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국내의 하수슬러지 발생량은 1996년 129만톤/년에서

2007년에 274만톤/년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1,2]. 유기물

함량이 높은 하수슬러지는 부패 및 위생적인 측면에서 환경

적인 위해성이 높아 폐기물관리법에서 “하수슬러지의 직

매립을 금지하는 규정 (시행:2003년 7월 1일)”을 도입 [3]

하여 하수슬러지의 감량화 및 재이용을 유도하고 있다.

하수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는 1차 침전지

에서 농축된 활성슬러지와 소화공정을 거친 혐기성 슬러지

로서 구분된다. 하수슬러지는 농축, 소화 및 탈수공정을 거

쳐 처리되고 있으며, 탈수공정은 하수의 성상 및 슬러지의

생물학적인 구조에 개량조건이 달라지므로 경제적인 운전

이 쉽지 않다. 하수슬러지의 탈수효율은 원수 및 처리공정

의 운전방법에 따라 플럭 크기 및 형태 [4], F/M비 [5], 체외

고분자물질량 [6]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Bruus 등 (1993) [7]은 미생물 농도, 침강속도, 슬러지 부피

지수 (sludge volume index)과 같은 거시적인 요소보다 활

성슬러지의 비표면적이 탈수효율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Sorensen과 Wakeman (1996) [8]은

하수슬러지는 혐기성 보관시간에 따라 플럭 구조가 느슨해

지고 사상성 미생물이 증가되어 슬러지 플럭의 밀도가 낮

아져 침강성이 나빠지고 여과비저항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의 조성, 양이온 함량, 제타전위 및

pH의 변화에 따른 슬러지 탈수성을 비교하여 연관성을 제

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found that dewatering properties were related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sludge

concentration, pH, and zeta potential with sewage sludge. Ionic contents in digested sludge were in the order

of Ca2+ (14.2 mg/g) > Mg2+ (1.9 mg/g) > Na+ (1.4 mg/g) > K+ (1.0 mg/g). Divalent ion more than monovalent

have influenced on physico-chemical and dewatering properties. Floc size distribution in activated (AS) and

digested sludge (DS) increased on lower pH range to be near isoelectric point and than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SRF) decreased. A linear increase in SRF (5.25 × 1013~2.86 × 1014 m/kg in AS and 6.89 × 1014~

1.09 × 1015 m/kg in DS) was observed throughout low concentration range of 1230~9960 mg/L in AS and

2700~5400 mg/L in D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식물성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한 LCA 연구 현황 서봉국 ;송승구 pp.1-10

혈관내피세포에서 트롬빈이 TNF-α에 의해 유도되는 IL-6에 미치는 영향 배종섭 ;박문기 pp.11-17

가래나무 추출물의 미백효과 이계원 ;이주연 ;조영호 pp.18-24

E. coli 불활성화를 위한 단일 소독 공정의 비교 김동석 ;송승구 ;박영식 pp.25-32

복합 소독 공정을 이용한 E. coli 불활성화 김동석 ;박영식 pp.33-40

하수슬러지의 물리화학적인 조건에 따른 탈수 특성 이창한 ;안갑환 ;송승구 pp.41-46

Morphological changes by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for the mycelial optimal growth of Cordyceps sinensis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 of mycelium Hyung Joo Suh ;Jang Won Choi pp.47-54

In Vitro evaluation for antioxidant activities of culture broth of Tremella fuciformis Kyung Soo Ra ;Jang Won Choi pp.55-61

호기 조건에서 DPAOs (Denitrifying Phosphorus Accumulation Organisms)에 의한 인 제거 정노성 ;박영식 ;김동석 pp.62-66

활성슬러지 농도에 따른 광학밀도와 광원파장의 상관관계 김도한 ;이창한 ;왕보권 ;서정호 ;송승구 pp.67-72

생물학적 유류오염토양 복원제의 현장 적용성 평가 김수홍 ;송승구 ;서정호 pp.73-78

토양에서 분리한 Bacilus flexus로부터 Invertase의 생산 오태석 ;윤희 ;심예지 ;김진우 ;최민지 ;윤종원 pp.79-84

이온선택성 미소전극을 이용한 질산화 생물막내의 질소 이온의 농도 모니터링 선지윤 ;변임규 ;이태호 ;박태주 pp.85-90

과립제와 환제 및 현탁액으로 만들어진 생약제제의 중금속 농도 배종섭 ;박종필 ;김용웅 ;박문기 pp.91-96

티올키토산으로 피복된 EPA (Eicosapentaenoic acid) 함유 리포좀의 제조 및 아토피 감염 쥐에 대한 면역 특성 정효연 ;김진 ;이용욱 ;이기영 pp.97-102

개량된 이탄과 유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분해제 개발 김수홍 ;이창한 ;서정호 pp.103-107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Sewage Sludge Production http://www.me.go.kr/book/html/Wastes&Recycling/5-10.htm.(2007). 미소장
2 Kim, K. S. (2007) The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 of sludge disposal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J. of Kor. Soc. of Envi. Eng. 29: 8-16. 미소장
3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Environment Laws: Wastes & Recycling. Act No. 6627. 미소장
4 Karr, P. R. and T. Keinath (1978) Influence of particle size on sludge dewaterability. J. of WPCF. 50: 1911-1930. 미소장
5 Res 네이버 미소장
6 Liao, B. Q., D. G. Allen, I. G. Droppo, G. G. Leppard, and S. N. Liss (2001) Surface properties of sludge and their role in bioflocculation and settleability. Wat.Res. 35: 339-350. 미소장
7 Bruus, J. H., J. R. Christensen, and H. Rasmussen (1993) Anarobic storage of activated sludge:effects on conditioning and dewatering performance. Wat.Sci. Tech. 28: 109-116. 미소장
8 Res 네이버 미소장
9 Urbain, V., J. Manem, and J. C. Block (1993) Bioflocculation in activated sludge:an analytic approach. Wat. Res. 27: 829-838. 미소장
10 Higgins, M. J. and J. T. Novak (1997) The effect of cations on the settling and dewatering of activated sludges:laboratory results. Wat. Environ. Res. 69: 215-224. 미소장
11 Drozd, C. and J. Schwartzbrod (1996) Hydrophobic and electrostatic cell surface properties of Cryptosporidium parvum. Appl. Environ. Microbio. 62: 1227-123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