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 최희철 ; 황매향 ; 김연진 1

[요약] 1

[머리글] 2

연구방법 7

측정도구 7

통계분석 8

연구결과 12

측정모험 검증 12

구조모형 검증 14

논의 15

참고문헌 18

[요약] 22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자기결정성 이론의 주장과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이 부모와의 관계에서 관계성을 충족할수록 2년 뒤의 삶의 만족에서의 변화에 정적인 종단적 관계를 보일 것이라는 것과 그 역의 관계를 가설로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지난 5년간 수집한 한국청소년패널 자료 중 1차, 3차, 5차년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반면에 청소년의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부모와의 관계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예방과 처치에서 청소년의 부모와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 내담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 실제와 부모교육에 갖는 함의, 이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anel data of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in first, third, and fifth wave from the Korean Adolescents Policy Research Institute were evaluat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revealed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predicted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over and above the effect of previous adjustments, whereas life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subsequent adolescents’ relatedness with par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병적 도박에 대한 이중초점 도식치료 적용 가능성의 탐색 김영혜 pp.349-368

보기
IAT를 이용한 부모-자녀 관계 만족의 암묵적 측정 신희천 ;한소영 ;양욱석 pp.369-396

보기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구성 및 타당도 검증에 관한 연구 정미경 ;이규미 pp.397-416

보기
수퍼비전 기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수현 ;김봉환 pp.417-437

보기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에서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소영 ;신희천 pp.439-464

보기
종교성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낙관성의 매개 역할 손은정 ;홍혜영 ;이은경 pp.465-480

보기
대학생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또래애착의 차이 이시은 pp.481-500

보기
자기효능감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욱 pp.501-519

보기
청소년의 위기 중복 유형 탐색 :서울, 인천지역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위기지원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형수 ;최한나 pp.521-536

보기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관계성과 삶의 만족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최희철 ;황매향 ;김연진 pp.537-558

보기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 분석 김요완 pp.559-583

보기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금주 (1995). KLSSA 검사에 의한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한국심리학회: 사회문제, 2(1), 5-16. 미소장
2 Satisfaction with Life and It's Predictors of Korean Adolescents 소장
3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소장
4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Competence, Relatedness, and Delinquent Behaviors 소장
5 한국 청소년의 심리,행동특성의 형성 : 가정,학교,친구,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소장
6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olescents and adults at home, school, work and leisure setting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소장
7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Kroean Middle School Students 소장
8 김준호 (1990), 청소년 비행의 연구에 관한 연구: 공부에 대한 압력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창간호(6).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미소장
9 Exploration of the Extents and Factors Explaining Well-Being among Korean Adolescents 소장
10 박광배 (2004). 다변량분석. 서울: 학지사. 미소장
11 Structural Dynamics of Life-Satisfaction and its Relationship to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네이버 미소장
12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A longitudinal analysis of Korean adolescents 소장
13 Causes and Consequences of Life-satisfaction among Primary,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14 배병렬 (2004). 구조방정식모델을 위한 SIMPLIS 활용과 실습. 서울: 청목출판사. 미소장
15 The Effects of Life Meaning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소장
16 정서조절 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장
17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toward Adolescents on Need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소장
18 이민희 (2007). 학습장면에서 자기결정론의 동기화 경로모형 검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경험적 연구 소장
20 청소년의 삶의 질 소장
21 Five Factors of Persona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소장
22 남자 대학생의 외향성, 신경증적 경향성, 성역할, 성역할 갈등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소장
23 Developmen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mportance Scale for Couples 소장
24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소장
25 Latent Means Analysis of the Career-Barrier Scale for Korean female adolescents 소장
26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27 Atkinson, R. (1988) The teenage world: Adolescent self-image in ten countries. New York: Plenum Press. 미소장
28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네이버 미소장
29 Bentler, P. M. (2006). EQS 6 Structural equations program manual. Encio, CA: Multivariate Software, Inc. 미소장
30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Wiley. 미소장
31 Subjective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32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네이버 미소장
33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네이버 미소장
34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네이버 미소장
35 Emmons, R. A. & Diener, E. (1986). Influence of impulsivity and sociability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1211-1215. 미소장
36 Finkel, S. E. (1995). Causal analysis with panel data. Thousands Oaks, CA: Sage. 미소장
37 Gilman, R., Huebner, E. S., & Laughlin, J. E. (2000). A first study of the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with adolescents. Social Indicatiors Research, 52(2), 135-160. 미소장
38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미소장
3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네이버 미소장
40 Jöreskog, K. G. (200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ordinal variable using LISREL. Retrieved October, 2, 2008, from http://www.ssicentral. com. 미소장
41 Within-person variation in security of attachment: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on attachment, need fulfillment, and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42 Autonomy and Competence in Germ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네이버 미소장
43 New Developments in Latent Variable Panel Analyses of Longitudinal Data 네이버 미소장
44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ome relationships matter more to girls than boys 네이버 미소장
45 Reciprocal Effects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Self-Esteem, Achievement, and Attainment Over Seven Adolescent Years: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Self-Concept 네이버 미소장
46 Life events, self‐concept, and adolescents'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47 Mcknight, C. G., Huebner, E. S., & Suldo, S. (2002). Psychology in the Schools, 39(6), 677-687. 미소장
48 Murphy, B. C., & Dillon, C. (2003). Interviewing in action: Relationship, process, and change. Pacific Grove, CA: Brooks/Cole. 미소장
49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미소장
50 The Role of Subjective Well-Being in Positive Youth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51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Children and Youth 네이버 미소장
52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Levels and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네이버 미소장
53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네이버 미소장
54 Pitts, S. C., West, S. G., & Tein, J-Y. (1996). Longitudinal measurement models in evaluation research: Examining stability and change.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9(4), 333-350. 미소장
55 Competence Valuation as a Strategic Intrinsic Motivation Process 네이버 미소장
56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57 Ryan, R. M. & Deci, E. L.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E. D. Deci & R. M. Ryan,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미소장
58 Swann, W., Chang-Schneider, C., & McClarity, K. L. (2007). Do people's self-views matter: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every day life. American Psycholigist, 62, 84-94. 미소장
59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60 Taris, T. W. (2002). A primer in longitudinal data analysis. Thousands Oaks, CA: Sage. 미소장
61 Veronneau, M-H., Koestenr, R. R., & Abela, J. R. Z. (2005). Intrinsic need satisfaction and adolescents: An application of the self- 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2), 280-292. 미소장
62 Walborn, F. S. (1996). Process variables: Four common element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acific Grove, CA: Brooks/Col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