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가족유사성'으로 미술의 개념 정의하기 / 김황기 1

〈요약〉 1

I. 서론 1

II. 미술 개념 탐구의 필요성 3

III. 미술 개념 탐구를 위한 기존의 개념 검토 5

1. 명명적(命名的: definitive) 정의 5

2. 기술적(記述的: descriptive) 정의 8

IV. 미술개념의 명료화 9

1. 가족 유사성으로 미술개념 정의하기 9

2. 의미를 미술의 규범으로 삼기 11

V. 결론 14

【참고문헌】 16

【Abstract】 18

초록보기

논의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미술’이라는 개념과 유일하게 결합된 의미도 없고, 여러 ‘미술’이란 개념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들에 공통적 의미요소도 없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용법들이 서로 얽혀 있다. 셋째, ‘미술’이라는 개념은 닫혀있는 것이 아니라 더 넓게 확장할 수 있다는 추론에 도달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을 정의하기 위해 기술적 정의 방식과 비트겐슈타인의 ‘가족 유사성’이라는 아이디어에 주목하여 미술의 의미를 미술작품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술작품과 비 미술작품을 구분해주는 규범이나 준거를 다음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① 사람이 만든 것, ② 미술적 과정을 거친 것,

③ 전시공간에 있는 것, ④ 의미가 있는 것.

이 네 가지를 미술의 징후 또는 규범으로 보자는 것이다. 어떤 대상이 이들 네 가지 징후 모두를 가지고 있다면 당연히 미술작품으로 간주하는 것은 물론, 이 중 몇 가지만 공유해도 미술작품으로 인정하자는 것이다.

In general, the word of ‘art’ usually refers to visual art-things that have been drawn, painted, or sculpted. However, art is a difficult concept to define because, as Dorn(1994) has noted, the definition inevitably “will be based on the individual's own experience of art and reasoning institution”(p. 17).

From the result of study, I outlined four symptoms or criteria by which we determine wether something is a work of art. I borrowed Wittgenstein's idea of ‘family resemblance’ to define the concept of art using method of the descriptive definition.

(1) A work of art as anything made by man

(2) Art as the product of an artistic process

(3) The institutional theory of art

(4) A work of art as anything laden one's meaning

Conclusion is simple and clear. I consider these four as symptoms or criteria to determine wether something is a work of art or not. If something has four of symptoms or criteria, it is absolutely a work of art. Even if something has some of them, it is a work of ar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중문화의 시각문화교육적 이해와 접근 연혜경 pp.1-26

보기
미술교육에서 지각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 :미술의 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이모영 pp.27-52

보기
미술교육 연구를 위한 방법론 고찰 :CBR과 CBAR 방법론을 중심으로 정현일 pp.53-79

보기
한국 유·초·중등 미술표현발달 표준개발을 위한 연구 결과 분석 김정희 ;전성수 ;김영길 ;황연주 ;김정선 ;강병직 pp.81-120

보기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육적 경험의 성찰 :아동의 미술 다시 보기 서제희 pp.121-148

보기
유아 미술작품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임부연 ;최영명 ;류미향 pp.149-173

보기
동시대 미술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성민우 pp.175-193

보기
'가족유사성'으로 미술의 개념 정의하기 김황기 pp.195-212

보기
시각문화 연구로서 뮤지움 교육의 가능성 :뮤지움 교육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구보경 pp.213-228

보기
박물관 교육 인력 직무 분석과 역량강화 교육운영 방안 연구 백 령 pp.229-247

보기
뇌기능특성으로 본 로웬펠드의 시각형과 촉각형 고찰 : 의사실기를 중심으로 홍은실, 주용국 pp.207-236

미술 감상수업에서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Davis의 공감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반진주, 노용 pp.289-320

DBAE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이 아동의 다문화 인식과 반편견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충남 서산시 C초등학교 3학년 미술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홍창호 pp.23-56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본 시각문화미술교육 이재영 pp.1-22

융합의 지형도 그리기 : ICT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융합인재교육과정 개발 김형숙 pp.57-82

