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고객가치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 고객유지율과 Take-Off시점의 영향을 중심으로 / 이석규 ; 정용재 ; 차태훈 1
[요약] 1
I. 서론 1
II. 기존문헌고찰 및 문제제기 2
2.1. 고객가치평가에 관한 문헌고찰 2
2.2. 선행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4
III.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5
3.1. 고객 수의 예측방법 5
3.2. 고객가치평가모형의 수립 5
IV. 실증분석 7
4.1. 분석대상기업 7
4.2. 분석대상기업의 분류 8
4.3. 고객가치를 통한 기업가치예측 9
V. 고객가치구성요소의 관리 11
5.1. 고객가치구성요소에 대한 민감도 분석 11
5.2. 각 기업특성 별 구성요소 민감도 분석 12
VI. 결론 14
6.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4
6.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14
참고문헌 15
ABSTRACT 16
본 연구는 최근의 기업 마케팅전략 목표와 각종 마케팅활동 성과평가에 관련하여, 기업의 고객관리활동을 중심으로 고객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가치를 지속적으로 관리 하고자 하는 데 필요한 평가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는 기업의 현실적 제약을 고려할 때, 어떠한 형태의 고객수에 바탕을 둔 예측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 보았고, 해당 기업에 적합한 활동 별 자원배분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기본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본 고객가치평가모형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Gupta, Lahmann, and Stuart(2004)(이하 GLS)의 고객가치평가모형은 항상 t=0시점에서 기업가치를 평가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정된 고객가치평가모형은 평가시점에서의 고객가치 및 기업가치를 산정함으로써 산출된 기업가치의 시장가치와의 비교 가능성을 제고시켰다. 둘째, Kim, Mahajan, and Srivastava(1995)는 이동통신서비스산업을 대상으로 하였고, GLS(2004)는 성장속도가 빠르면서도 영업손실을 보이고 있는 인터넷기반 기업 (닷컴기업)만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기업을 일반기업과 인터넷기업 모두에 확대하여 고객가치평가모형의 적용가능성을 일반화시켰다. 셋째, GLS(2004)의 연구는 한 기업 내에서 각 고객가치구성요소가 가지는 중요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서비스수요특성 (고객유지율 및 Take-off 시점)을 가지는 기업 간에 고객가치구성요소의 상대적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 혹은 산업 특성에 맞는 효율적 자원배분이라는 기업의 마케팅목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고객가치의 관점에서 고객유지율과 Take-off 시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