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몬테소리 교구를 활용한 기하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에 미치는 효과 / 김정은 ; 조성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12.31
수록지명
幼兒敎育學論集. 제13권 제6호 (2009. 12), pp.51-76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45807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몬테소리 교구를 활용한 기하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에 미치는 효과 / 김정은 ; 조성자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II. 연구 방법 6

1. 연구대상 6

2. 연구도구 7

3. 연구 절차 8

4. 자료처리 14

III. 연구 결과 15

1. 몬테소리 교구를 활용한 기하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에 미치는 효과 15

IV. 논의 및 결론 17

참고문헌 21

ABSTRACT 2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몬테소리 교구를 활용한 기하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서 몬테소리 기하교구가 우리나라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탐구생활 영역 중 수학적 기초능력 기르기 하위영역의 ‘공간 및 도형에 대해 알아보기’에 몬테소리 교구가 도움이 되는지 구체적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반 유아 40명이었으며, 분석결과 몬테소리 교구를 활용한 기하활동이 2, 3차원의 기하학적 관계인식, 공간좌표 인식, 대칭과 변형인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간적 시각화 및 공간적 추리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실험처치 전에 두 집단은 이미 공간적 시각화 및 공간적 추리 인식 개념을 매우 높게 습득한 상태였으므로, 사후점수가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Montessori 기하 교구가 현재 우리나라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공간 및 도형에 대해 알아보기’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ontessori geometric educational materials in 'learning spaces and figures', a subordinate section of training basic mathematical abilities under the inquisitive-activities division of the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s revised in 2007, by looking into the effect of geometric activities with Montessori educational materials on children's geometric concept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forty 5-year-old children. Geometric activities using Montessori educational materials are shown to have an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2 or 3-dimensional geometric relations, space coordinates, symmetry and deformation, while there i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cases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inference. The reason for the latter is that the two groups had already mastered the concepts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inference, which leads to the enhancement of scores but not to a statistical difference. In conclusion, Montessori teaching tools are helpful in 'learning spaces and figures' of the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al courses revised in 2007.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연구 김세루 ;천혜경 ;안상화 ;홍혜경 pp.5-2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미디어를 활용한 '지구의 땅 속' 주제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사고과정과 변화 안경숙 ;임수진 ;이유리 pp.27-4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몬테소리 교구를 활용한 기하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정은 ;조성자 pp.51-7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예비유아교사를 지도하는 교사들의 이야기 이대균 ;박지선 pp.77-10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정미라 pp.107-13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방은영 pp.131-16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음악교육 실제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본 교사교육의 방향 이영애 pp.167-18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경력 유아교사의 '심미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관한 인식연구 임부연 ;류미향 pp.187-20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치원 현장에서 보조교사가 하는 일의 의미 찾기 최혜윤 ;나정 pp.205-23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교육연구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관계'와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 주목하기 염지숙 pp.235-25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규칙의 중재효과 권혜진 pp.255-27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구성주의 교실공동체에서 또래 간 갈등해결을 위한 유아들의 사회도덕적 능력 곽향림 pp.277-30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역화 협력 체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관련변인에 따른 요구 유지은 ;윤진주 pp.303-32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풍토,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최현미 ;김성민 ;권정심 ;이경옥 pp.323-34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움직임을 통한 공간능력 향상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과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정 ;이정욱 pp.345-36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보육프로그램에 나타난 경제 관련 개념 분석 김숙자 ;김희경 pp.367-38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희경 pp.391-41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그리기 표현능력과 운동능력, 유치원 적응력 및 놀이특성과의 관계 지성애 ;김낙흥 ;조성희 ;박지희 ;윤소연 pp.411-43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유아의 기질 유형에 따른 이타행동 수준의 관계 송수미 ;박애경 pp.433-45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아스퍼거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사례연구 조희순 pp.455-48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7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유치원 교육과정 소장
2 유치원 교육과정 소장
3 좌표관련 활동이 유아의 공간좌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장
4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 개발 소장
5 幼兒의 空間座標點 知覺에 관한 硏究 소장
6 유아의 좌표지각능력과 위치표상능력과의 관계 연구 소장
7 幼兒의 空間座標知覺 發達에 관한 연구 소장
8 유아의 종이접기 활동이 기하 도형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소장
