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 / 오문자 ; 서윤희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韓國美術敎育學會, 2009.04.30
수록지명
미술교육논총. 제23권 제1호 (2009. 4), pp.211-24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913033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 / 오문자 ; 서윤희 1

〈요약〉 1

I. 들어가며 1

II. 수묵화 교육과 학습 언어로서의 먹 놀이 4

III. 어린이들의 '먹 이야기' 8

1. 먹 이야기의 맥락과 출발점: '진짜처럼 잘 그리고 싶은' 어린이와 '그리기 과정을 돌이켜보게 하고 싶은' 교사 8

2. 먹 이야기 과정 속의 학습 10

3. 하나의 '언어'로서 먹 놀이 18

4. 먹 놀이의 문화적 의미 구성 21

IV. 나가며 23

【참고문헌】 26

【Abstract】 30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시각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전통 문화 교육의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고자 한다. 만 5세 어린이들이 먹을 만나서 탐색해 나간 한 현장 수업 사례를 통해, 먹이 지닌 교육적 잠재성과 어린이 자신들이 먹 놀이에 부여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어린이들은 미리 선정되고 계획된 일련의 활동들을 거치는 대신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 원리를 토대로 장기간에 걸쳐 먹과 한지를 탐색하고 실험해보는 프로젝트 경험을 하였고, 교사들은 그 과정의 기록을 남겼다. 기록물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먹 놀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에게 일어난 학습, 둘째, 먹 놀이가 어린이들에게 하나의 ‘언어’가 되어가는 과정, 셋째,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먹 놀이에 문화적으로 부여하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교육 목표와 실천의 비연속성 및 프로젝트 접근과 시각문화교육의 연관성이 논의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field practice or “a story,” in which a group of five year old children encountered the Korean traditional medium or art, black ink. They explored and investigated the black ink and Hanji, not as a series of preplanned activities in art curriculum, but in the context of a long-term project, follow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Reggio Emilia, Ital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ed materials, it examines educative potentials of the black ink and the meanings the children attributed to the black-ink-play, along the following three lines: learning embedded in the black-ink-play, the black-ink-play as “a language”, and children's construction of cultural meanings of the black-ink-play. The lack of continuity between the goals/ideals of art curriculum and the dominant instructional practice is noted and some possible relevance of this project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discuss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미술교육에서의 심미적 인간 연구 이성도 pp.1-3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 :의미, 역사, 그리고 교육실천의 가능성 모색 정현일 pp.35-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아동 미술표현의 상징성과 의미에 대한 소고 박라미 pp.71-9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미술과 지역사회의 파트너쉽 :지역사회 미술교육의 성립 배경을 통해 본 실태 연구 김형숙 pp.93-1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초등학생의 학년별 미술과 학업 성취도, 인식도 및 효능감의 관계분석 연구 :경남을 중심으로 윤쌍웅 pp.125-14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예비·현직 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홍은미 ;김선아 pp.149-1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놀이와 체험 중심의 통합적인 조기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성수 pp.175-21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 오문자 ;서윤희 pp.211-2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전문계 고등학교 인쇄매체 광고 컨셉트의 창의적 시각화를 위한 수업 연구 최유경 ;박은덕 pp.241-2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환경미술교육의 방향과 내용 탐색 김향미 pp.271-29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질적 탐구'로서의 미술비평 :John Dewey의 관점에서 교육적 미술비평에 대한 재고찰 김연희 pp.293-32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임상미술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IQ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선현 ;김대현 pp.323-34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조형성과 디지털 프린팅을 통한 일상적 활용모델 연구 박남희 pp.347-3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using the Diverse Teaching in Korean Paintings 소장
2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Methodology of VCAE 소장
3 A Plan for expanding creative expression faculty through phased teaching of Korean paintings 소장
4 교육부(1994). 제6차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Ⅰ), (Ⅱ), (Ⅲ) .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미소장
5 교육부(1998).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Ⅱ), (Ⅴ) .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미소장
6 초등학교 교육과정 소장
7 A Review and Discussion of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Revised in 2007 Curriculum 소장
8 (2003). 「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탐구-초등학교 미술과 한국화 지도에 관한연구」.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간행논문집, 319-367. 미소장
9 Brent Wilson"s Contribution to Art Education 소장
10 문화적 정체성 탐구를 위한 시각문화교육 : 옛 이야기를 주제로 한 종이공예 소장
11 레지오 접근법을 통한 미술과 수업의 적용 방안 소장
12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프로제따찌오네(progettazione)를 통해서 본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의미 탐색 소장
13 (2004). 「협력적 탐문으로서의 어린이들의 대화」. 교육학 연구42(1), 223-256. 미소장
14 전도식기 아동의 한국화 표현지도의 통합적 접근 방안 소장
15 (2003). 「레지오 접근법과 반영적 추상 활동을 접목한 유초 연계 표상 활동 연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국민학교 현장연구 24, 315-328. 미소장
16 초등학교 수묵화 지도법 소장
17 A Study of the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Moulding Characteristics of Line and Ink Colours - 소장
18 A Study on Teaching Korean Painting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소장
19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NAEYC. 미소장
20 Reconstructing educational psychology: Situated cognition and Deweyian pragmatism 네이버 미소장
21 Introduction à la lecture de Jean-Paul SartreJacques Marchand Montréal, Liber, 2005, 170 p. 네이버 미소장
22 Art as Experience. New York: G. P. Putnam’s Son, 1934. 미소장
23 (2002) Clarify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rt education, 55(3),6-11 미소장
24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25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2nd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4. 미소장
26 (1994). Different media, different languages. L. Katz & B. Cesarone. (Eds.). Reflection on the Reggio Emilia Approach. ERIC 미소장
27 (2000). The Constructive perspective on early education: applications to children's museums. In J. L. Roopnarine & J. E.... 미소장
28 (1998). Negotiated learning through design, documentation and discourse. In C. Edwards, L. Gandini, L. & G.Forman(Eds.), The... 미소장
29 Constructivism: Shape-shifting, substance, and teacher education applications 네이버 미소장
30 (2005a). From the beginning of the atelier to materials as languages. In L. Gandini, L. Hill, L, L. Cadwell, & C. Schwall. (Eds.), In... 미소장
31 (2005b). The evolution of the atelier: Conversations from Reggio Emilia. In L. Gandini, L. Hill, L. Cadwell & C. Schwall(Eds.), In the... 미소장
32 (2000). Two reflections about documentation. In L. Gandini & C. P. Edwards(Eds.), Bambini: the Italian approach to infant/toddler... 미소장
33 (1993/1995). 역사, 사상, 기본 철학.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 . 김희진, 오문자 역. 서울: 정민사. 77-143. 미소장
34 (2006).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Liste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London: Ruotledge. 미소장
35 (2005). The whole school as an atelier. In L. Gandini, L. Hill, L. Cadwell & C. Schwall (Eds.), In the spirit of the studio: Learning... 미소장
36 (1993/1995). 발현적 교육과정과 사회적 구성주의.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어린이들의 수많은 언어 . 김희진, 오문자 역. 서울: 정민사.... 미소장
37 (199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8 (2004). Poetic languages as a means to counter violence. In V. Vecchi & C. Guidici(Eds.), Children, art, artists: The expressive... 미소장
39 (1962).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 MIT Press. 미소장
40 Art Education and Intertextuality : Linking Three Visual Cultural Pedagogical Sites 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