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비행간호장교를 양성하기 위한 항공간호장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교육과정 개발 기간은 2008년 3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기존의 항공간호 교육과정과 미공군의 Flight Nurse Course 분석, 요구도 조사, 학습자 분석,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설정, 연구팀의 토의과정을 거쳐 항공간호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본 항공간호 초급과정은 총 4주(160시간)이며 1부 ‘항공우주생리’는 총 27시간으로 세부 10개 교육과제로 구성하였다. 2부 ‘항공간호학(비행 중 간호)’는 총 36시간으로 세부 20개 교육과제로 구성하였다. 3부 ‘항공의무후송’은 총 63시간 세부 20개 교육과제로 구성하였다. 4부 ‘기타’는 총 35시간으로 세부 8개 교육과제로 구성하였다. 또한 항공간호 보수과정은 총 16시간이며 ‘항공우주생리 및 항공의무후송’대분류 하에 세부 6개 교육과제로 구성하였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간호장교의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과의 관련성 연구 | 권명옥 ;양지인 ;이윤희 ;지지은 ;김은희 | pp.5-18 |
|
|
항공간호 교육과정 개발 | 정지아 ;백숙교 ;김춘숙 ;박정현 | pp.19-36 |
|
|
초임간호장교 예비교육 모델 개발 | 이연미 ;안은경 ;현혜순 ;박진이 | pp.37-53 |
|
|
국군간호사관학교 생도들의 가입학 교육훈련 경험 | 김수정 ;조순영 ;양지선 ;신미송 | pp.54-66 |
|
|
공군조종사 통합건강관리센터 운영체계 모형 구축 | 우정희 ;백숙교 ;장정숙 ;김춘숙 ;김미정 | pp.67-81 |
|
|
간호사관생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황점숙 ;김승종 ;김선영 ;전은석 | pp.82-92 |
|
|
해외 파병 장병들의 심리사회적 반응에 관한 연구 | 지지은 | pp.93-106 |
|
|
간호장교의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 현진숙 ;연효정 ;강명숙 ;이지현 | pp.107-119 |
|
|
20~30대 군 간부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조사연구 | 유명란 ;최지안 ;현혜순 ;김혜원 | pp.120-13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신임간호장교들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개발 | 소장 |
2 | 우정희, 백숙교(2003) 고정익 항공기 후송체계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국군간호사관학교 논문집. 제22집, 193~214 | 미소장 |
3 |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Oriented Educational Program for Disaster Nursing | 소장 |
4 | Development of the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on Emergency Nursing for Military Nursing Officers | 소장 |
5 | 장정숙(2003). 공군과 타 기관의 헬기를 이용한 항공의무후송체계 분석, 2003 군진의학세미나 | 미소장 |
6 | 정지아(2005). 항공의무후송 간호지침 개발연구. 국군간호사관학교 논문집. 제23집, 145~173 | 미소장 |
7 | 국군간호사관학교 화생전하 환자간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소장 |
8 | 교과과정 개선방안 연구 | 소장 |
9 | 공교11-11(2005) 항공의무후송 | 미소장 |
10 | 공교13-16(2007) 공중근무자 항공우주생리 교육훈련 | 미소장 |
11 | 항공의료원(1998) 항공간호 | 미소장 |
12 | AFI 11-2 AEV1(2005) Aeromedical Evacuation Aircrew Training | 미소장 |
13 | Aeromedical Evacuation Training Standards | 미소장 |
14 | National Flight Nurses Association. Certified Flight Registered Nurse | 미소장 |
15 | National Flight Nurses Association. Flight Nurse Review Manual | 미소장 |
16 | National Flight Nurses Association. Flight Nurse Core Curriculum | 미소장 |
17 | USAFSAM(2003), FMS 교육 자료 | 미소장 |
18 | USAFSAM(2008), FMS 교육 자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