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 張日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고전번역원, 2010.01.15
수록지명
민족문화. 제34집 (2009년), pp.7-5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45851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 張日圭 1

국문초록 1

I. 머리말 3

II. 최치원의 재당 활동 5

1. 빈공진사시 급제와 박학굉사 응시 준비 5

2. 고변 휘하 순관 활동과 관직 진출을 위한 귀국 11

III. 『계원필경집』의 내용과 특징 16

IV. 『계원필경집』에 나타난 교유관계 23

V. 맺는 말 36

참고문헌 40

중문적요 44

초록보기 더보기

최치원은 857년(신라 헌안왕 1)에 태어나 908년(신라 효공왕 12) 이후까지 활동하였다. 그의 집안은 儒學과 佛法을 존숭하면서 숙위학생을 등용하여 왕권을 강화하려는 경문왕계 왕실과 친밀하였다. 자연히 최치원 역시 입당유학을 통해 왕실과 가까운 관직으로 진출하려는 성향을 가졌다.

868년(경문왕 8) 당나라에 들어간 최치원은 당나라의 인재 등용 방법인 常選과 制擧에 모두 관심을 보였다. 낙양에 자리한 국자감의 태학에서 습업한 그는 874년(경문왕 14) 7월 이전에 예부시랑 배찬 아래서 빈공의 자격으로 생도시의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876년 겨울에 선주 율수현위로 나아갔지만, 보다 높은 관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877년 겨울에 현위직을 사임하고 박학굉사에 응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박학굉사의 중단과 황소군의 침략 위협이 더해지자, 최치원은 당시 성행했던 벽소제를 통해서 보다 높은 관직으로의 진출을 꾀하였다. 그는 879년(헌강왕 5) 10월 이후부터 884년 8월까지 약 4년 동안 당시 당나라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던 회남절도사 고변의 휘하에 나아가 관역순관을 맡았다. 객관과 역원을 돌아다니며 부정비리를 감찰하고 전적과 문서를 검열하는 임무를 담당하면서 그는 중앙 관직으로 轉職할 수 있다는 희망도 가졌다. 하지만 고변이 실각하고 회남도가 붕괴하여 더 이상 관직 진출을 기대할 수 없게 되자, 최치원은 귀국길에 올랐다.

최치원은 886년 정월에 고변의 휘하에서 막료생활을 하면서 지은 370수의 글을 모아 『계원필경집』 20권을 엮어 헌강왕에게 바쳤다.『계원필경집』은 여러 글을 유형별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각 권에 유형별로 나눈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찬술 연도의 시대순으로 글을 배열하였다. 특히 권1~권16까지는 대체로 고변을 대신한 글을 배열하였지만, 권16의 일부 글부터 권20까지는 최치원 자신과 관련된 글을 수록하였다. 최치원은 자신과 관련된 글에 고변이나 지인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혀 두었다 .

최치원은 자신의 입장과 생각을 담은 글에 배찬, 배료, 배숙, 배졸, 裵秀才 등 裵瓚의 일족과 송현, 양섬, 오만, 이관, 장고, 장웅 등의 활동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들은 중앙 관서의 관료나 지방관을 맡은 사람도 있었지만, 판관이나 순관 등 절도사의 막료 출신도 있었다. 지인들은 최치원이 국자감에서 진사시를 준비할 때나 급제 후 현위직으로 나아갈 때, 고변 휘하로 옮길 때 도움을 주었던 이들이었다. 이들은 당시 성행했던 좌주?문생의 관계를 통해서 하나의 세력을 이루고 있었다. 때문에 최치원은 자신의 관직 진출에 가장 근본적인 계기를 마련해준 진사시 좌주 배찬에게 각별한 애정을 가졌다.『계원필경집』은 당나라 황실과 고변의 관계는 물론 고변과 재상의 관계, 고변 휘하 인물의 활동상을 담았지만, 그보다는 재당시절 자신과 교유하였던 지인들을 소개하면서 재당시절에 관직 진출을 위해 변함없이 노력하였다는 점과 여전히 당나라에 자신의 지인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서 편찬되었다. 곧『계원필경집』은 경문왕계 왕실의 측근으로 활동하였던 자신의 위상을 높이려는 의도를 담았다.