9 A Study of the Geomet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10 An Analysis of Standards of Geomet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US and Korea 소장
11 Review on Dynamic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ssessment 소장
12 (1997). K-ABC 지능검사 해석요강. 서울: 학지사. 미소장
13 The Effect of Dynamic Assessment Based Instruction On Children's Learning 소장
14 통합적 탱그램 활동이 유아의 기하 및 공간 감각에 미치는 영향 소장
15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a Geometry Program for Children 소장
16 Piaget理論에 基礎한 韓國兒童의 空間關係槪念 發達에 관한 實驗硏究: 地圖縮尺과 空間關係槪念을 중심으로 소장
17 1997. 유치원 교실에서 관찰된 만 3, 4, 5세 유아를 위한 언어 및 수학활동의 분석. 「교육학연구」35(4): 195-227. 미소장
18 (1999). 수학교육과 탱그 램 활동.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F. 수학 교육학술지 제3집, 139-168. 미소장
19 Geometry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소장
20 Study on Young Children's Representation of Solid Figures 소장
21 5~11세 아동의 공간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소장
22 유아의 수직-수평개념 발달에 관한 연구 소장
23 (2000).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패턴블록의 활용.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 연구소, 12, 1-28. 미소장
24 공간감각 신장을 위한 학습 활동 자료 개발 연구 소장
25 (1989). 위상적 공간에서 유아의 순서개념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 제15호, 58-64. 미소장
26 (2006). 온테소리 과학적 교육학. 서울: 신정. 미소장
27 유아수학능력검사 개발 연구 소장
28 탐구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소장
2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ools for Children with Patterns 소장
30 유아의 산수학습잠재력 측정 연구 소장
31 Development of Spati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소장
32 Spatial Representation of Geometrical Relations in the Drawings of Young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33 The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소장
34 Solving Geometric Problems by Using Unit Blocks 네이버 미소장
35 (1999). Why Do we Teach Young Children so Little Mathematics? Some Historical Considerations. In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s,... 미소장
36 Spatial Visualiza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High School Geometry 네이버 미소장
37 (1982). Strategies and structures in understanding geometry. New York: City University of New York. 미소장
38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spatial visualization test for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네이버 미소장
39 Young Children's Ability to use Coordinate References 네이버 미소장
40 (1990). Geometric concepts and spatial sense. In J. Payne (Ed X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Reston. VA: NCTM, 미소장
41 Young Children's Use of Spatial Coordinates 네이버 미소장
42 (2004). Storytelling sagas: an effective medium for teaching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미소장
43 (1998). Geometric and spatial thinking in young children. [ERIC, ED 436232]. 미소장
44 (1999). Your child's geometric world. Scholastic Parent and child, 7(2), 48-54. 미소장
45 Mathematics in the Preschool 네이버 미소장
46 Young Children's Ideas about Geometric Shapes 네이버 미소장
47 Clements, D. H. Conference Working Group(2003). Major themes and recommendations. In D. H. Clements, & A. M. Dibiase(Eds.),... 미소장
48 (2004). Geometric and spatial thin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D. H. Qements, J. Sarama & A. DiBiase(Eds.), Engaging young... 미소장
49 (2000). The young child and mathematics. Washington, D. C.: NAEYC. 미소장
50 (1999). Educating Hannah: It's a what? Teaching Children Mathemitics, 5(6), 326- 329. 미소장
51 (1986). Can grade two children's spatial perception be improved by inserting a transformation geometry component into their... 미소장
52 SPATIAL SENSE 네이버 미소장
53 (1968). Children's Understanding of Spatial Conception.Logical thinking in childre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미소장
54 (2002). Preschooler's mathematical reading.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7(4), 226-229. 미소장
55 (1975). Spatial ability, mathematics, and sexes. In E. Fennama(Ed.), Mathematice learning : What Research Says about Sex... 미소장
56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973. 미소장
57 (1984). The child's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bout location. In C. Sophian (Ed.), The origin of cognitive skills (pp. 81-111).... 미소장
58 (2004).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matics. Belmont, CA: Thomson Wadworth. 미소장
59 (1972). The Secret of Childhood. Translated by M. J. Costelloe. New York: Ballantine Books, Inc. 미소장
60 (1973). The Absorbent Mind. Translated by C. A. Claremont. Madras: Kalakshetra Publication Press. 미소장
61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000. 미소장
62 (1960).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London : Routledge & Kegan Paul. 구선희(1995) 재인용. 미소장
63 (1963). The child's of figures and, of selection of figure and on the grown up perception of the ability of facsimile(No. 2).... 미소장
64 (2000).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a quantitative study. Unpublished Doctoral... 미소장
65 (2001). Early Childhood Mathematics. MA: Allyn & Bacon. 미소장
66 Young Children's Use of Spatial Coordinates 네이버 미소장
67 Hemisphere deconnection and unity in conscious awareness. 네이버 미소장
68 (1958). Discussion on Child Developmen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미소장
69 The Use of Spatial Visualization in Mathematics by Girls and Boys 네이버 미소장
70 (1938). Primary mental abilities. Psychometric Monographs (Serial No. 1).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