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현재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과 관련하여 운영되고 있는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의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 2급 자격취득 과정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그 질적 향상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대학교 평생교육원 학점은행제 사회복지사 2급 과정의 졸업생 6명과 교수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이 실시되었고 그 외에도 교수 평가자료, 인터넷 자료 등이 삼각화(triangulation)를 통한 사례 분석 방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34개의 하위범주에서 11개의 소주제와 3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행 학점은행제 과정의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함을 지적하였으며, 사회복지사 2급 자격 과정에 대한 질적 기준을 확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University Credit Bank Social Work education program works and the quality of the second grade social worker education. Three instructors and 6 former students graduates were interviewed. Additionally, data from various documents, websites, logs, and records were utilized.

An explorative single case design was chosen to reveal the entirety of this real life case and its characteristics. Form this study 3 Theme clusters such as Program Preparation, Obstacles to Overcome, and Program Evaluation and 10 themes and 34 formulated meanings. The overall quality of this program seems to be considerably low despite the high hopes of students entering the program with enthusiasm and idealism.

This program deficit is due partly to its for-profit management and its disregard of fundamental education criterion. Therefore, Proper standards for second grade social workers should be upheld and tightened. Students of the program should be afforded a full-time program coordinator and counselor. The Credit Bank programs and practicum should be subject to inspection by a responsible party so that the intended goals are me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을 위한 학점은행제 교육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A대학을 중심으로 김병우 ;강환세 ;류기형 pp.1-35

사회복지학 단일전공 학과와 복합전공 학과 학생들의 사회복지 전문성 인식 비교연구 김현옥 ;김경호 ;하은영 pp.37-67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교육의 충분성 인식과 사회복지실천기술 수행의 관계 김성경 pp.69-92

사회복지전공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정무성 ;조해영 pp.93-118

사회복지 실습 수퍼비전 만족도 영향요인 조상미 ;전종설 pp.119-141

부산지역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지영 ;심경순 ;최말옥 pp.143-169

사회복지 실습지도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지역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표갑수 ;김현진 pp.171-191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omparative Study of the Public&'s Image on Helping Professions 소장
2 An Investigated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Advanced Credential for Social Worker`s Degree 소장
3 교육인적자원부. 2000. 『평생교육백서』.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4 김범수. 2003. “사회복지사 자격제도를 통한 정체성 확립”. 『한국 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27-146. 미소장
5 평생학습국가 건설을 위한 평생교육제도 활성화 방안 : 원격대학, 학점은행제, 그리고 독학학위제를 중심으로 소장
6 A Study of Restructuring Standard Curricula for the Credit Bank System in Korea 소장
7 A Qulitative Analysis of ACBS Affiliated Institutions: Focusing on Their Curriculum Practices 소장
8 박 헌. 2001. “학점은행제도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40(1): 223-301. 미소장
9 학점은행제에 대한 시론적 평가 소장
10 학점은행제 성과분석 소장
11 이기영․최명민. 2006. “사회복지전문직과 인적자원개발”. 『2006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집』: 74-108. 미소장
12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the Programs of University Attac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소장
13 A Study centered on the Learner Evaluation of Programs of University Attached Lifelong Education 소장
14 A Thought about The Credit Bank System as One Alternative Type of Higher Education 소장
15 Qualification System and Job Analysis for Social Worker 소장
16 최일섭. 2007. “한국 사회복지학 실천의 동향과 과제”. 『한국비영리연구』 6(3): 185-209. 미소장
17 평생교육진흥원. 2008. 『학점은행제 학사관리 지침』 미소장
18 한국교육개발원. 2000. 『학점은행 운영편람(1998-1999)』 미소장
19 한국교육개발원. 2006. 『2005년도 학점은행제 학습과목 운영실태 분석』 미소장
20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9. “6월 사회복지사 자격증 교부현황”.http://www. welfare.net 미소장
21 한승진. 2006. “대학평생교육학습자의 학습참여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미간행). 미소장
22 홍선미. 2009. “한국사회복지교육인증제의 필요성과 도입방안”.『사회복지사전문화방안을 위한 자격제도개선 정책토론회 자료집』.한국사회복지사협회․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한국사회복지학회 미소장
23 Creswell, J. W. 2006. (조흥식 외 공역). 『질적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미소장
24 Biggs, J. 1999. Teaching for Quality Learning at University, Society for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and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미소장
25 Redesigning the curriculum for Social Work Education: complexity, conformity, chaos, creativity, collaboration? 네이버 미소장
26 Social Work Education in Taiwan: Toward Professionalism 네이버 미소장
27 Quality vs. Quantity: The Developments of Social Work Education in Taiwan 네이버 미소장
28 Standards for social work education in the North American and Caribbean region: current realities, future issues 네이버 미소장
29 Assessing Quality in Social Work Education: focus on diversity 네이버 미소장
30 Flexner, A. 1915. "Is Social Work a Profession?",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n Charities and Correction. 미소장
31 Jenkins, A. 2002. Desinging a Curriculum is like Creatively 'Controlling' a Quija Board, LTSN generic centre working paper. 미소장
32 Johnson, L. C. 1972. Social Work Practice: a Generalist Approach (5th ed.), Allyn and Bacon, Boston. 미소장
33 Social work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 critical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34 Pardeck, J. T. and McCallister, A. 1991.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ocial work education on the personla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Education, 112: 382-387. 미소장
35 Looking back on social work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36 Preston-Shoot, M. 2000. "umbling towards oblivion or discovering new horizons? Observ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duc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14(2):87-98. 미소장
37 Global standards for social work education and training 네이버 미소장
38 Tellis, W. 1997. “Application of a Case Study Methodology”.http://www.nova,edu/ ssss/QR/QR3-3/tellis2.html 미소장
39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fourth edition, Sa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