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기린굴신화 연구 / 田寬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06.30
수록지명
東方學志. 제146집 (2009년 6월), pp.123-163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4949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기린굴신화 연구 / 田寬秀 1

〈국문요약〉 1

1. 들어가기 3

2. 기린굴신화의 신화적 본질 5

1) 동명왕의 신격에 대하여 5

2) 기린굴신화에 나오는 구조물들 9

3) 또 하나의 기린굴신화인 만파식적 이야기 17

3. 조천석의 신화적 본질과 유래 26

4. 맺음말 34

〈참고문헌〉 36

〈Abstract〉 40

초록보기 더보기

麒麟窟神話는 朱蒙神話의 내용과 다르게 東明王(朱蒙)이 말을 타고 지하에 있는 麒麟窟을 지나서 朝天石으로 나와서 하늘로 올라갔다는 것을 큰 줄거리로 하고 있는 짧은 이야기이다. 本稿는 이러한 東明王의 기이한 행동의 바탕을 이루는 神話的 體系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내었다.

첫째, 「東明王篇」에 실려 있는 朱蒙神話에서 해의 神이자 朱蒙의 아버지인 解慕漱가 아침이면 내려와 政事를 듣고 저녁이면 하늘로 올라간다는 사실을 근거로 할 때 朱蒙이 죽어서 하늘로 올라갔다는 이야기는 朱蒙도 해모수와 마찬가지로 해의 神임을 말해 주는 이야기임을 밝혔다. 그리고 麒麟窟神話에 나오는 구조물들인 通漢橋, 九梯宮, 麒麟窟, 朝天石 등이 실제로 平壤城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麒麟窟神話는 최소한 長壽王이 平壤으로 遷都한 뒤에 朱蒙이 高句麗의 祖上神이자 해의 神으로 떠받들어지는 과정에서 탄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麒麟窟神話를 분석한 결과 東明王은 "通漢橋→(九梯宮)→ 麒麟窟→朝天石"의 순서대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麒麟窟神話에서 東明王의 행동이 해의 神으로서의 행동이라고 한다면, 麒麟窟神話에 나오는 구조물들인 通漢橋, (九梯宮), 麒麟窟, 朝天石은 하늘과 땅을 일치시키는 相應(correspondence)의 원리에 따라서 해가 다니는 길인 黃道의 일부를 지상에 具顯시켜놓은 구조물들이라고 추정하였다.

셋째, 東明王이 말을 타고 麒麟窟을 지나다가 朝天石으로 나와서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은 해가 밤에 사라지고 아침에 떠오르는 것을 神話的으로 표현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 이유는 해가 동굴로 다닌다고 하면 동굴 밖에 있는 사람들은 해를 볼 수 없다는 점에서 東明王이 동굴로 다니는 이야기는 바로 밤에 해가 사라지는 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넷째, 麒麟窟神話의 바탕을 이루는 神話的 體系는 高句麗에만 국한되지 않고 三國統一을 이룩한 文武王을 위해 지은 感恩寺의 創建說話에도 그대로 발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麒麟窟神話에 나오는 永明寺, 麒麟窟, 朝天石이 感恩寺의 創建說話에서는 感恩寺, 龍이 들락거리도록 만들어놓았다는 돌봇도랑, 大王岩에 해당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通漢橋에 해당되는 구조물은 感恩寺의 創建說話에서는 찾기 어렵고, 돌봇도랑과 大王岩 사이에 있는 利見臺는 平壤城에서는 浮碧樓 정도와 대응된다고 추정하였다.

다섯째, 朝天石으로 파악된 大王岩에서 文武王의 散骨을 뿌렸다는 것은 大王岩이 바로 文武王의 무덤이라는 것을 말해 주는데, 朝天石을 무덤으로 여기는 神話的 體系는 高句麗의 고유한 神話體系가 아니라 古代에 中東의 바레인 섬을 딜문, 즉 해 뜨는 곳으로 여겼던 古代 메소포타미아의 神話體系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