미술과 교수학습공동체에서의 반성적 사고와 실천에 관한 연구 : ㅈ미술교과모임의 사례 분석 서진아, 최정아 pp.321-354

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과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손승정 pp.267-288

쉴러의『인간의 미적 교육을 위한 편지 』가 함의하는 미적 교육의 목적 연구 이화식 pp.385-408

미술중심의 STEAM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 미래형과학교실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소현, 정현일 pp.83-118

동시대 현대미술의 의미 있는 수용에 관한 기초연구 이지연, 강주희 pp.151-174

남북한 미술의 특징과 교육과정 비교 김진아, 노용 pp.355-384

근대 초등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투시도법내용 분석 :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중심으로 박소영 pp.175-206

7차 교육개정안 미술교과서 참고작품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백중열 pp.237-266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문광훈(2006). 숨은 조화: 심미적 경험의 파장 . 서울: 아트북스. 미소장
2 박이문(1990). 현상학과 분석철학 . 서울: 일조각 미소장
3 백기수(1992). 예술의 사색 .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4 의미체험과 의미구현의 터전으로서 예술 소장
5 인간과 예술 소장
6 윤난지(1999). 모더니즘 이루 미술의 화두 . 서울: 눈빛 미소장
7 조광제(2006). 철학 예술을 읽다 . 서울: 동녘. 미소장
8 백승길, 이종승(역) (1996). 서양미술사 . Gombrich, E. (1990). The story of art. 서울: 예경. 미소장
9 안병무(역) (1999). 창조와 용기 . May, R. (1975). The courage to create. 서울: 범우사. 미소장
10 김정(역) (2006). 독일의 미술교육 . Meyers, H.(1973). Dei welt der kindlichen bildnerei.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11 김광명(역) (1998). 미학과 미술교육 . Parsons, M. & Blocker, H. G. (1993). Aesthetics and education: Disciplines in art education: Context of understanding. 서울: 현대 미학사. 미소장
12 황향숙․김성숙․김지균․김향미․김황기(역) (2007). 예술을 통한 교육 . Read, H. (1958). Education through art. 서울: 학지사. 미소장
13 유호적(역)(2001). 미학 개론: 예술철학 입문 . Sheppard, A.(1987). Aesthetics: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art. 서울: 현대신서. 미소장
14 김채현(역) (1991). 예술개념의 역사: 테크네에서 아방가르드까지 . Tatarkiewicz, W.(1980). History of the concept of art. 서울: 열화당. 미소장
15 심혜련(역) (2005). 미학의 경계를 넘어: 현대 미학의 새로운 시나리오, 진단, 전망 . Welsch, W.(1996). Grenzgang der Asthetik. 서울: 향연. 미소장
16 진중권(역) (2006). 청갈색 책 . Wittgenstein, L.(1958). The blue and brown book. 서울: 그린비. 미소장
17 Anderson, T. & Milbrandt, M.(2005). Art for life: Aesthetic instruction in art. New York: Mcgraw Hill. 미소장
18 Bell, C.(1913). Art. New York: F. A. Stokes. 미소장
19 Cassou, M. & Cubley, S.(1995). Life, paint and passion: Reclaiming the magic of spontaneous expression. New York: Putnam's Sons. 미소장
20 Collingwood, G.(1958). The principle of ar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 Delaney, J.(1998). Engaging learners with art images. In Creating meaning through art. New York: Prentice Hall. 미소장
22 Dewey, J.(1916). Democracy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art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미소장
23 Dorn, C.(1994). Thinking in art: A philosophical approach to art education.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미소장
24 Freedman, K.(2003). Teaching visual culture: Curriculum, aesthetics and life of ar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25 Hospers, J.(1982). Understanding the arts. New York: Prentice Hall. 미소장
26 London, P.(1989). No more secondhand art: Awakening the greatest artist within. Massachusetts: Shambhala. 미소장
27 Shahn, B.(1957). The shape of cont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8 Weitz, M.(1956). Problems in aesthetics: an introductory book of readings. New York: Macmilla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