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 金福順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고전번역원, 2010.01.15
수록지명
민족문화. 제34집 (2009년), pp.51-8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4585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 金福順 1

국문 초록 1

I. 머리말 3

II. 최치원 역사인식의 형성 배경 4

III. 고려 사서에 남겨진 최치원의 역사인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7

IV. 최치원의 현실적인 역사인식 20

V. 맺음말 27

참고문헌 29

Abstract 33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는 최치원의 역사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우선 그의 생애와 저술을 간략히 살피고자 한다. 이는 그가 유학자로서 현실적인 합리주의 사관을 형성하게 된 과정을 역사인식의 배경을 삼고자 하는 것이다.

그의 역사인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첫 부분은 그의 역사인식이 끼친 영향 때문에 지속적으로 논의가 되고 있는 문제이다. 이는 김부식의『삼국사기』와 일연의『삼국유사』에 나오는 최치원 저술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첫째는 한국 상고사에 관한 인식의 문제이다. 그는 한국 상고사에 있어 기자를 가장 멀리 인식하고 있었다.『삼국사기』에서 기자를 상한으로 삼은 것과 같은 맥락으로, 김부식이 유학자로서의 최치원의 인식과 그 궤를 같이 한 때문으로 보았다. 반면『 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서 삼한을 ‘마한-고구려’, ‘변한-백제’, ‘진한-신라’로 연계한 최치원설을 적극 수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는『제왕연대력』과 중국과 신라와의 관계 설정에 관한 문제이다.『제왕연대력』에 보이는 왕호의 인식이 김부식에서는 사실주의에 입각한 진전된 모습으로 바뀐 반면에, 일연은 최치원설을 일부 따르고 있음을 비견해 보았다. 태종무열왕의 강조는 두 사서가 같은데,『삼국사기』에서 문무왕의 당과의 결전을 특기하여 신라의 독자성을 크게 부각시킨 측면은 역사서술의 진전된 모습임을 밝혀 보았다.

셋째는 유학자로서 3교 회통적 인식과 효선쌍미적 인식에 관한 문제이다. 최치원은 유학자이기는 하지만 유불도 3교의 회통적 인식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고려조 전반을 거쳐 비슷한 유형의 학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이었다. 그는 효선쌍미적인 인식을 선사들의 비명에서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일연이『삼국유사』에서 ?효선?편을 설정한 것과도 비슷한 맥락에서 인식할 수 있는 것이었다.

다음 부분은『계원필경집』 등 그의 저술에 보이는 현실적 역사인식이다.

하나는 당 중심으로 형성된 세계관으로 역사를 인식한 사실이다. 그는 합리주의를 표방한 유학자로서 매우 현실적인 역사인식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 연호의 중시, 당 중심의 외교관계 등에 주의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최치원과 김부식에 의해 杜撰된 수유학승 안함의 귀국연대 기사를 정리해 보았다.

다음은 사회개혁론에 드러난 그의 인식이 인재등용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신라 불교와 풍속을 동아시아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한문문장으로 표기한 점이다. 그에 의해 한문 문장으로 채록된 많은 불교 관계 기사는 고대문화의 보존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이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그는 신라시대의 국제적 상황인식을 가지고 사실적인 역사서술을 남겨 놓음으로써 한국의 역사가로서 한 획을 그을 수 있을 정도의 역사인식을 소유한 인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In order to fulfil the purpose, I mainly examined his life and writings. This approach is based on my opinion which regards the process where he, as a confucianist, formed realistic rationalism as the background of his historical cognition.

I expla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dividing it into two aspects.

First, I examined his historical cognition by focusing on his writings introduced in "Samkuksagi" by Kim Boo-Sik and "Samkukyusa" by Ilyeon. These writings have been continually studied because of their influences on other scholars after him. The discussions about this aspect are focused on the three parts.

The first discussion is Choi's cognition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He put the period of "Gija" on the top of the history. This kind of understanding is same as that of Samkuksagi because Kim Boo-Sik 's historical cognition is almost same as that of Choi Chi-Won. Also, Samkuksagi and Samkukyusa reflect Choi's histotical cognition which accepts the relation beween "Mahan" and "Kokuryeo," between "Byunhan and Backjye," and between "Jinhan and Silla."

