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 주세형 1

차례 1

I. 문제 제기 2

II. 응용할 수 있는 것을 만드는 학자, 할리데이 4

1. 할리데이의 이력 4

2. 할리데이에 대한 국어교육학계의 이해와 오해 7

III.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핵심 개념 10

1. 개념어1: 발달 10

2. 개념어2: 체계 16

IV. 국어교육학에 주는 시사점 21

시사점1. 아동의 언어는 완벽한 체계: '변이'일 뿐, '오류'는 없다 21

시사점2. 말의 언어와 글의 언어는 다르다 23

시사점3. 문법이 표현의 힘이다 23

시사점4. 이론의 역할 24

V. 결론 26

참고문헌 29

〈Abstract〉 31

초록보기



This thesis examines what is the implication of Hallidayan linguistics in Korean Education theory. In details, I'v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e viewpoint of language education in Sydney.

The range of Hallidayan language theory does not reside in the description of linguistic units. Halliday thought highly of the contex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and form. He has always tried to elucidate the meaning potential, which is regarded as linguistic competence in his theory.

All his concepts could work successfully in key words of Korean Education and Curriculum planning. Now Korean Educationalists can not explain the linguistic competence or performance as a whole. I think all the key words are inclined to be understood according to each school. Eventually, these key concepts do not work effectively in National Curriculum planning.

Curriculum planning is the significant field in Korean Education theory. But these days, no theory are likely to explain the National policy. The Hallidayan key concepts could play a important role in Korean Education theory apart from the National polic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환상 동화의 특성과 감상 지도 방법 연구 신헌재 ;안현진 pp.1-27

보기
읽기에서 정보 덜어내기와 더해놓기 활동지도 연구 오정환 pp.29-63

보기
국어과에서의 희곡과 연극 교육의 방안 한귀은 pp.65-89

보기
간판 매체 언어의 사회·문화 특징 :서울 홍제동 주택가와 하와이 한인 타운을 대상으로 신현숙 pp.91-122

보기
어간 재구성 현상을 통해 본 유아의 용언 활용 규칙 습득 과정 이삼형 ;김태경 ;임정남 pp.123-146

보기
매체언어의 사용 양상 연구 :인터넷 지식 검색의 질문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이지영 pp.147-172

보기
할리데이 언어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미 주세형 pp.173-204

보기
문학 평가의 방법 연구 :문학 경험 평가를 위한 시론(試論) 김창원 pp.205-233

보기
김광균 시의 소리 표상에 관한 연구 박성필 pp.235-260

보기
서사교육에서 허구서사의 '인물' 문제 연구 전한성 pp.261-292

보기
국어과 교육과정 변천사 소론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손영애 pp.293-322

보기
언어 영재교육의 체계와 내용 구성 최명환 pp.323-345

보기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광해(1997), 국어지식교육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 듀이의 경험이론에 비추어 본 도구주의의 재해석 - 교육목적론의 정립을 위하여 - 소장
3 言語 使用의 構造와 國語敎育 소장
4 김대행(1995), 국어교과학의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5 國語敎科學을 위한 言語 再槪念化 소장
6 김대행(2002b), 내용론을 위하여, 국어교육연구 제10집, pp. 7-37. 미소장
7 김대행(2005), 수행적 이론을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 제22집, pp. 5-29. 미소장
8 김대행(2008), 통일 이후의 문학 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9 On the Curriculum of Teaching Poetry for Developing Creativity 소장
10 민현식 외(2007),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1 주세형(2005),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Reforming the Norm-Centered Paradigm in Korean-Language- Knowledge Domain : Balancing with the Creativity 소장
13 주세형(2006b),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도서출판 역락. 미소장
14 최미숙.김봉순.원진숙.이경화.전은주.정혜승.정현선.주세형(2008),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미소장
15 Berns, M.(1990), Contexts of Competence: Social and Cultural Considerations i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Plenum Press: London and New York. 미소장
16 Descartes, R./이현복 역(1997), 방법서설, 문예출판사. 미소장
17 F. Saussure/최승언 역(1990),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미소장
18 Greimas et al./천기석 외 역(1988), 기호학 용어 사전, 민성사. 미소장
19 Halliday, M.A.K(1985, 199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Edward Arnold. 미소장
20 Halliday, M.A.K.&Hasan,R.(1989), Language, Context, and Text, OUP. 미소장
21 Halliday, M.A.K.(2002/J.Webster ed.), Linguistic Studies of Text and Discourse, Continuum: London and New York. 미소장
22 Halliday, M.A.K.(2003/J.Webster ed.), The Language of Early Childhood, Continuum: London and New York. 미소장
23 Halliday, M.A.K.(2003/J.Webster ed.), On Language and Linguistics, Continuum: London and New York. 미소장
24 Halliday, M.A.K.(2007/J.Webster ed.), Language and Education, Continuum: London and New York. 미소장
25 Knapp & Watkins(2005)/주세형.김은성.남가영 역(2007), 장르, 텍스트, 문법: 쓰기를 위한 문법, 박이정. 미소장
26 Kristeva, J./김인환.이수미 역(1997), 언어, 그 미지의 것, 민음사. 미소장
27 Owens, R.E.(6th ed.)/이승복.이희란 역(2006),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28 S.M. Eames(1977)/조성술.노양진 역(1999), 실용주의, 전남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9 Thompson, G.(1996), Introducing Functional Grammar, Arnold.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