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규칙으로서의 문법과 사용으로서의 문법 / 우형식 1
[요약] 1
1. 들어가기 2
2. 언어 교육과 문법 기술 5
2.1. 언어 지식으로서의 문법 5
2.2. 문법 기술의 다양성 6
2.3. 형식 문법과 기능 문법 8
2.4. 교육 문법의 성립 9
3. 규칙으로서의 문법 12
3.1. 문법의 규칙성 12
3.2. 문법 규칙의 성격 14
3.3. 문법 규칙의 적용 범위 16
3.4. 문법 규칙의 창조성 18
4. 사용으로서의 문법 19
4.1. 문법 규칙과 언어 사용 19
4.2. 용법의 성립 21
4.3. 용법과 사용 24
4.4. 사용과 기능 26
5. 맺음말 27
참고문헌 29
Woo, Hyeong-Shik, 2009. The grammar as rules and the grammar as use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4, 227~256. In the theoretical linguistics, most researches accept the idea that the grammar consists of principles and rules that are innate in the language. In the grammar for education, this view of point is adapted to teaching of language. But it is important to restructure the theoretical grammar according to many variants that is necessary for application in educational situations. So the grammar can help learners to form the language expressions correctly, and to use them appropriately for the contexts of communication. We can consider the two types of grammar in teaching of language. One is the grammar as language competence(principle and rule), the other is the grammar as language performance(usage and use). It is evident that both types of grammar play very valuable roles for language learning each other. Knowing a language means that learners have knowledge of language competence and performance. So we have to consider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description of the Korean grammar for education, in order to apply the grammar to the variant educational situation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체계편)/2(용법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2 | Language teaching ![]() |
미소장 |
3 | 백봉자(200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도서출판 하우. | 미소장 |
4 | 우형식(2002), 한국어 문법 교육의 체계와 방법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2년도 추계(18차)학술대회 자료집. | 미소장 |
5 | 우형식(2009), 언어 교육에서 문법의 규칙과 용법, 2009년 특별기획 국제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한중인문학회. | 미소장 |
6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 형식 문법에서 기능 문법으로 | 소장 |
7 | 한재영 외(2008), 한국어 문법 교육, 태학사. | 미소장 |
8 | Bloomfield, L.(1933), Language,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 미소장 |
9 | Celce-Murcia, M. & Larsen-Freeman(1999), The Grammar Book -An ESL/EFL Teacher's Course-, Boston: Heinle & Heinle. | 미소장 |
10 | Dik, S. C.(1978), Functioanal Grammar, Amsterdam: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11 | Hudson, Richard, A.(1992), Teaching Grammar -A Guide for the National Curriculum-, Oxford: Blackwell Publishers. | 미소장 |
12 | Larsen-Freeman, D.(1994), Second Language Pedagogy: Grammar, The Encyclopedia of Language & Linguistics(ed. by Asher, R. E. & Simpson, J. M. Y.), Oxford: Pergamon Press. | 미소장 |
13 | Larsen-Freeman, D.(2001), Grammar,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ed. by Carter, R. & Nunan, 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4 | Leech, G. & Svartvik, J.(1975), A Communicative Grammar of English, London: Longman Group Ltd. | 미소장 |
15 | Palmer, F. R.(1971), Grammar, London: Penguin.(박경수 역, 문법론, 한신문화사, 1981) | 미소장 |
16 | Pagin, P.(1994), Rules, The Encyclopedia of Language & Linguistics(ed. by Asher, R. E. & Simpson, J. M. Y.), Oxford: Pergamon Press. | 미소장 |
17 | Quirk, R. & Greenbaum, S. & Leech, G. & Svartvik, J.(1972), A Grammar of Contemporary English, London; Longman Group Ltd. | 미소장 |
18 | Radford, Andrew(1988), Transformational Gramma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서정목 외 옮김, 개정 신판 변형 문법, 을유문화사, 1990) | 미소장 |
19 | Richard, J. C. & Platt J. & Platt, H.(1992), Dictionary of Language Teaching & Applied Linguistics, London; Longman Group Ltd. | 미소장 |
20 | Spolsky, B.(1970), linguistics and Language Pedagogy, in Linguistics and the Teaching of Standard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uage or Dialects(ed. by Alatis, J. E.), Washington D. 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1 | Stern, P. P.(1983), Fundermental Concepts of Lanuage Teaching,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심영택 위호정 김봉순 옮김, 언어교수의 기본 개념, 하우, 1995) | 미소장 |
22 | Strickland, D. S. & Golda, L. & Cullinan, B. E.(2004), Language Arts -Learning and Teaching-, Cananda; Thomason Learning. | 미소장 |
23 | Thornbury, S.(1999), How to Teach Grammar, London; Longman.(이관규 외 옮김,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한국문화사, 2004) | 미소장 |
24 | Widdowson, H. G.(1978), Teaching Language as Commun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