The second discussion is the relation between China and Silla and "Jyewangyeondaeryuk." Kim Boo-Sik changed Wangho'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Jyewangyeondaeryuk into the realistic understanding. However, Samkukyusa by Ilyeon followed partly the Choi's understanding. The above two historical books emphasize the role of Mooyulwang; however, Samkuksagi can be understood as some more advanced historical book, compared with the Choi'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e sense that the book emphasizes the independency of Silla by mentioning Munmuwang's decisive battle against Dang.

The third discussion is the understanding about relations among the three religions(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Hyosunsangmi (two main values, filial piety and Zen)." Choi Chi-Won understood that the three religions could be communicated each other, although he was a confucianist. Most of scholars showed this kind of understanding during the first part of Koryeo dynasty. Choi explained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zen in the epitaphs of the previous Buddhist priests. This is very similar as the fact that Samkuyusa includes the chapter of filial piety.

Second, I discussed Choi's historical cognition showed in his writings, including "Gyewonpilgyungjip." In this part, I argued that he showed Dang-centered historical cognition. This wa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he, as a rationalist, realistically understood history. This kind of his understanding is showed in his emphasis of Chinese reign style and the foreign relations centered to Dang dynasty. Thus, I readjusted the year (reported by Choi-Chi-Won and Kim Boo-Sik) which Anham, a Buddhist priest, returned to Silla.

In addition, I illustrated that Choi's study on social reform was focused on the recruit system of the capable men. I also stated that he wrote in Chinese characters which the East Asian people could understand.

