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주민참여와 성과에 대한 주민과 공무원의 인식 연구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 朴順愛 ; 尹順眞 ; 李熙善 1
[요약] 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II. 이론적 배경 및 주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 2
1. 주민참여 2
2. 재난관리와 주민참여 5
3. 주민참여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 6
III. 연구가설 및 설문조사방법 8
IV. 공무원과 주민의 인식차이 10
1. 의견제시의 용이성 10
2. 의견제시와 의견의 반영 12
3. 주민, 시민단체, 정부와의 관계 13
4. 주민참여와 성과 16
V. 결론 18
참고문헌 20
[저자소개] 21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참여정부 지방분권정책의 실태 분석 :중앙사무의 지방이양을 중심으로 | 權慶得 ;禹珷鼎 | pp.5-28 |
|
보기 |
자치행정체제개편에 대한 전문가의견조사와 바람직한 추진방향 | 許燻 ;姜仁皓 | pp.29-55 |
|
보기 |
이슈 프레이밍 분석을 통한 환경정책의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민간환경감시단의 배출업소관리업무 프레임을 중심으로 | 羅泰俊 | pp.57-77 |
|
보기 |
우리나라 지방채발행변화에 대한 신제도론적 분석 | 金玟柱 ;尹聖植 | pp.79-99 |
|
보기 |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지방이관에 대한 실증분석 :산림청을 중심으로 | 安慶燮 | pp.101-122 |
|
보기 |
지방의회의원의 월정수당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李圭煥 ;朴淳泰 | pp.123-143 |
|
보기 |
주민참여와 성과에 대한 주민과 공무원의 인식 연구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 朴順愛 ;尹順眞 ;李熙善 | pp.145-165 |
|
보기 |
통합시 읍면지역의 경제력과 산업구조의 관계분석 | 李順培 | pp.167-188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번웅․오영석.(2004). 「환경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 미소장 |
2 | 김석준 외.(2002). 「거버넌스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 미소장 |
3 | Policy Networks Approach of Disaster Relief Welfare | 소장 |
4 | 김성제.(2005). 「정책혁신과 정책네트워크-신제도론적 관점」.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5 | Comparative Study on Disaster Response Systems of Local Government With Reference to Network Approach | 소장 |
6 |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asks for the citizen participation of local policy on the age of autonomy's popular election ![]() |
미소장 |
7 | 박동균.(2008). “재난관리에 대한 지방공무원들의 인식분석과 함의”.「행정논집」, 20(1), 289-312 | 미소장 |
8 | 재난관리 행정에 대한 네트워크적 분석 | 소장 |
9 |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 : 한국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소장 |
10 | Multi-dimensionality of Risk Perceptions and Risk Conflicts-Implications of Social Scientific Understandings of the Public Risk Perceptions for Risk Communication | 소장 |
11 | 성기환.(2006). 「재난관리와 파트너십」. 한국학술정보 | 미소장 |
12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NGOs : Focused on Civil Servants' Perception | 소장 |
13 | 윤순진.(2005a). 「지식정보시대에 적합한 환경관리의 개념과 체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 미소장 |
14 | 공공참여적 에너지 거버넌스의 모색: 전력정책에 대한 시민합의회의 사례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 |
미소장 |
15 | 환경갈등의 예방 · 완화 · 해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 |
미소장 |
16 | 중앙정부 정책과정과 시민참여 | 소장 |
17 | 이승종.(2005). 「지방자치론」 제2판.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18 | Enhancing the Disaster Management Effectiveness | 소장 |
19 | 시민참여 유형분류를 통한 참여 성과 분석 | 소장 |
20 | 조석주·강인성.(2006).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수준 진단과 발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21 | 태안군청.(2008). 「종합상황보고서」 5월 1일자 | 미소장 |
22 | 해양오염방지법.(2007). 「일부개정 2007.5.17」 | 미소장 |
23 | Constituting ‘the public’ in public participation ![]() |
미소장 |
24 | Building Social Capital: Civic Attitudes and Behavior of Public Servants ![]() |
미소장 |
25 | The New Public Service: Serving Rather than Steering ![]() |
미소장 |
26 | Are You Being Served? The Responsiveness of Public Administration to Citizens’ Demands: An Empirical Examination in Israel ![]() |
미소장 |
27 | A Perspective on Public Involvement in Water Management Decision Making ![]() |
미소장 |
28 |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Toward Authentic Public Particip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 |
미소장 |
29 | Administrators and Citizens: Measuring Agency Officials' Efforts to Foster and Use Public Input in Forest Policy ![]() |
미소장 |
30 | Citizen Participation and Citizen Evaluation in Disaster Recovery ![]() |
미소장 |
31 | Participation, Perception of Participation, and Citizen Support ![]() |
미소장 |
32 | International Social Work ![]() |
미소장 |
33 | Community organizing for post-disaster social development: locating social work ![]() |
미소장 |
34 | Ripley, Randall B. & Franklin.(1986). Policy Implementation and Bureaucracy, 2nd ed., Cicago: The Dorsey Press | 미소장 |
35 | Public Sector Management and the Democratic Ethos: A 5-Year Study of Key Relationships in Israel ![]() |
미소장 |
36 | 국민일보. http://www.kukminilbo.co.kr. 2008년 1월 16일, 2008년 6월 23일, 2008년 7월 24일자 | 미소장 |
37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2008년 1월 16일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