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고위공무원단제도의 평가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 金國鉉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韓國行政硏究院, 2010.04.30
수록지명
韓國行政硏究. 제19권 제1호 (2010 봄), pp.25-4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72051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고위공무원단제도의 평가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 金國鉉 1

초록 1

I. 서론 2

II. 이론적 고찰 3

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개념 및 도입배경 3

2.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이론적 근거 3

III. 연구설계 9

1. 평가기준 선정 9

2. 분석모형 9

3. 하위변수(측정지표)의 개념화 11

4.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12

IV. 실증적 분석결과 13

1. 제도와 성과에 대한 인식분석 13

2. 집단간 인식차이 분석 15

3. 제도의 설계·운영·기반영역과 성과영역간 관계분석 17

V. 결론 21

● 참고문헌 ● 24

[요약] 26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해 공무원과 민간전문가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평가함으로써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데 필요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도에 대한 평가기준으로 제도설계, 제도운영, 제도기반 요인을 설정하고, 제도의 성과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는 개방확대, 경쟁강화, 성과향상, 역량제고 등을 설정하였다. 집단별 설문조사 실시결과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인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다소 긍정적(5점 척도의 평균 3.27점)으로서, 제도설계 영역과 제도운영 영역에 대한 평가가 비교적 높은 반면, 제도기반과 제도성과 영역은 긍정적이기는 하나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한편, 제도와 제도의 성과에 대한 인식 간에는 제도기반 요인이 제도성과의 하위변수에 강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방·공모제, 적격심사제, 성과평가제 등 핵심제도의 개선과, 인사관리제도 운영체계와 조직문화 개선 등을 추진함으로써 제도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정부조직에서의 정보시스템 활용과 성과에 관한 연구 :온-나라 시스템을 중심으로 유소영 ;李洪宰 pp.3-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고위공무원단제도의 평가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金國鉉 pp.25-49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공무원의 노조몰입 결정요인과 조직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金鍾哲 ;朴在春 pp.51-7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정책결정 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수자원 예산심의에 관한 국회 상임위원회 의사록 분석을 중심으로 徐寅錫 ;李東奎 ;朴亨峻 pp.79-1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민주화 이후 대정부 환경항의의 특징 분석 趙晟恩 pp.101-12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u-서비스에 대한 비용지불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동탄 u-City거주민을 대상으로 李容圭 pp.127-14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계량적 판단모형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沈俊燮 pp.149-17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朴天悟 pp.177-2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조직문화와 리더십이 구성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직유형별 비교 韓峰柱 pp.201-2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지방 SOC의 민간투자 촉진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지방거버넌스의 행위자 요인을 중심으로 劉永喆 pp.241-2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Comparative Analysis of Senior Executive Service: the Huddleston Model 소장
2 김판석․이선우. (2004). 고위공무원단제도 도입과 활용방안 모색 -중앙정부 관리자들의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7(4): 130-154. 미소장
3 개방형 직위제도의 제도적 적정성에 관한 실증적 조사연구 소장
4 An Empirical Study of the Open Position System in Korea 소장
5 산업연구원. (1999). 「창조적 지식국가론」. 산업연구원. 미소장
6 중앙인사위원회. (2001). 개방형직위제도 운영실태 조사․평가. 정책연구보고서. 미소장
7 중앙인사위원회. (2003). 한국형 고위공무원단 제도 도입모형에 관한 연구. 「CSC 정책연구 보고서」. 미소장
8 중앙인사위원회. (2007). 고위공무원단제도 운영성과 평가. 정책연구보고서. 미소장
9 중앙인사위원회. (2008). 「고위공무원단 인사운영 매뉴얼」. 미소장
10 최석충. (2006). 우리나라 개방형직위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고위공무원단제도(SCS)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국가공무원을 대상으로 소장
12 하태권․박천오․이선우․이근주․진종순․우하린. (2007). 고위공무원단 제도운영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로드맵 과제 정책사례 분석시리즈, 07-01. 미소장
13 한국행정연구원. (2005). 고위공무원단제도 도입에 따른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주요 국가 사례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미소장
14 The Senior Executive Service: How We Can Tell If It Works 네이버 미소장
15 Campbell, A. K. (1978). Testmony on Civil Service Reform and Organization. In U.S. House Committee on Post Office and Civil Service, Civil Service Reform.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미소장
16 Huddleston, M.W. (1992). The Senior Executive Service: Problems and Perspective for Reform. In Carolyn B. & N. M. Reccucci(ed.). Public Personnel Management. N.Y. Longman: 175-189. 미소장
17 Motivating Government Managers for Retrenchment: Some Possible Lessons from the Senior Executive Service 네이버 미소장
18 Kwon, Gi-Heon. (1999). Knowledge Government: Theory and Praxis: 53. 미소장
19 Perry, J. L. and Miller, T. K. (1991). The Senior Executive Service: Is It Improving Managerial Perform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November/December: 554-563. 미소장
20 Rhodes, R.A.W. (2000). Governa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Jon Pierre(ed.). Debating Governance: 54-90. 미소장
21 Rokeach, Milton. (1996). Attitude Change and Behavioral Change. Public Opinion Quarterly, 30(4). 미소장
22 Zifcak, Spencer. (1994). New Managerialism: Administrative Reform in Canberra,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92.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