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북한의 위협과 한미동맹 / 송대성 1
〈논문요약〉 1
I. 문제 제기 2
II. 북한 위협: 종류와 배경 4
1. 북한위협 종류 5
2. 북한위협 배경 6
III. 북한위협과 대남 군사적 도발 11
1. 대남 군사적 도발 가능성 변수 12
2. 대남 군사적 도발 불가능성 변수 13
IV. 북한위협 성공적 차단: 한미동맹은 필요조건 14
1. 한미연합방위체제는 북한 위협 성공적 차단을 위한 필요조건 16
2. 한미연합방위체제 구성 원칙 및 구비전력 17
V. 요약 및 결론 25
참고문헌 27
〈Abstract〉 30
북한은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 남한정부에 대한 비난 및 위협수준을 높이고 있다. 하
지만 남한정부는 이에 무응답으로 일관하였고 이에 북한의 협박수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북방한계선(NLL)을 비롯한 광명성 2호의 발사는 군사적 위협의 수준을 넘어 동북아
지역에 심각한 안보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의 로켓발사 이후 이를 규탄하는 유엔
안보리 15개국의 의장성명이 채택되면서 북한은 6자회담 무효화를 일방적으로 선언하였다.
여기에 덧붙여 한국의 PSI 참여선언에 대해 이것이 노골적인 선전포고이며 서울이 군사분계
선으로부터 불과 50㎞ 안팎에 있다고 하면서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의 위협을
성공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한국의 국정과제들 중 최대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북한이 고조시키고 있는 위협행위들이 군사적인 도발로 이어질 것인지 여부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 여기에는 군사적인 도발을 함부로 할 수 없는 도발불가능성의 변수들도 있
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자체의 군사력과 미국의 군사력이 동맹국의 연합된 군
사력으로서의 한미연합방위체제이다. 상호신뢰와 원칙을 통한 한미연합방위체제의 결성은
향후 한미 양국간의 안보협력 뿐 아니라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버팀목이 될 것이다.
The North Korean raises the standard of nuclear threat and the blame 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ince the launch of the Lee Myung-bak government
last yea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toughened policy to corner
Pyongyang to give up its nuclear weapons, which was countered by North
Korea's virtual ultimatum to sever practically all ties with the South Korea.
Especially, North Korea's missile tests are reminder of the menace posed by the
Kim Jong Il and the grave threat its possession of long-range missiles pose to the
security of South Korea and East Asia.
The decision to enrich uranium and missile tests are in clear defiance of the
Security Council, The 15-nation council of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as
proposed a strongly worded presidential statement as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resolution. After that North Korea proclaimed six-party talks inefficiency. The
actual effect is that north Korea verified it could not intimidate the South Korea
directly. Consequently, In addition to discussing security issues, the South Korean
ministers tried to mend security risk from North Korea.
Many experts and politicians are trying to predict provocation of North Korea ,
but these predictions are very uncertain. Because, an act of war is hampered by a
variety of restrictions. First and most importantly, the governments of the South
Korea and the U.S. have officially emphasized the continuation of the alliance.
As a result, it is time for South Korea and the U.S. to work to restructure the
ROK-U.S. alliance to fit the newly-changed security environment. The restructuring of the alliance will be the first step in the process of ROK-U.S.