崔致遠出生于857年(新羅憲安王1年),一直活?到908年(新羅孝恭王12年)以后。他的家族尊崇儒?和佛法,?登用宿衛學生,??强化王?的景文王系的王室?系密切。崔致遠也就自然的具有通?入唐留學而晋??王室密切的官職的?向。

868年(景文王8年)入唐的崔致遠在位于東都[洛陽]的國子監的太學里??。874年(景文王14年)7月以前,他在禮部侍郞裵瓚旗下,以賓貢的資格,在生徒試的進士試中及第。他在876年冬被任命?宣州?水縣尉,但877年冬,?了晋升高官,他在尙書吏部?加詩文三篇考?,??了???拔?秀人才的博學宏詞,?去官?。

可是879年博學宏詞中斷,崔致遠受到黃巢軍的掠奪威脅,便投?通??召制掌握??唐朝廷??的淮南節度使高騈。自879年(憲康王5年)10月至884年8月的?4年?,他?任巡官,??監察和文翰的任務。但因高騈?迷道敎,自身的抱??以??,他便于885年3月返回新羅。崔致遠最初想通?唐的人才登用方法常選和制擧,晋升高位官?,但逐?通?非正常的人才登用方法?召制,登上官?。

歸國后,崔致遠就?國王的?信侍讀一起?任瑞書院的文翰職。886年正月,他收集在高騈麾下?幕僚生活?所?的370首文章,??成《桂苑筆耕集》20卷??憲康王。《桂苑筆耕集》的文章中除了各卷按類型分?別外,大部分按照撰述年度的時代?序構成。崔致遠在卷1至卷16收?了替高騈?作的文章,?卷17?始收?了?他本人有?的文章。尤其是卷19至卷20主要是他?? ?系密切的熟人的文章。

