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북방한계선 (NLL)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의 재검토 / 이재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국제법연구원, 2008.06.30
수록지명
서울국제법연구. 제15권 제1호 통권28호 (2008년 6월), pp.41-71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9140741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북방한계선 (NLL)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의 재검토 / 이재민 1

1. 들어가는 말 1

2. 북방한계선 채택 배경 및 운용 상황 3

3. 북방한계선의 법적 성격 4

1) 휴전협정의 법적 성격 5

2) 휴전협정 체결 직후 NLL 선포 행위의 법적 성격 6

3) 휴전협정 관련 조항에 대한 검토 8

4) 관련국의 입장 11

5) 소결 15

4. 유엔 해양법 협약과의 관계 15

1) 국제법 상 "해상 경계선"의 의미 15

2) NLL 관련 해양법 협약 관련 조항 16

3) 유엔 주도 협약으로서의 함의 18

5. 여타 국제법 원칙에 기초한 검토 19

1) 관련 국제법 판례 19

2) 여타 관련 사항에 대한 검토 23

3/2) 소결 25

6. 결론 : NLL관련 정책제언 25

〈Abstract〉 29

초록보기 더보기

As North Korea continues to pledge to stage military provocation along the Northern Limit Line (“NLL”) in an effort to invalidate the maritime demarcation line on the Yellow Sea, the possibility of military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posing a real threat. Increasing tension over the NLL also requires a thorough analysis on the legal status of the NLL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As long as the two Koreas have been recognized sovereign stat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y legal issue concerning the two Koreas needs to b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although it is true that each Korea does not recognize the other as a sovereign entity. Legal status of the NLL should, therefore, also be reviewed from relevant principles and jurisprudence of international law.

In 1953,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among North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lso on behalf of South Korea and 16 U.N. member states who had sent troops to South Korea’s rescue). Unlike the clear demarcation line on land, however, the Armistice Agreement did not provide explicit provisions regarding the maritime demarcation line on the Yellow Sea. In the Armistice Agreement, both sides agreed on other skeletal issues on the Yellow Sea, but not the actual demarcation line. Apparently, having been pressed for an earlier suspension of warfare, the two sides agreed to leave the issue for any future discussion or practice. As a result, right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ilaterally promulgated the NLL as the maritime demarcation line, mainly to prevent the South Korea from invading the North Korea. North Korea had also respected the NLL until 1972 when it began to challenge the legal status of the line. Even after 1972, however, North Korea continued to honor the line in various instances of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It has only become a hot issue between the two Koreas since 1999.

In analyzing the legal status of the NLL, the starting point should be the text of the 1953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Although there does not exist explicit provision on maritime demarcation on the Yellow Sea, the agreement contains various provisions which may shed light on resolving the issue. First of all, the other provisions in the agreement, such as the DMZ establishment provision, shows that one of the underlying purposes of the Armistice Agreement was to completely separate the armed forces of the two sides. As such, unless otherwise proven,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relevant provisions in the agreement in a way that a demarcation line was presumed.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many provisions in the Armistice Agreement which do provide implicit guidelines for a maritime demarcation line. For instance, reference to the five island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sea surface indeed indicate that the negotiators may have had in mind the lines connecting the islands. The NLL is the line connecting these islands and thus one could argue that it was presumed from the text of the Armistice Agreement. All these interpretations are also supported by the basic rules of international law as codified in 1969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Furthermore, the practice of North Korea since 1953 to 1999 evidence that it had accepted the line as a valid maritime demarcation line between the two Koreas. It may have done so reluctantly, but such sile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does seem to militate for the South Korea’s argument that the NLL is a de facto maritime demarcation line. Relevant precedents of the ICJ also support this line of proposition.

It may be true that the NLL issue cannot be simply reviewed from the legal perspective only and that a more proper way to solve the problem is to try to reach a political settlement between the two Koreas. Nonetheless, it is critical to be aware of the current legal status of the line and what rights and obligations each side has over the line under the current Armistice Agreement regime. Understanding the current legal status would provide the first step for any meaningful political discussions and negotiation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정서용 pp.1-2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남북경제협력의 국제법적 측면 :법과 정치 주진열 pp.23-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북방한계선 (NLL)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의 재검토 이재민 pp.41-7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안보적 관점에서 본 북한 급변사태의 법적 문제 신범철 pp.73-1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 정인섭 pp.101-13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전후 영토처리와 국제법상의 독도 영유권 제성호 pp.135-1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국제책임복구규칙의 법적 쟁점 최승환 pp.171-19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공해 어업과 공해상 승선검색절차 :중서부태평양 수산위원회(WCPFC) 채택 절차를 중심으로 박현진 pp.197-22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문화재의 기원국반환의 최근 동향 :이탈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이근관 pp.221-24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선박 및 선원의 신속석방보석금의 합리성 :Volga호 사건의 경우 정진석 pp.247-26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김영석 pp.265-29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교토의정서의 조림 청정개발체제에 대한 법적 검토 이재협 pp.293-31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미FTA상 '간접수용'에 관한 연구 김인숙 pp.315-34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엔인권이사회(Human Rights Council)의 새로운 국제인권보호제도인 보편적정기검토(Universal Periodic Review)에 관한 소고 우종길 pp.345-36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겨레 신문, 미소장
2 서울신문, 미소장
3 John Barry Kotch ; Michael Abbey, (2003) Ending Naval Clashes on the Northern Limit Line and the Quest for a West Sea Peace Regime, Asian Perspective 미소장
4 엄영보, (2008) 잊혀진 해전, 월간 해군 미소장
5 Korea Herald, 미소장
6 Narushige Michishita, (2007) North Korea's Military-Diplomatic Campaigns: History and Analysis, National Graduate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미소장
7 , 미소장
8 Dick K. Nanto, (2003) North Korea: Chronology of Provocation, 1950-2003, Report for Congress 미소장
9 Sanghee Lee, (2007) Toward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 Way Forward for the ROK-US Alliance, Center for Northeast Asian Policy Studies, The Brookings Institution 미소장
10 Julius Stone, (1954) Legal Controls of International Conflict, New York : Holt 미소장
11 김정균, (1985) 남북한간의 협정 형태에 관한 연구: 휴전협정과 평화조약 체결의 특성에 관한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미소장
12 김명기, (1986) 한국 평화조약의 체결에 관한 연구, 국제법학회논총 미소장
13 제성호, (1995) 남북한 특수관계론,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14 인민일보, 미소장
15 조선일보, 미소장
16 Hans-Joachim Schmidt, (2006)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hat Can the EU Contribute to the Six-Party Talks?, Peace Research Institute Frankfurt PRIF Report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