relations and for establishing a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6·25 前後史의 再인식 :국가정체성·안보·통일에 주는 含意 | 홍관희 | pp.9-39 |
|
|
6·25전쟁의 성격과 개전 책임문제 | 이완범 | pp.41-76 |
|
|
북한의 위협과 한미동맹 | 송대성 | pp.77-107 |
|
보기 |
북한의 GNI 분배구조와 주민의 소비생활수준 | 홍성국 ;윤홍석 | pp.109-137 |
|
|
남북한 관계의 형성과 기원 :1970년대 적대적 상호의존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 김일한 | pp.139-177 |
|
|
북한의 경제특구 :현황과 과제 | 최상권 | pp.179-210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동기ㆍ권영근(역), 『합동성 강화: 미 국방개혁의 역사(Gordon Nathaniel Lederman, Reorganizing the Joint Chiefs of Staff)』, 연경문화사, 1999. | 미소장 |
2 | 전시작통권 환수에 따른 국가위기관리체제 확립방안 | 소장 |
3 | 김정익, 『지상전력과 한국안보』, KIDA Press, 2007. | 미소장 |
4 | 김태우, “북한의 미사일 게임,”한국자유총연맹, 『자유공론』(2009년 3월호, 통권504호), pp. 50~54. | 미소장 |
5 | 남만권, 『북핵문제와 한반도 안보』, 한국국방연구원, 2008. | 미소장 |
6 | 병립형 동맹체제 하에서 군사작전 대비방향 | 소장 |
7 | 한미 연합 방위체제로부터 한국 주도 방위체제로의 변환 | 소장 |
8 | 북한의 대남 강경책의 배경과 의미 | 소장 |
9 | 박인휘, “한미공감대형성과 남·북·상호의존적 전략수립이 필요,”북한연구소(사), 『겗韓』(2009. 5. 통권 449호), pp. 22~30. | 미소장 |
10 | 송대성, “북한의 안보정책,”송대성(편), 『주변국 안보정책과 우리의 대응전략: 9ㆍ11테러사태 이후』(세종정책총서 2003-4), 세종연구소, pp.271~338. | 미소장 |
11 | 이대우, “차기정부 국정과제: 한ㆍ미관계 현안과제,”송대성(편), 『차기정부의 국정현안과제: 외교ㆍ안보ㆍ통일분야』(세종정책총서 2007-3), 세종연구소, pp. 133~62. | 미소장 |
12 | 이상현, “미국의 군사변환 전략,”세종연구소, 『국가전략』(제13권 3호 2007년 가을(통권 제41호), pp. 27~54. | 미소장 |
13 |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미동맹의 제 문제 : 외교적, 법적 문제를 중심으로 | 소장 |
14 | 미국의 대북정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15 | 통일연구원, 『북한동향』(월간)(제2권 제6호 (2008 11·12월호) | 미소장 |
16 | 북한인권백서 2009 ![]() |
미소장 |
17 | Amanpour, Christiane(CNN Chief International Correspondent), “Why did North Korea launch rocket?”(April 6, 2009. 14:24). | 미소장 |
18 | Chun Chaesung, “Transformation of the ROK-US Alliance: Alliance with the USFK's Strategic Flexibility and Changing Wartime Operational Control System,”The Council on Korea-U.S. Security Studies, Critical Issues and Tasks of ROK-U.S. Alliance Towards More Constructive Bilateral Security Relations (2006 Joint International Security Conference 21st Annual Conference), pp. 1~26. | 미소장 |
19 | Flake, L. Gordon, “The Future of 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and Korea's Role,”Unpublish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Eighte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Council on U.S.-Korean Security Studies (October 9~10, 2003, Washington, D. C.). | 미소장 |
20 | Kelly, James A., “Alliance in Transition: Strengthening Political Trust and Adaptability,”The Sejong Institute & The Brookings Institute, ROK-US Relations Towards Renewed Trust and Vitality (The 2007 Seoul-Washington Forum, Monday-Tuesday, May 14-15, 2007, Grand Ballroom, Seoul Plaza Hotel, Seoul, Korea), pp. 47~55. | 미소장 |
21 | Kim, Young Ho, “The Two Main Issues in Modernizing the ROK-US Alliance for the 21st Century,”The Council on Korea-U.S. Security Studies, Critical Issues and Tasks of ROK-U.S. Alliance Towards More Constructive Bilateral Security Relations(2006 Joint International Security Conference 21st Annual Conference), pp. 1~21. | 미소장 |
22 | Liping, Xia, “Prospects for Cooperative Security in East Asia: from Chinese Perspectives,”the nautilus institute (www.nautilus.org/archives/nukepolicy/workshops/shanghai-01/xiapaper.html(2007. 10. 13 검색) | 미소장 |
23 | Romberg, Alan D., “U.S. Strategic Interests in Northeast Asia: 2009 and Beyond,”Korea Research Institute for Strategy, Strategic Studies (Vol.XIV, No. 2, 2007), pp. 7~51. | 미소장 |
24 | Sohn Jie-Ae(CNN Correspondent), “Fathoming the mindset of North Korea’s leaders”(April 10, 2009. 03:21). | 미소장 |
25 |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Joint Vision 2020,”The U.S. Department of Defense, “Transformation Planning Guidance,”(April 2003) | 미소장 |
26 |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February 6, 2006). | 미소장 |
27 | Vershbow, Alexander, U. S.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Perspects for U.S.-Korean Relations,”(2006. 4. 27일 숙명여대 강당 연설에서) | 미소장 |
28 | The White House,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March 200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