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 權敬烈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고전번역원, 2010.01.15
수록지명
민족문화. 제34집 (2009년), pp.143-17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4586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최치원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 權敬烈 1

국문초록 1

I. 서론 4

II. 번역현황 5

1. 계원필경집 5

2. 고운선생문집 7

3. 사산비명 10

III. 내용 전달의 정확성 검토 13

IV. 주석 기술 방식의 적절성 검토 19

V. 향후 과제 23

1. 연구 성과의 적극적인 수용 23

2. 연구 자료의 축적 25

3. 주석의 기술 방식 연구 26

4. 표준 텍스트의 마련 27

VI. 결론 29

참고문헌 31

Abstract 33

초록보기 더보기

孤雲 崔致遠은 신라에서 태어나, 일찍이 중국으로 건너가 文才를 떨친 인물이다. 그의 저술들은 文史哲 연구자들에게 두루 활용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儒?佛?仙 3敎의 사상이 담겨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국내외적인 사회, 문화, 정치 등과 관련된 가치 있는 정보들이 내포되어 있다. 완성도 높은 문학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 고대사 관련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그의 저술들을 번역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가치가 있는 고운의 저술들이 현재까지 어떻게 번역되어 왔는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검토하여, 향후에 있을 번역 작업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992년에 韓國古代社會硏究所에서 韓國古代金石文을 譯註하였는데, 사산비명 또한 그 속에 포함되었다. 1993년 李智冠이『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에서 사산비명을 번역하였다. 1995년에는 李佑成이 문하생들과『新羅四山碑銘』을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1998년에는 다시 최영성이 본인의 기존 번역서를 증보하여『譯註 崔致遠全集』 속에 포함하여 간행하였다. 금년에 간행된 한국고전번역원의『고운집』 속에도 사산비명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기존 번역서를 검토하면서 내린 결론은 학계연구자와 전문번역자의 작업이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 성과의 축적이 이루어져서 후속 작업이 이전 작업의 토대 위에서 출발할 수 있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구조이다. 학계의 연구자와 전문 번역자가 지닌 각각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수준 높은 한문 원전 해독 능력을 갖춘 연구자가 학계에서 다년간 관련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번역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조건을 구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학계의 연구자나 전문 번역자가 각자의 분야에서 자신의 특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 엄밀하게 선후를 구분해보자면,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논문 분량의 주석 자료가 활발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번역서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고사 용어의 주석 처리 여부, 적절한 주석량의 산정, 고사나 용어의 출전이 되는 原文의 인용 범위 등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하는 작업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전하는 고운의 저술은 오래된 저작 연대만큼이나 많은 異本이 존재한다. 또한 초기에 간행되었던 원본은 대부분 전래 과정에서 佚失되고, 먼 후대에 이곳저곳에 산재되어 있던 것들을 일부 수습한 것이 전부이다. 당연히 내용상에서도 많은 오류와 착간이 발견되고 있다. 표준 텍스트의 비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번역서가 연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고전번역원에서 번역한『계원필경집』과『고운문집』을 계기로 고운 저술의 번역은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되었다. 향후로도 기존 번역서들의 단점을 지속적으로 보충하여 완정한 번역서가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Gowoon(孤雲) Choi, Chi Won(崔致遠) was born in Shinra(新羅) and he was known for his literary talent after he moved to China. His writings are highly assessed data for 文?史?哲 researchers. It contains philosophy of 儒?佛?仙 3敎 as well as valuable information related to society, culture, and politics in home and foreign at the time. Literary works of high quality can be monitored. The process of translating his works is very meaningful since not so much of data on ancient history remains. In this manuscript, the direction for future translation is to be proposed by reviewing how the writings of Gowoon has been translated and what merits are being held at present.

The translation of『桂苑筆耕集』 had 2nd outcome in overall. The initial outcome is『桂苑筆耕集』 included in『國譯 孤雲先生文集』 translated by 崔濬玉 and others in 1972. The 2nd outcome is the independently translated version established this year by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s translation of 李相鉉.

In 1992,『The Korean Ancient Epigraph』 was translated and annotated by Researching Institute of Korean Ancient Society and 四山碑銘 was included as well. In 1993, 李智冠 translated 四山碑銘 in『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In 1995, 李佑成 and disciples translated and issued『新羅四山碑銘』. In 1998, Choi, Young Sung enlarged his preexisting translated version and included it in『譯註 崔致遠全集』for establishment. In this year, 四山碑銘 is also included in『孤雲文集』 issued b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conclusion resulted by reviewing preexisting translated versions is that organic relationship isn't formed between the works of researchers of academic world and professional translators. It is an inefficient system that follow-up process cannot be built on top of what has been accumulated as outcome in prior to it. The cause of it is that merits held respectively by researchers of academic world and professional translators aren't sufficiently applied.