Although he had Silla's nationality, he explained history in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This reflects that he, as a historian, had a ground breaking historical cognition at that tim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張日圭 pp.7-5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金福順 pp.51-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최치원 시의 寓意性에 대한 일 고찰 金永峯 pp.87-11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桂苑筆耕集』의 국제적 위상 =漫敍 <<桂苑筆耕集>> 的國際地位 당인핑 pp.121-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權敬烈 pp.143-1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桂苑筆耕集』 刊行과 日本所在本 = 『桂苑筆耕集』の刊行と日本所在本 하마다 고사쿠 pp.179-217 원문보기 다운로드 보기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박재민 pp.221-27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錦城大君의 端宗復位 順興義擧 朴贊洙 pp.273-30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承政院日記』를 통해 본 草記의 전면적 考察 李康旭 pp.307-35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홍세영 pp.355-39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문묘석전 예찬 중 해(해: 젓갈)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영용 pp.395-4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윤성환 pp.417-4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6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三國史記』,『三國遺事』,『계원필경집』,『동문선』,『신증동국여지승람』,『고려명현집』,『최문창후전집』,『栗水縣志』,『楊州志』 미소장
2 최준옥 편,『국역 고운선생문집』상•하,보련각,1982. 미소장
3 ,『사산비명 집주를 위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미소장
4 ,『역주 최치원전집』1-2, 아세아문화사, 1998-1999. 미소장
5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신라편-』,가산불교문화연구원,1994. 미소장
6 파전한국학당, "孤雲의 思想과 文學", 新知書院, 1997 미소장
7 『崔致遠硏究』. 서울: 백산자료원, 1999. 미소장
8 한국사학회ㆍ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편. 2001. 신라 최고의 사상가 최치원 탐구. 주류성. 미소장
9 『최치원신연구』,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미소장
10 "최치원의 중국사 탐구와 사산비명 찬술", 韓國史學, 2005 미소장
11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일조각,2009. 미소장
12 『계원필경집』(1)과『고운집』, 2009. 미소장
13 鮑石亭의 종교사적 이해 소장
14 곽승훈, 崔致遠의 四山碑銘 撰述에 대한 試論, "역사와실학", 역사실학회, 2001, 19·20, 71~97 미소장
15 Articles : Choe Chi - won`s Inquiry into Chinese History and the Trends of his Thoughts 소장
16 崔致遠의 中國歷史探究와 그의 마지막 行步 : 「智證大師碑銘」에 인용된 중국역사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17 崔致遠의 佛敎關係著述에 대한 檢討 네이버 미소장
18 崔致遠의 「法藏和尙傳」 檢討 네이버 미소장
19 Choe Chi-won, His Remains in China and His Poetry UGye-won-pil-gyeong(桂苑筆耕)』 소장
20 최치원의 해외체험과 문화수용 소장
21 A Trend of Shilla Buddhism in the Era of Transformation from sui to Tang Dynasty 소장
22 고려의 최치원 만들기 : 「지증대사비」의 건립을 중심으로 소장
23 최치원의 해외체험과 동아시아적 소통의 문제 소장
24 「고운 최치원의 사산비명에 대하여」『고운의 사상과 문학』, 1997. 미소장
25 三韓位置에 對한 從來說과 文化性格의 檢討 소장
26 최치원(崔致遠)의 저작 네이버 미소장
27 「최고운의 기덕시 연구」『웅진어문학』1, 1983. 미소장
28 崔孤雲의 「檄黃巢書」硏究 소장
29 高麗中期의 文化意識과 史學의 性格 : <三國史記>의 性格에 대한 再認識 소장
30 心學者와 口學者 사이, '黃金방' 최치원의 딜레마 소장
31 崔致遠의 檄黃巢書에 대한 一考 소장
32 2002.「羅末麗初 전환기의 지식인 최치원」『강좌 한국고대사』8 미소장
33 崔致遠 <桂苑筆耕集>의 문헌적 가치 소장
34 「최치원의 유•도교사상에 대한 고찰」『고운의 사상과 문학』, 1997. 미소장
35 A Study on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ese & Korean Writers in Tang dynasty 소장
36 ,「고려의 문한관」『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1983. 미소장
37 「최치원과 동아시아 문학」『고운학보』창간호, 2003. 미소장
38 「최치원 연구사에 대한 분석」『고운의 사상과 문학』, 1997. 미소장
39 「계원필경집의 문헌학적 조명」『고운의 사상과 문학』, 1997 미소장
40 羅末麗初 近待機構와 文翰機構의 擴張 : 中世的 側近政治의 志向 소장
41 ,「신라 하대 빈공급제자의 출현과 나당문인의 교환」『전해종박사화갑기념 사학논총』,1982. 미소장
42 新羅 統一期 및 高麗 初期의 儒敎的 政治理念 소장
43 「신라골품제하의 유교적 정치이념」,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1986. 미소장
44 Choi chi-won`s viewpoint of Koguryo history 소장
45 南北國時代와 崔致遠 소장
46 崔致遠의 政治思想 硏究 소장
47 崔致遠의 儒敎觀 소장
48 孤雲 崔致遠의 三敎融合論 소장
49 논문 : ' 제왕년대력 ' 을 통해 본 최치원의 역사인식 네이버 미소장
50 新羅末 慶州崔氏 儒學者와 그 活動 소장
51 장일규, 연구논문 : 최치원 찬 〈 부석존자전 (浮石尊者傳) 〉 의 복원 시론, "북악사론", 북악사학회, 1999, 6, 39~80 미소장
52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소장
53 Choi, Chi-Won's Congnizance of native Silla tradition and Having compilation of Jewangyeondaeryeok 소장
54 최치원의 저술 소장
55 최치원의 귀국 후 활동과 은둔 소장
56 「최치원의 화엄승전 찬술과 해인사 화엄사상」『신라사학보』창간호, 2004. 미소장
57 최치원의 삼교융합사상과 그 의미 소장
58 「신라말의 개혁과 최치원」『신라사학보』5, 2005. 미소장
59 高句麗의 馬韓繼承 認識論에 대한 檢討 네이버 미소장
60 崔致遠의 歷史 敍述 소장
61 「최치원의 불교인식」『고운의 사상과 문학』, 1997. 미소장
62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의 成立 : 崔致遠의 四山碑銘을 中心으로 소장
63 진산 (震山) 한기두 (韓基斗) 박사 정년기념 특집 「 원불교 교화의 제문제 」 : 제3편 한국의 불교사상 ; 고운 (孤雲) 최치원 (崔致遠) 연구의 문제점과 과제 네이버 미소장
64 崔致遠 思想 形成의 歷程에 대한 考察 소장
65 「고운 최치원의 동인의식」『동양철학의 자연과 인간』, 1998. 미소장
66 崔致遠 時務策의 建議背景에 대한 考察 소장
67 崔致遠의 僧傳 撰述과 그 思想的 含意 : 『法藏和尙傳』과 『普德和尙傳』을 중심으로 소장
68 고대 生命思想의 원류와 생성 : 崔致遠 사상과 관련하여 소장
69 「고운 최치원의 사상연구—삼교관을 중심으로—」『동방사상논고』, 1984.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