崔致遠??他本人立?的文章,裵瓚、裵?、裵璹、裵拙等裵瓚一族,以及??宋絢, 楊贍, 吳巒, 李琯, 張?, 張雄等人的。其中主要包括侍郞, 尙書等中央官府的官僚和觀察使,或?任節度副使等地方官?,也有判官或巡官等出身于節度使幕僚的人物。?些人在崔致遠賓貢進士試及第,投身高騈麾下?,或入仕??助?他的人。崔致遠?進士試的座主裵瓚的?度特?。《桂苑筆耕集》?含了要强?在?多的變化和苦難之中,在知人的?助下,不??晋升官職而努力的意?。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張日圭 pp.7-5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金福順 pp.51-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최치원 시의 寓意性에 대한 일 고찰 金永峯 pp.87-11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桂苑筆耕集』의 국제적 위상 =漫敍 <<桂苑筆耕集>> 的國際地位 당인핑 pp.121-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權敬烈 pp.143-1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桂苑筆耕集』 刊行과 日本所在本 = 『桂苑筆耕集』の刊行と日本所在本 하마다 고사쿠 pp.179-217 원문보기 다운로드 보기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박재민 pp.221-27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錦城大君의 端宗復位 順興義擧 朴贊洙 pp.273-30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承政院日記』를 통해 본 草記의 전면적 考察 李康旭 pp.307-35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홍세영 pp.355-39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문묘석전 예찬 중 해(해: 젓갈)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영용 pp.395-4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윤성환 pp.417-4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舊唐書』,『新唐書』,『資治通鑑』,『東文選』 미소장
2 党銀平 校注,『桂苑筆耕集校注』上•下,中華書局, 2007 미소장
3 『崔文昌侯全集』, 成均館大 大東文化研究院,1972. 미소장
4 계원필경집 . 한국고전번역원. 2009. 미소장
5 『한글번역 孤雲先生文集』上•下, 孤雲先生文集編纂會, 1972~1973 미소장
6 2002 唐末五代變革期の政治と經濟 , 汲古書院 미소장
7 당대관료의 실태 : 선발과 축재를 중심으로 소장
8 최치원의 해외체험과 문화수용 소장
9 ,『新羅史研究』,近澤書店,1933 미소장
10 羅·唐 文人의 交流詩 硏究 소장
11 신라 화엄사사상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미소장
12 Nature of Politics in Ancient Korea and Formative Process of Political Ideas of Koryo 네이버 미소장
13 東國文學之祖崔致遠與唐末文人交遊考述 中國語文論叢 第25輯. 중국어문연구회. 2003. 미소장
14 『최치원신연구』,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미소장
15 『唐代政治社會史硏究』, 同朋舍出版, 1986. 미소장
16 당대 한중 문인의 교류에 관한 연구 : 동국문종 최치원을 중심으로 소장
17 崔致遠思想和作品硏究( 廣陵書社, 2007) 미소장
18 『唐代諫議制度與文人』,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미소장
19 ,『崔致遠撰『桂苑筆耕集』に關する總合的研究』九州大學敎育研究プログラム•研究據点形成プロジェクトB-2 研究成果報告書,九州大學,2003 미소장
20 『唐代社會經濟の構造的硏究』, こだま社, 1982 미소장
21 『唐代の詩人—その傳記』, 大修館書店, 1975 미소장
22 宿衛學生考 : 羅末 麗初의 知識人의 動向에 對한 일착 소장
23 「新羅留唐學生與僧徒」 『唐史硏究叢稿』, 香港, 1969. 미소장
24 2000 『당송팔대가의 산문세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5 唐代銓選與文學,中華書局, 2001年. 미소장
26 유성준, "唐代 後期詩 硏究", 푸른사상사, 2001 미소장
27 『崔孤雲의 삶과 文學』,(서울: 國學資料院,1995). 미소장
28 新羅下代 寶貢 及第者의 出現과 羅樹文人의 交驪.全海宗博士華甲紀念 史學論叢。 1979 미소장
29 新羅 統一期 및 高麗 初期의 儒敎的 政治理念 소장
30 新羅 六頭品 硏究 소장
31 "韓國古代史論", 探求堂, 1975 미소장
32 新羅의 文翰機構와 文翰官 소장
33 ,『唐代學士與文人政治』, 齊魯書社,2005 미소장
34 新羅末 賓貢諸子의 詩에 관하여 네이버 미소장
35 「唐代藩鎭의 跋扈와 鎭將」1~4『東洋學報』 26-4, 27-1~3, 1939~1940 미소장
36 新羅末 慶州崔氏 儒學者와 그 活動 소장
37 ,「『桂苑筆耕集』의 構成과 性格-崔致遠의 在唐 生涯와 관련하여」『韓國史學史研究』,나남출판,1997 미소장
38 崔致遠 撰 <浮石尊者傳> 의 復元 試論 소장
39 崔致遠 연구의 성과와 전망 소장
40 Choi, Chi-Won's Congnizance of native Silla tradition and Having compilation of Jewangyeondaeryeok 소장
41 崔致遠의 儒佛認識과 그 의미 소장
42 ,「최치원의 신라사회 이해와 재건 방향」『孤雲學報』창간호,2003 미소장
43 최치원의 入唐 修學과 활동 소장
44 최치원의 저술 소장
45 최치원의 귀국 후 활동과 은둔 소장
46 ,「崔致遠의 華嚴儈傳 찬술과 海印寺의 화엄사상」『新羅史學報』창간호, 2004 미소장
47 Choi, Chi-won's Political Ideology in Confucianism and Reformation Proposition 소장
48 숭복사비명과 경문왕계 왕실 소장
49 나말여초 지식인의 정치이념과 훈요10조 : 최언위의 정치이념을 중심으로 소장
50 「新羅 下代 社會와 崔致遠의 位相」『朝鮮古代の文人官僚•崔致遠の人と作品に關する歷史文學的硏究』, 九州大學大學院 人文科學硏究院, 2007. 미소장
51 Choi, Chi-Won(催致遠)`s the cognition of Balhae(樹海) and its significance 네이버 미소장
52 장일규, "崔致遠의 社會思想 硏究", 신서원, 2008 미소장
53 新羅末期 政治社會의 動搖와 六頭品知識人 소장
54 崔禹政權下의 文翰官 ; “ 能文 ′ · “ 能吏 ′ 의 人事基準 을 中心으로 소장
55 1987 「唐末淮南高騈の藩鎮體制と黃巢徒黨との關係について -新羅末の崔致遠の著 「桂苑筆耕集」 を中心として-」 東洋學報 68-3·4 미소장
56 "崔致遠의 哲學思想", 아세아문화사, 2001 미소장
57 "唐代政治制度の硏究", 創元社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