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징병제하 인권침해적 관점에서 군대문화 고찰 / 권인숙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09.08.20
수록지명
민주주의와 인권. 제9권 제2호 (2009년 8월), pp.185-21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9141031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징병제하 인권침해적 관점에서 군대문화 고찰 / 권인숙 1

(국문초록) 1

I. 들어가면서 3

II. 군대문화의 개념과 인권 6

III. 징병제하에서 군인의 인권 8

IV. 군대문화는 인권침해를 극복할 수 있는가? 14

1. 군기와 인권침해 14

2. 남성성을 통한 인권 침해적 요소 16

V. 한국사회가 지지하고 있는 군대문화 21

1. 군기에 대한 잘못된 이해 21

2. 강압적 군대문화를 재현하는 대학문화 25

VI. 정리하면서 29

참고문헌 31

ABSTRACT 34

초록보기 더보기

이 글은 군대문화의 인권침해에 대한 군, 정부,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여러 대안이 마련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군대문화와 인권침해에 대해 우리가 살펴보아야 할 요소를 점검하는 것을 목표로 쓰여졌다.

중요하게 변화해야 할 부분의 하나는 징병제 그 자체이다. 한국의 징병제의 진행 과정은 국민이 병사가 되어서 국가안보의 도구로서 적응해나가는 과정이었다. 도구적 관점은 철저하게 개인의 삶이 무시되는 군 생활을 힘들지만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내면화시켜왔다. 군인의 인권은 인권을 지켜야 한다는 선언적 노력만이 아니라 하나하나의 작은 정책이나 실행방향에서 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가지고 기존의 관념을 바꾸면서 발달시키고 지켜나가야 의미를 가지는 문제이다. 그러나 한국은 아직도 군인권이 생소한 개념일 정도로 이에 대한 관심이나 토론이 활발하지 못했다.

또한 군의 획일성, 형식성, 강압성의 논리는 개인의 자율성, 개성을 억압할 가능성이 높아 인권 침해적 요소를 양산하는데다 한국같이 군인 개인의 징병제의 도구화개념이 우선하고 서열과 위계의식이 강한 나라에서는 군기는 끊임없는 인권침해의 명분으로 쓰일 가능성이 높다.

남성성, 남성다움은 군에서 계급적 질서를 유지하고 운용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쓰이고 있고, 차이에 대한 혐오를 합리화시키고 적응력이 떨어지는 사병은 무능력한 자신을 남성연맹에서 떨어져 나와 남자답지 못하다는 이유로 자기혐오를 강화하는 작동원리가 되기도 한다. 여성성의 혐오나 여성을 대상화시키는 성문화 또한 다양한 남성성을 포용하거나 인정하는 문화를 형성하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이런 문화는 언어폭력이나 성폭력의 중요한 기제가 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우리 사회는 강압적 서열적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군대문화의 순기능을 믿고 있다. 해병대식 극기 훈련의 인기나 대학의 강압적 서열문화와 그의 필요성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는 우리 사회가 군대문화가 만들어내는 인권 침해적 요소를 가치관이나 일상적 실천을 통해서 극복할만한 힘과 대안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에 대한 의심을 하게 만드는 부분이다.

결국 군대문화의 인권 침해적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군의 자체적인 변화노력도 필요하지만 한국사회가 징병제의 전망에 대한 대안을 세우고 운용을 감시하고 인권 침해적 요소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는 등 시민참여적 제도를 활성화 시키는 것 또한 필요하다. 그리고 위계적, 서열적 조직문화를 성찰적으로 평가하고 의식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군대에서 부양하는 남성성에 대한 다면적 평가나 변화의 노력도 동반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inspect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at a time when the army, the government and the society’s interest for human rights violations within the military culture continually rises, and many solutions are being made.

One of the elements that is in the most need for change is conscription itself. The Korean conscription system was a process during which citizens, in becoming soldiers, adapted themselves to being used as an tool for national security. This instrumental point of view has caused the internalization of the idea that it is acceptable that life in the army overrule one’s personal life. The issue of the soldier’s human rights needs more than merely proclamatory efforts about the needs to protect human rights. In order for there to be meaningful progress, there needs to be, in the making and practice of every policy, sensitivity concerning human rights, as well as the preservation of the changement and amelioration of existing ideas. However, human rights within the army is still an unfamiliar topic in Korea, and interest and debates concerning the subject are not yet active.

Also, the army’s standardized, formalized and oppressive way of thought has a great chance of limiting one’s liberty and individuality, and therefore creates elements that violate human rights. In a country such as Korea, where the priority is put on the soldier’s role as a tool in the recruit system, and where social hierarchy is strong, the military spirit is prone to be used as an excuse for the endless infringement on human rights.

Within the army, masculinity is used as a crucial element in the maintenance and function of hierarchical order, and for rationalizing the hate of difference. It also causes soldiers that are not able to adapt to the environment to develop self hate for not being able to stay within the league or to be manly. The hate of femininity and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also hinders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 that accepts various forms of masculinity. This kind of culture becomes a significant cause of verbal or sexual abuse.

The most important problem our society believes that the oppressive and hierarchical form of human relations that the army creates has a positive function. The popularity of marine style discipline training or the widespread agreement on the necessity of the oppressive hierarchy culture within universities make one wonder whether or not our society actually has the strength and th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human rights violating aspects that the military culture creates through changing values and everyday practice.

