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국내의 하수슬러지 발생량은 1996년 129만톤/년에서
2007년에 274만톤/년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 [1,2]. 유기물
함량이 높은 하수슬러지는 부패 및 위생적인 측면에서 환경
적인 위해성이 높아 폐기물관리법에서 “하수슬러지의 직
매립을 금지하는 규정 (시행:2003년 7월 1일)”을 도입 [3]
하여 하수슬러지의 감량화 및 재이용을 유도하고 있다.
하수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는 1차 침전지
에서 농축된 활성슬러지와 소화공정을 거친 혐기성 슬러지
로서 구분된다. 하수슬러지는 농축, 소화 및 탈수공정을 거
쳐 처리되고 있으며, 탈수공정은 하수의 성상 및 슬러지의
생물학적인 구조에 개량조건이 달라지므로 경제적인 운전
이 쉽지 않다. 하수슬러지의 탈수효율은 원수 및 처리공정
의 운전방법에 따라 플럭 크기 및 형태 [4], F/M비 [5], 체외
고분자물질량 [6]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Bruus 등 (1993) [7]은 미생물 농도, 침강속도, 슬러지 부피
지수 (sludge volume index)과 같은 거시적인 요소보다 활
성슬러지의 비표면적이 탈수효율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Sorensen과 Wakeman (1996) [8]은
하수슬러지는 혐기성 보관시간에 따라 플럭 구조가 느슨해
지고 사상성 미생물이 증가되어 슬러지 플럭의 밀도가 낮
아져 침강성이 나빠지고 여과비저항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의 조성, 양이온 함량, 제타전위 및
pH의 변화에 따른 슬러지 탈수성을 비교하여 연관성을 제
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found that dewatering properties were related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sludge
concentration, pH, and zeta potential with sewage sludge. Ionic contents in digested sludge were in the order
of Ca2+ (14.2 mg/g) > Mg2+ (1.9 mg/g) > Na+ (1.4 mg/g) > K+ (1.0 mg/g). Divalent ion more than monovalent
have influenced on physico-chemical and dewatering properties. Floc size distribution in activated (AS) and
digested sludge (DS) increased on lower pH range to be near isoelectric point and than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SRF) decreased. A linear increase in SRF (5.25 × 1013~2.86 × 1014 m/kg in AS and 6.89 × 1014~
1.09 × 1015 m/kg in DS) was observed throughout low concentration range of 1230~9960 mg/L in AS and
2700~5400 mg/L in DS.*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