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하천수 및 상하수도처리공정에서의 니트로사민류 조사 / 김경아 ; 노재순 ; 빈재훈 ; 김창원 1
Abstract 1
1. 서론 1
2. 연구방법 3
2.1. 채수방법 3
2.2. 전처리방법 3
2.3. 시험방법 3
3. 결과 및 고찰 3
3.1. 낙동강 수계 주요 지천에서의 니트로사민류 검출현황 조사 3
3.2. 낙동강 상류 하수처리장 조사 3
3.3. 정수장에서의 공정별 거동 조사 6
4. 결론 6
참고문헌 7
This study was investigated nine nitrosamines in small tributary rivers,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and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They are N-nitrosodimethylamine (NDMA), N-nitrosomethylethylamine (NMEA), N-nitrosodiethylamine (NDEA), N-nitrosopyrrolidine (NPYR), N-nitrosodi-n-propylamine (NDPA), N-nitrosomorpholine (NMOR), N-nitrosopiperidine (NPIP), N-nitrosodi-n-butylamine (NDBA) and N-nitrosodiphenylamine (NDPHA). The nine nitrosamin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SPE) with a coconut charcoal cartridge. Among the nine nitrosamines, NDMA, NMEA, NDEA, NDPA NDBA and NDPHA were detected in small tributary rivers and sewage tretment plants. In small tributary rivers, NDMA, NMEA, NDEA, NDPA, NDBA and NDPHA were obtained as ND~16.4 ng/L, ND~17.7 ng/L, ND~102.4 ng/L, ND~455.4 ng/L, ND~330.1 ng/L and ND~161.0 ng/L, respectively. Also NDMA, NMEA, NDEA, NDPA and NDBA were investigated ND~821.4 ng/L, 22.5~55.4 ng/L, 53.2~588.5 ng/L, ND~56.6 ng/L and ND~527.9 ng/L in STPs, respectively.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NMEA and NDEA concentration were increased to as high as 38.8 ng/L after ozonation process. However nitrosamines were decreased subsequent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treatment process. It was supposed that nitrosamines were formed by O3 oxidation and were removed by biodegradation of BAC.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처리기술에 근거한 산업폐수 배출허용기준 국내 적용성 연구 ,3 :국내 적용방안 및 사례 연구 :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시설 | 김경진 ;손대희 ;허진 ;김광인 ;김상훈 ;김재훈 ;염익태 | pp.377-386 |
|
보기 |
SWAT 모델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질관리 영향 평가 | 장재호 ;윤춘경 ;정광욱 ;김형철 | pp.387-398 |
|
보기 |
표준정수처리 파일럿에서 Cryptosporidium 유사체를 이용한 Cryptosporidium 제거효율 평가 | 박상정 ;정현미 ;최희진 ;전용성 ;김종민 ;김태승 ;정동일 | pp.399-405 |
|
보기 |
D 정수처리장에서 소독부산물 발생 및 종분포 특성 | 김성준 ;김종민 ;전용태 ;박종은 ;원찬희 | pp.406-412 |
|
보기 |
규사광산 지역의 강우시 비점오염원의 유출분석 | 최용훈 ;원철희 ;서지연 ;신민환 ;양희정 ;최중대 | pp.413-419 |
|
보기 |
Simple material budget modeling for a river-type reservoir | 윤성규 ;공동수 ;배우근 | pp.420-431 |
|
보기 |
LID/BMPs 효과분석을 위한 LIDMOD2 개발 | 전지홍 ;최동혁 ;나은혜 ;박찬기 ;김태동 | pp.432-438 |
|
보기 |
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에 의한 서낙동강 유역의 지속성 평가 | 김진이 ;박배경 ;이수웅 ;류덕희 | pp.439-445 |
|
보기 |
하천수 및 상하수도처리공정에서의 니트로사민류 조사 | 김경아 ;노재순 ;빈재훈 ;김창원 | pp.446-453 |
|
보기 |
망간코팅 여재를 이용한 수용액상의 망간 제거연구 | 김석준 ;김원기 ;이승목 ;양재규 | pp.454-459 |
|
보기 |
D 정수장 소독부산물 예측모델 선정 | 김성준 ;이형원 ;황정석 ;원찬희 | pp.460-467 |
|
보기 |
A/O공정에서 슬러지체류시간에 따른 인 방출 및 섭취속도와 비산소소비율과의 상관관계 | 최정수 ;이광현 ;주현종 ;김성철 | pp.468-473 |
|
보기 |
가행광산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서지연 ;신민환 ;원철희 ;최용훈 ;정명숙 ;임경재 ;최중대 | pp.474-481 |
|
보기 |
우리나라 기후 재현성을 중심으로 한 GCMs 평가 | 최대규 ;이진희 ;조덕준 ;김상단 | pp.482-490 |
|
보기 |
활성탄 물성에 따른 인 흡착의 동력학적 연구 | 서정범 ;강준원 | pp.491-496 |