참고문헌 (5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翰苑』 미소장
2 三國史記, 三國遺事 미소장
3 ≪東國李相國全集≫ (韓國文集叢刊本)。 미소장
4 『고구려의 건국과 시조 숭배』,학연문화사,2001. 미소장
5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 一潮閣, 1999. 미소장
6 "韓國神話의 原型", 正音文化社, 1988 미소장
7 『韓國의 神話』, ᅳ潮閣, 1977. 미소장
8 한국창세신화 유형담의 전승과 그 변이 : 장자징치담과 천지결연담을 중심으로 소장
9 신화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 인류 정신세계의 원형을 찾아서 소장
10 『문명의 창세기』. 해냄, 1999(David M. Rohl, Legend:The Genesis of Civilisation Londond: Random House UK,1998). 미소장
11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천문관과 천문학」,『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서경,2004. 미소장
12 (2007) 『동양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미소장
13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즈윈, 2008. 미소장
14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사계절,2008. 미소장
15 한국 신화의 원류, 지식산업사, 2005. 미소장
16 『韓國天文學史』,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미소장
17 하늘의 과학사 소장
18 (2004). 세계신화사전. 신현승 역. 서울: 세종서적. 미소장
19 『신화학 1』, 임봉길 역, 한길사, 2005. 미소장
20 『별을 향한 길』, 영림카디널, 1999(Anthony Aveni, Stairways to the Stars, New York: Anthony Avenni c/o Sanford J. Greenburger... 미소장
21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 : 인류 역사상 '최초' 39가지 소장
22 박시인, "日本神話", 探求堂, 1977 미소장
23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서울: 김영사, 2002. 미소장
24 한국의 전통과학 천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미소장
25 성낙주, "에밀레종의 비밀 :소리로 세상을 다스려라", 푸른역사, 2008 미소장
26 『한대 화상석의 세계』(서울: 학연문화사, 2005) 미소장
27 신연우, "우리 설화의 의미찾기", 민속원, 2008 미소장
28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별자리』,현암사, 2000. 미소장
29 "시간의 문화사 : 달력, 시계 그리고 문명이야기", 북로드, 2007 미소장
30 『中國古代文化常識』,형설출판사, 1989. 미소장
31 『용, 불멸의 신화』, 대원사, 1999. 미소장
32 平壤 九梯宮의 性格과 그 認識 네이버 미소장
33 (2000) 『고대 중국인이 바라본 하늘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미소장
34 『夫餘高句麗 建國神話 硏究』, 집문당, 1998. 미소장
35 朱蒙硏究 소장
36 『재미있는 별자리여행』, 김영사, 1989. 미소장
37 『 고구려 고분벽화』, 풀빛, 1995. 미소장
38 한국신화의 정체성을 밝힌다, 지식산업사, 2008. 미소장
39 『하늘의 신화와 별자리의 전설』, (주)시공사, 1997. 미소장
40 A aniysis of relation of Jumong's myth and the Moon 소장
41 朱蒙神話를 통해 본 解慕漱 後裔들의 분화과정 소장
42 朱蒙神話에 나타난 誕生談의 意味 分析 소장
43 流璃王 이야기에 대한 古代 天文學的 硏究 소장
44 「‘文姬의 꿈 사는 이야기’에 대한 天文神話學的 研究」,『畿甸語文學』18·19·20,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8. 미소장
45 朱蒙神話의 天文神話學的 硏究 : 朱蒙의 誕生에서 脫出까지를 中心으로 소장
46 朱蒙神話의 古代 天文學的 硏究 : 解慕漱 이야기를 中心으로 소장
47 2000,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미소장
48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이야기. 풀빛,1999. 미소장
49 東明型說話와 古代社會 네이버 미소장
50 정태민, "별자리에 숨겨진 우리 역사", 한문화멀티미디어, 2007 미소장
51 "황금의 가지.상,하", 을유문화사, 1996 미소장
52 "별들의 비밀 : 하늘의 신비를 푸는 시각적 열쇠", 문학동네, 1999 미소장
53 (2005), 신화의 역사 , 문학동네. 미소장
54 특별기획전고구려 행사추진위원회,특별기획전 고구려,2002. 미소장
55 하신(홍 희), "神의 起源", 동문선, 1990 미소장
56 Early Astronorny, Springer-Verlag New York, 1994.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