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근래 도시철도의 운영비와 건설비의 증가로 인하여 대도시에서의 도시철도사업 운영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부산도시철도의 당면 문제점인 이용 승객의 감소추세와 이용효율의 저하를 개선하고자 도시철도 중심의 환승체계의 구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산 지역내 부산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을 연결시키는 환승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양산시와 부산시와의 활발한 이동량과 사송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시행,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선 개통 등으로 양산시와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연결을 통한 도시철도망 환승체계 구축 필요성이 크게 대두됨에 따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양산선(노포~양산역~북정) 연장에 따른 도시철도 환승체계 구축 방안은 다방천변으로 건설하는 노선1을 최적노선 대안으로 선정함으로서 지역주민의 편리한 이용과 경제성은 물론 지역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2개 노선을 4가지 방법에 의한 경제성 분석 결과 노선1의 건설에 필요한 총 사업비는 단선 건설시 4,827.1억원으로 산정되었으며, 사업비중 순 공사비가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차량구입비, 예비비, 용지보상비, 부대비 순으로 나타났으며, 노선1 단선건설시 경제성 분석결과 편익/비용비(B/C)가 1.013, 순현재가치(NPV)가 72.7억원, 내부수익율(IRR)이 5.614%로 분석되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Recently, the management of metro business in large cities has become more difficult because of increased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s. The purpose of this paper presents the construction of transfer system to resolve about recent tendency to decrease of metro-users and diminution of use efficiency which are serious problems of Busan metro. To cope with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thods of obtaining returns on development profits of land value rises that occur due to transfer system construction between Busan metro line #1 and line #2 in Yangsan area. Therefore, it was made use of research on metro utilization to presuppose service improvement, as an alternative, in the transfer system construction between metro and metro which might be powerful influence over metro-users. In this research, it was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of rises in land values brought about by the transfer system construction of metro line #1 and line #2 in Yangsan area with application of four (4) methods, and have calculated a basis of the development profits produced by the transfer system construction of metro line. According to the economical efficiency analysis,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mount to 4,827.1 billion won of case #1 based on single track, and evaluate economically as B/C to 1.013, NPV to 72.7 billion, IRR to 5.614 perc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속도로 중앙하이패스차로 안전성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본선영업소를 중심으로 유봉석 ;이수범 ;박완용 ;도현구 pp.1-10

도시철도역사의 환승저항 모형 구축 연구 김황배 ;최진희 pp.11-15

보행권 확보를 위한 보행안전대책의 도입방안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선진국 보행안전대책을 중심으로 장석용 ; 정헌영 ; 우승석 pp.17-25

양산지역 도시철도 환승체계 최적노선망 구축에 관한 연구 최양원 pp.27-36

산업단지 공장시설의 주차수요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안우영 pp.37-44

주행차량의 복륜 여부 판정을 통한 차종분류 방안 오주삼 pp.45-51

아스팔트 포장구조체에 대한 중차량 제한하중 평가 박성완 ; 황정준 pp.53-60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도로사업의 간접편익 추정 김경주 ; 강기용 ; 김경민 pp.61-70

TMB공법 적용 현장별 생산성 분석을 통한 효율성 개선 방안 박홍태 ;송용선 pp.71-77

도로경관의 구성요소 제어를 통한 광역도로 경관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광역도로사례를 중심으로 김종구 pp.79-87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효과분석 :건대앞 노유거리, 성신여대앞 하나로거리, 이대앞 찾고싶은거리를 중심으로 강준모 ;박현신 pp.89-98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건설교통부(2006) 대중교통기본계획. 미소장
2 건설교통부(2007)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 미소장
3 경상남도(2003) 마·창·진 광역도시철도 사전예비타당성 조사. 미소장
4 경상남도(2009) 경상남도 도시철도 기본계획. 미소장
5 대한건설협회(2008) 건설통계연보. 미소장
6 부산광역시(2009) 부산광역도시철도기본계획(안). 미소장
7 양산시(2006) 양산시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 미소장
8 양산시(2008) 양산시 지방대중교통기본계획. 미소장
9 양산시(2008) 2020년 양산도시기본계획. 미소장
10 한국건설기술평가원(2005) BRT 편람. 미소장
11 한국교통연구원(2008) 2007년 국가교통DB구축사업. 미소장
12 C, Chi-Gook, S. Young Eun and J. Hun-Young (2001) Formulation of strategies for boosting the usage of Busan metro system,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Vol. 4, No. 6. 미소장
13 Liu, R., Pendyala, Rm., and Polzin, S. (1997) Assessment of Intermodel Transfer Penalties Using Stated Preference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60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