The most appropriate way is to process translation based on result of professional research on field experienced by academic world that is researched by the researcher holding high level of capability in decoding the original text of Chinese writ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possess such condition in reality. It is important that researcher of academic world and professional translator should optimize their strong points to maximum in their own fields. To precisely distinguish the priority, the research must be preceded. The explanation data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in quantity of short thesis.

To enhance the quality of translated version, explanatory management of terms of Gowoon, calculation of appropriate explanation, and process to set accurate standard upon range of citation from original text being source of the term or Gowoon are to be done.

Many different versions for existing writings of ancient history exist along with its age. In addition, most of the original texts issued have disappeared during the course of transmission, and all existing texts are those partially being scattered about from long after. It is obvious that many errors and misunderstandings are being found. The correction on standard text must be made immediately.

The influence of translated version on activity of research is considerable. Based on event of『桂苑筆耕集』 and『孤雲文集』 being translated b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opportunity to develop translation of Gowoon's writings has been set. The weaknesses of preexisting translated versions should be supplemented in future and complete translated version is expected to be issu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계원필경집』과 최치원의 교유관계 張日圭 pp.7-5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金福順 pp.51-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최치원 시의 寓意性에 대한 일 고찰 金永峯 pp.87-11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桂苑筆耕集』의 국제적 위상 =漫敍 <<桂苑筆耕集>> 的國際地位 당인핑 pp.121-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崔致遠 저술의 번역 현황 및 과제 權敬烈 pp.143-1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桂苑筆耕集』 刊行과 日本所在本 = 『桂苑筆耕集』の刊行と日本所在本 하마다 고사쿠 pp.179-217 원문보기 다운로드 보기
「怨歌」의 재해독과 문학적 해석 박재민 pp.221-27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錦城大君의 端宗復位 順興義擧 朴贊洙 pp.273-30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承政院日記』를 통해 본 草記의 전면적 考察 李康旭 pp.307-35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조선시대 의녀의 정체성 고찰 홍세영 pp.355-39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문묘석전 예찬 중 해(해: 젓갈)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영용 pp.395-4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윤성환 pp.417-4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 『桂苑筆耕集』, 韓國文集叢刊 1, 民族文化推進會, 1990. 미소장
2 ,『孤雲集』, 韓國文集叢刊 1,民族文化推進會,1990. 미소장
3 『韓國의 思想大全集 3』, 同和出版公社,1972. 미소장
4 『崔文昌侯全集』, 成均館大 大東文化研究院,1972. 미소장
5 崔濬玉 編,『國譯 孤雲先生文集』,학예사,1973. 미소장
6 양주동 외 譯,『(국역) 東文選』,민족문화추진회,1982-1986. 미소장
7 崔濬玉 編,『國譯 孤雲先生文集』,寶蓮閣,1982. 미소장
8 重刊委員會, 『(한글번역) 孤雲 崔致遠先生文集』, 重刊委員會, 1982. 미소장
9 註解 四山碑銘(亞細亞文化社, 1987). 미소장
10 정광, "智證大師碑銘小考", 經書院, 1992 미소장
11 譯註 歷代高僧碑文 新羅篇, 伽山文庫, 1993. 미소장
12 "新羅四山碑銘", 亞細亞文化社, 1995 미소장
13 韓國古代社會研究所 編,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駕洛國史蹟開發研究院, 1997. 미소장
14 『譯註 崔致遠全集』,亞細亞文化社,1998-1999. 미소장
15 『桂苑筆耕集校勘』,中國文化大學出判部,2000. 미소장
16 『桂苑筆耕集校注』, 中華書局, 2007. 미소장
17 『고운집』, 한국고전번역원, 2009. 미소장
18 계원필경집 . 한국고전번역원. 2009. 미소장
19 ,『桂苑筆耕集校勘記』,韓國文化研究院 論叢 Vol.27, 1976. 미소장
20 ,『『四山碑名』研究』,成均館大學校 大學院 博士論文,1993. 미소장
21 「朗慧和尙碑」校勘의 諸問題 소장
22 Choe Chi-won, His Remains in China and His Poetry UGye-won-pil-gyeong(桂苑筆耕)』 소장
23 崔致遠 연구의 성과와 전망 소장
24 A study on the inscription of the priest, Jin-gam by Choi, Chi-won 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