Kyeonggi province. Also it was not distinguished for Japanese people to

advance into old Kimpo till the early 1910s where lots of independent

farmers resided, however, as Japanese people’s entry into this region

increased after 1917, the background to boost anti-landowner and

anti-plantation movement among the farmers who had suffered a heavy

blow due to the dissolution of the peasant class was created.

Secondly, it is estimated that the Korean landowners traditionally had

strong vested rights in Tongjin and Yangcheon region. And as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made a close investigation of the hidden holdings of

the landowners and men of substance through Investigation Project on

Land, it seems, the size of arable land increased rapidly after 1913. Also it

is captured that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imposed a heavy tax on

the whole land of Kimpo region in 1910s. According to the Japanese

plundering structure through taxation at that time, the low tax rates or tax

reduction were applied to the residents in big cities including Seoul to win

the hearts of the people, however, the higher tax was levied on the Korean

landowners in Korea’s rice belt like Tongjin in Kimpo region, that is, a tax

burden on the residents in the big cities was passed on to the Korean

landowners.

It seems that such a tendency seriously threatened the Korean

landowners. Under such a condition “Kimpo 3·23 Hurrah Movement

(Kimpo 3·1 Movement)” took place in Tongjin which had high productive

capacity and where the landowners had great influence.

In short, the national movement in Kimpo in 1910s was a struggle for

productive capacity between the Korean propertied classes who held

existing productive capacity and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which

wanted to realize the state agricultural management and increase plundering

through taxation. Moreover, as infiltration of Japanese large-scale agricultural

capital(farm management) into the region created the sense of crisis among

the Korean propertied classes, an incentive to give rise to 3·23 Kimpo

Orari Hurrah Movement which was led by the Korean propertied classes

was set in motion. In this sense, it is still valid to understand that Kimpo

3·1 Movement was a bourgeois democratic movement.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大韓毎日申報(국한문혼용판)』•『경인일보』•『毎日申報』 미소장
2 東亞經濟時報社, "朝鮮銀行會社要錄.全", 東亞經濟時報社 미소장
3 京畿道,『京畿道道勢槪要』, 1936. 미소장
4 京幾道,『朝鮮總督府京幾道統計年報(1912-1917)』. 미소장
5 朝鮮經濟雜誌(京城商工會議所) 미소장
6 朝鮮銀行調査部,「地方事情」,『朝鮮經濟年報』,1948. 미소장
7 朝鮮總督府,『朝鮮地方財政要覽』, 1941. 미소장
8 朝鮮總督府,「朝鮮總督府官報」. 미소장
9 殖産銀行調査部,『殖銀調査月報』,1948. 미소장
10 일제초기 조선공업의 `과도기 자본주의'적 특징,1910-1919 : 조선인 개인공업과 공장공업의 자본구성 변동을 중심으로 소장
11 김포군지편찬위원회. (1993). 김포군지. 미소장
12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자료집.11-14, 별집2-3", 독립유공자 사업기금운영위원회, 1977 미소장
13 「구한말 김포지역 민족운동세력의 성장과 민족운동」,『김포지역 3.1만세운동의 역사적 위상 조명』,김포문화원, 2006. 미소장
14 「김포지역 3.1운동과 그 성격」,『김포지역 3•1만세운동의 역사적 위상 조명』,김포문화원,2006.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