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염재 조희제와 『염재야록』 / 邊柱承 1
요약문 1
1. 머리말 2
2. 염재 조희제의 가계와 생애 3
3. 『염재야록』의 편찬과 간행 9
4. 『염재야록』의 체제와 내용 18
5. 맺음말 24
참고문헌 26
[요약] 27
『염재야록』은 전북 임실의 유학자 조희제가 항일운동을 펼친 이들의 행적을 수록한 책이다. 조희제는 1938년 『염재야록』편찬 사실이 발각돼 임실경찰서로 끌려갔다가 집으로 돌아온 뒤 울분을 참지 못하고 자결했다. 『염재야록』은 1950년에 석판 인쇄로 간행되었는데, 편집 과정에서 일부가 누락되기도 하고 일부 내용이 추가되기도 했다. 이후 누락된 부분을 보완하고 조희제가 작성한 일부 문건을 수록해 1990년에 영인 간행했다.
『염재야록』은 권6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을미사변 전말과 유인석 등 의병장의 전기를 수록하고, 권2는 을사조약 전말과 민영환 등 충신의 행적을 수록했다. 권3은 1907년과 1908년의 의병전쟁을 개관하고, 민종식 등 의병장의 행적을 수록했다. 권4는 한일합방 전말과 이에 맞서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식민통치를 거부하며 은둔한 이들의 행적을 수록했다. 권5와 권6은 애국지사들이 작성한 상소문·격문 등을 수록했다. 이러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 『염재야록』은 『매천야록』·『기려수필』과 함께 독립운동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19세기 한국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와 시대인식 | 琴章泰 | pp.5-54 |
|
보기 |
정재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 李相虎 | pp.55-90 |
|
보기 |
한주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 李炯性 | pp.91-155 |
|
보기 |
노사학파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 朴鶴來 | pp.157-186 |
|
보기 |
화서학파의 형성과정과 사상적 특징 :서구 문명에 대한 화서학파의 사상적 대응을 중심으로 | 金根浩 | pp.187-208 |
|
보기 |
간재학파 성리학의 지역적 전개 양상과 사상적 특성 | 李相昊 | pp.209-254 |
|
보기 |
물촌 신종위의 초상화와 「물촌선생영정개모시일기」 | 尹軫暎 | pp.257-294 |
|
보기 |
고문서 패자에 관한 고찰 :패자의 유형과 성격 고찰을 중심으로 | 朴成鎬 | pp.295-329 |
|
보기 |
영일냉수리비의 '재(物)'에 대한 재검토 | 金德原 | pp.331-367 |
|
보기 |
퇴계 만년정론을 중심으로 본 퇴계와 고봉의 사단칠정논쟁 | 安泳翔 | pp.369-401 |
|
보기 |
『영영전』의 인간관계 분석과 문학치료 텍스트로서의 가치 | 徐銀雅 | pp.403-426 |
|
보기 |
염재 조희제와 『염재야록』 | 邊柱承 | pp.427-454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念齋野錄 (石印本) 念齋野錄 (影印本) | 미소장 |
2 | 念齋野錄 (影印本) | 미소장 |
3 | 崔秉心, 欽齋集 | 미소장 |
4 | 李炳殷, 顧齋集 | 미소장 |
5 | 任實郡誌 (임실군지 편찬위원회, 1997) 咸安趙氏世譜 (己丑譜) 咸安趙氏世譜 (癸卯譜) | 미소장 |
6 | 咸安趙氏世譜 (己丑譜) | 미소장 |
7 | 咸安趙氏世譜 (癸卯譜) | 미소장 |
8 | 「靑耕趙公墓碣銘」 | 미소장 |
9 | 「雪洑碑文」 | 미소장 |
10 | 「念齋趙熙濟先生碑文」 | 미소장 |
11 | 「後壑處士趙公墓碣銘」 | 미소장 |
12 | 鄭喬 저(이철성 역주), 대한계년사 2(소명출판, 2004). | 미소장 |
13 | 黃玹 저(金濬 역), 완역 매천야록 (敎文社, 1994). | 미소장 |
14 | 宋相燾, 騎驢隨筆 (국사편찬위원회, 1971). | 미소장 |
15 | 遯軒 林 炳瓚의 生涯와 反日鬪爭 ![]() |
미소장 |
16 | 姜吉遠, 「韓末 湖南義兵將 靜齋 李錫鏞의 抗日鬪爭」, 원광사학 2(1982). | 미소장 |
17 | 《학술대회 2》한말 호남의병의 재조명 : 호남의병(湖南義兵)의 전개과정(展開過程) ![]() |
미소장 |
18 | 박성수, 「염재야록 해제」(영인본) 염재야록 (금강서원, 1990). | 미소장 |
19 | 朴成壽, 「全南北 義兵의 抗戰」, 獨立運動史硏究 (創作과批評社, 1980). | 미소장 |
20 | 금재 최병심의 가계와 생애 | 소장 |
21 | 李世賢, 「韓末 湖南義兵抗爭의 一斷面 ―全北地方을 中心으로」, 군산교대논문집 11(1977). | 미소장 |
22 | 欽齋 崔秉心의 학맥과 유학사상 | 소장 |
23 | 금재 최병심의 항일의식 | 소장 |
24 | 洪淳權, 「을사조약 이후 호남지역 의병운동의 발전과 의병장들의 성격」, 한국학보 57(198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