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가즈다노프와 러시아-서양-동양의 삼각형 / 徐尙範 1

1. 이중적 아웃사이더로서의 가즈다노프 1

2. 서양과 러시아 3

3. 서양과 동양 7

참고문헌 13

【논문초록】 15

초록보기

G. Gazdanov was an Ossetian in Russia as well as a Russian in French Paris. He adopted himself to Russian society well, but he remained an Ossetian, like as he adopted himself to French society well, but he remained a Russian in exile. In a word, he was a duplex outsider. He succeeded in belonging to mainstream community but the memories and traces of another community remained in his soul and literary work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Gazdanov to Russia, it is difficult to characterize him as a Russian writer in the full sense. Nonetheless he did not stop describing Russia even in his later works. And the key of Gazdanov's literature was not Russia itself but Russia from gaze of the people in exile. The reason why he oriented his writing to Paris is that he oriented his life to the city. Though his works can not be considered as his autobiography, they can be analyzed as a mirror of his situation in Paris. Gazdanov, who sharply felt Western Europe's chaotic world of the times, interpreted the psychological atmosphere and mental pathological phenomena among the western Europeans in the spirit of existentialism. And his literary existentialism is connected with Eastern philosophy, especially Buddhism. In his [Vozvrashchenie] and [Bombay], dealing with Buddhism themes, Gazdanov depended upon Buddhism in many aspects. But he thought it impossible to put all of the tragical world perception into Buddhism, and he inquired after universality to all the human beings beyond Buddhism and existentialis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을미사변 후 고종의 國母復讐와 君主專制論 申明鎬 pp.5-22

보기
淸末新政 시기 五大臣出洋과 군주입헌론의 전개 :端方을 중심으로 曺世鉉 pp.23-48

보기
幕末期의 새로운 권력구조 구상 李根雨 pp.49-71

보기
19세기말~20세기초 티베트의 군주론의 변용 朴章培 pp.73-91

보기
19세기말 琉球의 滅亡과 君主權 楊秀芝 pp.93-120

보기
러시아 군주정의 구원투수 :러시아 민족동맹의 형성과 전략을 중심으로 朴垣勇 pp.121-143

보기
漢詩의 사상적 기저 :피타고라스와 관자(管子) 金采洙 pp.145-168

보기
중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金希燮 ;崔玧貞 pp.169-186

보기
『燕사錄』을 통해본 鄭元容과 淸朝 文士들의 문화교류 許敬震 ;千金梅 pp.187-209

보기
일제강점기 신지식의 요람 대구 「友弦書樓」에 대하여 崔在穆 ;鄭茶雲 ;金讚宇 ;郭在寬 pp.211-225

보기
凡父 金鼎卨의 '國民倫理論' 構想 속의 '孝' 禹沂楨 pp.227-242

보기
근대 거사불교와 근대적 글쓰기 전략 :백화 양건식과 蘇曼殊를 중심으로 朴魯宗 ;權赫建 pp.243-259

보기
싼샤(三峽)의 추억 :싼샤댐의 빛과 그림자 金昌慶 ;金兌昱 pp.261-277

보기
베이징의 창의도시 전략과 창의산업클러스터의 특징 金泰萬 pp.279-297

보기
현월의 『말 많은 개(おしゃべりな犬)』론 :재일제주인 사가(Saga) 蘇明仙 pp.299-314

보기
谷崎文學における影と光の表象 :視覺的な肉體美の表出 吉美顯 pp.315-326

보기
樣態の變化を表す時間副詞 金英兒 pp.327-339

보기
프로트타이프론의 입장에서 본 보이스구문의 재검토 :유대타동사문을 중심으로 孫東周 pp.341-352

보기
鎌倉幕府の人的ネットワ-クに關する一考察 :源賴朝と北條氏を中心に 申宗大 pp.353-368

보기
安倍能成の「個人主義」 森川多聞 pp.369-385

보기
Раскопки памятника Дворянке-1 в Приморъе в 2004-2006 гг., - к проблемам среднего раннего неолита и распространиния бронзовой кулът H. A. Клюев ;Кан Ин Ук pp.387-411

보기
가즈다노프와 러시아-서양-동양의 삼각형 徐尙範 pp.413-427

보기
환동해선사문화권의 설정과 분기 姜仁旭 pp.429-450

보기
Positive mood and pooling unshared information in group decision making :a study of decision making in the group including Northeast Asians Won Hyun So ;Kevin Williams pp.451-463

보기
A relationship study in environmental uncertainty, entrepreneurial strategy,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restaurant franchisors from the franchisees' perspectives Sul, Hoon-Ku pp.465-482

보기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메셸 레몽 (1991) 프랑스 현대소설사 열음사, pp.265-290. 미소장
2 발터 벤야민 (1994)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 민음사, p.103. 미소장
3 서상범 (2004) 「망명객의 실존과 파리의 명암」,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제15집, pp.81-99. 미소장
4 에드워드 사이드 (2007) 오리엔탈리즘 , 교보문고. pp.7-735. 미소장
5 올랜도 파이지스 (2005) 나타샤댄스 이카루스미디어, pp.802-810. 미소장
6 Ответ. ред. Л.В. Сыроватко (2004) Русское зарубежье: Приглашение к диалогу. Калининград. Калининградский гос. ун. p.103. 미소장
7 Современное русское зарубежье. М., Изд. Олимп. 2001. pp.8-10. 미소장
8 Бобровников В.О. (2003) “Миф о кавказской войне и ориентализм на росийском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 в кн.: Россия и Восток. Проблемы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Материалы VI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г.Волгоград. 28-30 ноября 2002). Волгоград. pp.134-144. 미소장
9 Газданов Г. (1999) Призрак Александра Вольфа. Романы. М., Художестн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0. pp.150-226. 미소장
10 Газданов Г. (1999)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3 т. М., 1999. т.1 pp.135-529, т.2 pp.133-256, т.3 p.451. 미소장
11 Газданова В.С. (2005) “Социализация в традиционном осетинском обществе и биография Газданова” // В кн.: Гайто Газданов и незамеченное поколение: писатель на пересечении традиций и культур. Сб. науч. трудов. М., pp.202-2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