In the end, in order to overcome the aspects of military culture that violate human rights, there is a need for change not only within the army itself, but within the Korean society. We must establish a system of citizen participation to search for alternatives to the current recruit system, continually inspect its mechanism, and contribute to the effort to rid of its human rights violating aspects. There must also be an effort to reflectively evaluate our hierarchical culture and to change consciousness, as well as an effort to consider from different aspects and to change the masculinity created by the arm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국가유공자보상의 범위결정 및 보상의 원칙 :5.18민주유공자법에 대한 규범체계적 접근을 중심으로 전광석 pp.5-2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5.18민주유공자 보상법의 현황과 과제 이희성 pp.27-6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5.18민주유공자 보훈제도의 개선방안 민병로 pp.69-9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5월운동에서 국제연대의 발전과정 분석 나간채 pp.97-12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4.19 혁명과 인권 :인권개념에 대한 인식과 제도의 변화 이정은 pp.129-15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정보사회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연구 송경재 pp.157-18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징병제하 인권침해적 관점에서 군대문화 고찰 권인숙 pp.185-21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민주주의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과 대안 모델 :의의와 한계 문지영 pp.221-24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사멸성, 탄생성 그리고 정치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에게 있어서 사멸성과 탄생성의 인간조건이 갖는 정치적 함의 박혁 pp.251-27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일본 시민사회 성장과 공공성 재편 논의 민현정 pp.281-31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Uprisings and civil society :Nepal's 1990 jana andolan George Katsiaficas pp.317-36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군대 인권상황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발표회 네이버 미소장
2 대통령소속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결정례집 :2006.1~2008.1", 대통령 소속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2008 미소장
3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2007. 『2007년도 조사보고서 : 위원회 사업과 조사활동』. 미소장
4 군대경험의 의미화 과정을 통해서 본 군사주의 성별정치학 : 남녀공학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5 (2005) 『대한민국은 군대다』 청년사. 미소장
6 징병제의 여성참여 : 이스라엘과 스웨덴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7 군대 섹슈얼리티 분석 : 성욕, 남성성, 동성애 등을 중심으로 소장
8 장병 기본권 지침 연구 소장
9 병역의무와 근대적 국민정체성의 성별정치학 소장
10 1997. “군의문사 조사경험을 통해 본 현 판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군복무중 자살에 대한 이해와 판례분석.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미소장
11 2003. "군대는 사회성을 키워 주는 곳". 『성공하고 싶다면 군대에가라 2』. 국방일보 엮음. 중앙 M&B. 미소장
12 2005. "군사주의가 재현되고 실천되는 공간으로서의 남녀공학대학교: 평생교육학적 개입의 장". 『한국평생교육학연구』. 11(4). pp. 1∼ 32. 미소장
13 남녀공학대학교의 군사문화와 여학생 '시민권' 구성과정 : 음악대학 성악과를 중심으로 소장
14 2003, " ‘하면 된다’는 강한 정신력 키워", 『성공하고 싶다면 군대에 가라 2』. 국방일보 엮음. 중앙 M&B. 미소장
15 2007.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이현정 옮김. 또 하나의 문화. 미소장
16 군대 내 인권상황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네이버 미소장
17 군 인권 문제,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소장
18 2005. “인권의 관점으로 본 병영시설의 문제점과 과제” 군인권문제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제 23회 국회인권포럼 정기 심포지엄 자료집. 미소장
19 2006. 『군대사회학』. 황금알. 미소장
20 2007, "군 문화 의식 및 실태조사 보고서", 군의문사진상규명위 원회. 미소장
21 군사 안보법 연구 소장
22 2005. "독일 병무 행정체계의 경험적 고찰". 『병무』 62호. 가을. 미소장
23 2003, "한계라고 생각할 때 한 걸음만 더 내딛자". 『성공하고 싶다면 군대에 가라 2』. 국방일보 엮음, 중앙 M&B. 미소장
24 군대문화의 남성중심성과 양성평등교육 소장
25 병영문화와 군대인권 : 육군의 인권개선 추진실태를 중심으로 소장
26 2003. "병역의 의무는 누구에게나 평등", 『성공하고 싶다면 군대에 가라 2』. 국방일보 엮음, 중앙 M&B. 미소장
27 군대 내 인권실태 및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연구 네이버 미소장
28 징병제의 역사 : 국가폭력과 민주주의의 충돌 소장
29 (1996), 「한국 군대의 사회학」, 서울 : 나남 출판. 미소장
30 군대내 성폭력 실태조사 군대내 남성간 성폭력.성의식 실태조사 네이버 미소장
31 2004. A Nation In Barracks: Modern Germany, Military Conscription and Civil Society, Translated by Andrew Borham with Daniel... 미소장
32 CONSCRIPTION AND DEMOCRACY The Draft in France,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네이버 미소장
33 (1998), Camouflage Isn't Only for Combat: Gender, Sexuality and Women in the Military, NY &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미소장
34 (2001), “Emasculating the Duty to Defend? Gender identities and Swedish Military Organization,” Reconstructing the means of... 미소장
35 Finding the man in the soldier-rapist 네이버 미소장
36 Military, Masculinity, and Citizenship: Tensions and Contradictions in the Experience of Blue-Collar Soldiers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