|
보기 |
SATEEC과 USPED를 이용한 토양 유실량 산정 및 우선관리 유역 선정 평가 | 서일규 ;박윤식 ;김남원 ;문종필 ;류지철 ;옥용식 ;김기성 ;임경재 | pp.497-506 |
|
보기 |
활엽수림, 침엽수림 및 혼효림 지역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신민환 ;신동석 ;이재운 ;최재완 ;원철희 ;서지연 ;최용훈 ;최중대 | pp.507-517 |
|
보기 |
부영양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한 CROM 운영 및 유속의 영향 | 이주환 ;황순진 ;김백호 | pp.518-524 |
|
보기 |
수중입자의 표면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 오세진 ;김동수 | pp.525-531 |
|
보기 |
미계측 유역의 유출량 산정을 위한 합성단위도 개발 | 최용준 ;김주철 ;정동국 | pp.532-539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가환경정보센터(2009). http://www.konetic.or.kr/. | 미소장 |
2 | NDMA : 새로운 도전 | 소장 |
3 | Prediction and Comparison for the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 소장 |
4 | 미국 캘리포니아주 보건국(2009). http://www.cdph.ca.gov/. | 미소장 |
5 | 미국 캘리포니아주 환경보건 위해성 평가기관(2009). http://www. oehha.ca.gov/. | 미소장 |
6 | 미국 환경보호국(2009). http://www.epa.gov/. | 미소장 |
7 | 미국 환경보호국(2009). http://www.epa.gov/iris/subst/0045.htm/. | 미소장 |
8 | 세계보건기구(2009). http://www.who.int/. | 미소장 |
9 | 손미혜, 박희정, 신정혜, 성낙주(2004). 멸치젓갈의 인공소화시 N-Nitrosamine 생성과 돌연변이의 상관성. J. Korea. soc. Food. Sci. Nutr., 33(9), pp. 1560-1565. | 미소장 |
10 | Research Paper : Categorization of Hazard Chemicals Potentially Discharged into Water System | 소장 |
11 | 유이종(2008).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new disinfection by products: nitrosamines and emerging contaminants from the world largest MF/RO/UV plant. 다항목 동시수질분석 4개국 국제세미나 관련 자료집,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물 환경학회, pp. 139-156. | 미소장 |
12 | Andrzejewski, P., Kasprzyk-Hordern, B., and Nawrocki, J. (2005). The hazard of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during water disinfection with strong oxidants. Desalination, 176, pp. 7-45. | 미소장 |
13 | Andrzejewski, P., Kasprzyk-Hordern, B., and Nawrocki, J. (2007). The hazard of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during water disinfection with ozone. Water Res., submitted. | 미소장 |
14 | Andrzejewski, P. and Kulik, N. (2007). The hazard of Nnitrosamines formation during short chain secondary amines (DMA, MEA and DEA) reactions with catalyzed and non-catalyzed hydrogenperoxide. Proc. of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0CEST 2007), submitted. | 미소장 |
15 | Asami, M., Oya, M., and Kosaka, K. (2009). A nationwide survey of NDMA in raw and drinking water in Japa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 pp. 3540-3545. | 미소장 |
16 | Detecting N-nitrosamines in drinking water at nanogram per liter levels using ammonia positive chemical ionization. ![]() |
미소장 |
17 |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from reaction of monochloramine: a new disinfection by-product ![]() |
미소장 |
18 | Choi, J. and Valentine, R. L. (2003).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by free-chlorine-enhanced nitrosation of dimethylamine. Environ. Sci. Technol., 37, pp. 4871-4876. | 미소장 |
19 | Determination of volatile N-nitrosamines in sausages by HS-SPME-GC-TEA ![]() |
미소장 |
20 | Removal of N-nitrosodimethylamine from waters using physical-chemical techniques ![]() |
