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국회와 정부의 관계 : 입법권, 재정권, 국정조사권을 중심으로 / 박재창 1
요약 1
I. 서론 2
II. 입법부-행정부 관계의 접근시각 4
III. 국회-정부 간의 상호작용 결과 7
1) 입법권 7
2) 재정권 11
3) 국정조사권 14
IV. 국회-정부 간 상호작용의 특성 16
1) 단속성 16
2) 지속성 18
3) 이원성 19
V. 결론 21
참고문헌 24
[요약] 26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민주화 이후 국회-대통령-정당의 상생관계? :역사적 관점에서 | 조정관 | pp.5-38, 361 |
|
보기 |
국회와 정부의 관계 :입법권, 재정권, 국정조사권을 중심으로 | 박재창 | pp.39-63, 362 |
|
보기 |
정치적 신뢰 변화의 원인과 결과 :이론적 쟁점 | 최준영 | pp.65-92, 363 |
|
보기 |
의회의 집합적 의사결정과 신뢰 :한국 국회의 현실과 선택 | 조진만 | pp.93-118, 364 |
|
보기 |
국회의 사회통합기능과 국민의 신뢰 :국회에 대한 기대와 현실의 괴리 | 유성진 | pp.119-143, 365 |
|
보기 |
국회 상임위원회의 운영 :전문성과 대표성의 재평가 | 이현우 | pp.145-176, 366 |
|
보기 |
규제 개혁과 국회 :참여논리와 개입모형의 설계 | 전영평 | pp.177-207, 367 |
|
보기 |
미국 공화당의 위기 :보수의 역사적 정체성과 정치적 과제 | 이혜정 | pp.209-235, 368 |
|
보기 |
정치자금과 정당담론 :독일 국고보조금제도의 변동 | 유진숙 | pp.237-260, 369 |
|
보기 |
민주노동당의 변화 :원내정당화 현상을 중심으로 | 채진원 | pp.261-290, 370 |
|
보기 |
경제위기에 대한 한국과 미국 입법부의 대응 | 유웅조 | pp.291-308 |
|
보기 |
국회운영제도개선 자문위원회 :주요 활동양상과 성과 및 전망 | 김용호 | pp.309-320 |
|
보기 |
경제위기에 대한 미국 주의회의 대응 :미주리주 사례를 중심으로 | 김연준 | pp.321-326 |
|
보기 |
기후변화법과 녹색성장법 리뷰 | 김유향 | pp.327-336 |
|
보기 |
매니페스토를 통한 책임정치 : 정치선진화의 제도적 처방 : 「매니페스토와 정책선거」, 김영래·정형욱 편 <서평> | 박경미 평 | pp.337-349 |
|
보기 |
「망가진 의회: 어떻게 의회가 미국을 망치고 있고 (이러한 망가진) 의회를 정상궤도에 돌려놓을 방법」, Mann, Thomas E.·Norman J. Ornstein 저 <서평> | 김준석 평 | pp.351-36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회사무처. 2008. 「국회경과보고서(269-274회)」. | 미소장 |
2 | 국회사무처. 2001. 「국회와 행정부 관계의 제도와 정치--실제와 발전방향」. | 미소장 |
3 | 국회사무처. 2000. 『의정자료집』. 서울: 한국컴퓨터. | 미소장 |
4 | 17대 총선결과와 대통령-국회 관계 전망 | 소장 |
5 | 김혁. 2002. 「새로운 거버넌스 상황 하에서의 의회-대통령 관계의 발전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2년도 국회연구용역과제 연구보고서. | 미소장 |
6 | 대한민국 국회. 2008. 『대한민국 국회 60년사』. 서울: 국회사무처. | 미소장 |
7 | 행정부의 입법부 지배 : 변화와 지속 | 소장 |
8 | 박재창. 2008. 「담론민주주의와 시민참여: 21세기 마을회의를 중심으로」. 제41차 시민사회 포럼 발표 논문. | 미소장 |
9 | 박재창. 2003. 『한국의회정치론』. 서울: 오름. | 미소장 |
10 | 의회의 대정부 견제 및 감독 기능 | 소장 |
11 | Productive Legislature and Presidential-Legislative Relationship in Korea | 소장 |
12 | The Executive-Legislative Relationship Reflected in the Prime Minister Confirmation Hearings:A Content Analysis of the Confirmation Committee Sessions | 소장 |
13 | Andeweg, Rudy. 1992. "Executive-Legislative Relations in the Netherlands: Consecutive and Coexisting Pattern".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vol.17 pp. 161-182. 최준영 외(2008)에서 재인용. | 미소장 |
14 | Andeweg, Rudy and Nijzink, Lisa. 1995. "Beyond the Two-Body Image: Relations between Ministers and MPs". In Herbert Doring. ed. Parliaments and Majority Rule in Western Europe. NY: St. Martin's Press. 최준영 외(2008)에서 재인용. | 미소장 |
15 | Castells, Manuel. 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Volume 1,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Malden MA: Blackwell. | 미소장 |
16 | Coase, R. H. 1998. The Firm, the Market and the Law.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17 | Gravel. Mike. 2008. "The National Initiative for Democracy. A paper delivered at The World of Direct Democracy: Swiss Practices, Worldwide Experiences and Transnational Potentials", Aarau, Switzerland, Oct. 1-4. | 미소장 |
18 | Jones, Charles. 1997. "The American Presidency: A Separationist Perspective". In Kurt Von Mettenheim. ed. Presidential Institutions and Democratic Politics:Comparing Regional and National Contexts. DC: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9 | Mayhew, David R. 1991. Divided We Gover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0 | Polsby, Nelson. 1975. "Legislatures". In Fred Greenstein and Nelson Polsby eds. Handbook of Political Science. Massachusetts: Addison Wesly. | 미소장 |
21 | Rheingold, Howard. 2002. Smart Mobs: The Next Social Revolution. Cambridge, MA: Perscus. | 미소장 |
22 | Winetrobe, Barry K. 2000. "Shifting Control? Asepcts of the Executive-Parliamentary Relationship". Research Paper 00/92. Parliament and Constitution Centre. House of Commons Library. UK.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