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상과 그림의 존재론 / 원승룡 1

【요약문】 1

1. 서론: 상의 존재의 문제 1

2. 상(이미지)의 존재 3

3. 그림의 존재 9

1) 그림 일반의 존재 9

2) 예술적 그림의 존재 17

4. 결어 21

참고문헌 22

Abstract 24

초록보기

이 글은 근본적으로 “그림이란 무엇인가?”란 물음에 대해 답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는 상(이미지), 또는 그림의 존재를 존재 그 자체로, 즉 표현되는 한에서의 존재로 고찰하는 ‘존재론적’ 관점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상의 심리학이나 사회학적 관점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예술과 비예술을 구별하는 기준의 문제는 그림의 본성을 논하는 일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본다.

우리는 상의 일종으로서의 그림이 기호나 상징과 부수적인 기능을 넘어 자신의 고유한 표현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모든 그림은 어떤 점에서 이미 ‘예술적’이다. 모든 그림은 창작적인 만듦인 한 예술의 일종이며. 사물을 단순히 있는 그대로 전달하려는 것이 아니라 존재를 둘러싼 힘들을 표출하려는 시도이다. 다만 보여 지고 보는 대상으로서의 그림은 우리 주위 세계의 재발견이라는 과업을 수행할 때 가장 예술적인, 그림의 존재의미를 완성하는 그림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picture?" This attempt is distanced from a psychological or sociological view of image in that it puts a priority on the ontological aspect, which inquire into a picture in itself, i.e., being as expressed. Again, it has little to do with the problem of drawing an art/non-art distinction.

I argue that a picture as an image itself bears it own faculty of self-expression beyond the collateral functions as signs or symbols. In some sense, all the pictures are 'artistic' in themselves. As far as they are of "creative making," they are a sort of art, and they do not just transmit the things as they are, but are attempts of expressing the forces encompassing the being. A picture, as an object to be seen, when carrying out the task of re-discovering the surrounding world, becomes the most artistic one, that completes its ontological mea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제마 사상설의 경험적 구조 崔大羽 pp.1-27

보기
한원진의 나흠순 이기일물설(理氣一物說) 비판과 그 배경 李相坤 pp.29-58

보기
공자의 소통의식에 관한 소고 朴海長 pp.59-81

보기
周敦이 哲學에 있어 마음의 의미 연재흠 pp.83-109

보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질서의 원인으로서 신 개념 연구 :『철학에 관하여』, 『형이상학』L, 『자연학』 Ⅷ을 중심으로 김요한 pp.111-133

보기
Plotinos에게 있어서 행복의 개념 :Enn.Ⅰ 4(46)의 논고를 중심으로 김태규 pp.135-167

보기
욕망은 인간의 본질 그 자체이다(cupiditas est ipsa hominis essentia) :『에티카』 3부 부록을 통해 살펴본 스피노자의 인간학 김원철 pp.169-196

보기
『칸트의 교육학 강의』에 관한 철학적 주석 8부 :칸트의 실천 철학에 기초한 현상학적 자기 해석 조관성 pp.197-227

보기
칸트에서 경험가능성과 상상력의 작용 김영례 pp.229-254

보기
선험적 지식과 필연성에 관하여 김학택 pp.255-279

보기
가능성의 현상학 :키르케고르의 실존의 삼 단계에 관한 소고 임규정 pp.281-325

보기
비트겐슈타인의 윌리엄 제임스 비판에 대한 재해석 김이균 pp.327-355

보기
데이빗슨의 은유 이론 노양진 pp.357-377

보기
Toulmin의 논증의 옹호와 교육적 적용에 대한 탐색 오준영 ;김유신 pp.379-425

보기
상과 그림의 존재론 원승룡 pp.427-450

보기
새로운 문화적 질서 :'시뮬라시옹의 질서'에 대한 일 고찰 문동규 pp.451-472

보기
생리학적 욕망과 기하학적 이성 간의 갈등 :『정념론』을 중심으로 본 데카르트의 욕망관 소병일 pp.473-502

보기
다윈과 현대 동물 인지 연구 김성환 pp.503-530

보기
그레마스의 의미론과 크라우스의 구조주의 미술사 지평 최병길 pp.531-555

보기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rnheim, R.,Visual Think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8. 미소장
2 Boehm, G.(편), Was ist ein Bild, Wilhelm Fink Verlag, 1994. 미소장
3 Gadamer, H. G., Wahrheit und Methode, Tübingen, 1975. 국역: 진리와 방법 , 이길우 외 3인 역, 문학동네, 2000. 미소장
4 Gombrich, E. H., 예술과 환영 , 차미례 역, 열화당, 2003. 미소장
5 Heidegger, M,, "Der Ursprung des Kunstwerkes", in: Holzwege, Gesamtausgabe, 5권, 1977. 국역: 숲길 , 신상희 역, 나남. 미소장
6 Jonas, H., “Homo Pictor: Von der Freiheit des Bildens", in: Was ist ein Bild. 미소장
7 Merleau-Ponty, M.,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1945. 미소장
8 Merleau-Ponty, M., "Le Doute de Cézanne", in: Sens et Non-Sens, Nagel, 1948. 미소장
9 Schapiro, M., "The Still Life as a Personal Object- A Note on Heidegger and van Gogh", in: The Reach of Mind, New York, 1962. 미소장
10 Schapiro, M., "On some Problems in the Semiotics of Visual Art:: Field and Vehicle in Image-Signs", in: Sign, Language, Culture, Paris, 197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