미소장 |
21 | Gavinelli, M., Fanelli, R, Bonfanti, M., Davoli, E., and Airoldi, L. (1988). Volatile nitrosamines in foods and beverages: preliminary survey of the Ita- lian market. Bull. Environ. Contam. Toxicol., 40, pp. 41-46. | 미소장 |
22 | Gerecke, A. C. and Sedlak, D. L. (2003). Precursors of N-nitrosodimethylamine in natural waters. Environ. Sci. Technol., 37, pp. 1331-1336. | 미소장 |
23 | Preformed N-nitroso compounds in foods and beverages. ![]() |
미소장 |
24 | Jobb, D. B., Hunsinger, R., Meresz, O., and Taguchi, V. Y. (1992). in Proceedings of the Fifth National Conference on Drinking Water, Winnipeg, Manitoba, Canada. | 미소장 |
25 | Occurrence and removal of N-nitrosamine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
미소장 |
26 | Lee, C., Schmidt, C., Yoon, J., and von Gunten, U. (2007). Oxid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precursors with ozone and chlorine dioxide: kinetics and effect on NDMA formation potential. Environ. Sci. Technol., 41, pp. 2056-2063. | 미소장 |
27 | Mitch, W. A. and Sedlak, D. L. (2002).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from dimethylamine during chlorination. Environ. Sci. Technol., 36, pp. 588-595. | 미소장 |
28 | N-Nitrosodimethylamine (NDMA) as a Drinking Water Contaminant: A Review ![]() |
미소장 |
29 | The Content of N-Nitrosamine in Import Fishes ![]() |
미소장 |
30 |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by ozonation of dyes and related compounds ![]() |
미소장 |
31 | Schmidt, C. K. and Brauch, H. J. (2008). N,N-Dimethylsulfamide as Precursor for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upon Ozonation and its Fate During Drinking Water Treatment. Environ. Sci. Technol., 42, pp. 6340-6346. | 미소장 |
32 | Schreiber, M. and Mitch, W. A. (2006). Nitrosamine Formation Pathway Revisited: The importance of chloramine speciation and dissolved oxygen. Environ. Sci. Technol., 40, pp. 6007-6014. | 미소장 |
33 | Sedlak, D. L., Deeb, R. A., Hawley, E. L., Mitch, W. A., Durbin, T. D., Mowbray, S., and Carr, S. (2005). Sources and fate of nitrosodimethylamine and its precursors in municipal wastewater tretment plants. Water Environ. Res., 77(1), pp. 32-39. | 미소장 |
34 | Spectrum Laboratories Inc. (2009). http://www.speclab.com/. | 미소장 |
35 | Tateishi, H., Kitamoto, Y., and Miyata, M. (2008). Occurrence and behaviour of N-nitrosodimethylamine(NDMA) in source water and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Proceedings of 59th annual conference of Japan Water Works Association, pp. 562-563(in Japanese). | 미소장 |
36 | Environmental exposure to preformed nitroso compounds. ![]() |
미소장 |
37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N-Nitrosodimethylamine in drinking-water. Background document for development of WHO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 미소장 |
38 | N-nitrosodimethylamine analysis in Estonian beer using positive-ion chemical ionization with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 |
미소장 |
39 | Formation of N-nitrosamines from eleven disinfection treatments of seven different surface water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