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유류에 의한 토양의 오염은 대부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류에 오염된 토양은 오염

물질의 휘발 및 분리에 의해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용해, 확산 등에 의해 지하수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유류에 의한 토양오염은 단지 토양오염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오염, 하천오염, 대기오염 등 다른 매개체로

오염물질이 이동하여 다양한 오염을 야기한다 [1].

유류오염은 크게 BTEXs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와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석유계 총탄

화수소)로 나눌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가솔린, 등유 및

경유 등과 같은 TPH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

유류오염토양의 처리기술은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분해

법, 토양경작법, 바이오파일법 등과 같은 생물학적 처리방

법과 토양세척법, 토양증기추출법, 용제추출법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법으로 나뉘지만 [3], 보다 효과적인 유류

오염토양의 처리를 위해 특정 유류분해 미생물을 사용하여

분해능을 증가시키거나 [4,5], 강산화제를 이용하여 유류

오염토양을 세척하기도 한다 [6].

유류오염토양을 경제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

으로 생물학적인 처리법을 많이 선택하나, 생물학적 처리

법은 처리 특성상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며, 처리

조건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류오염토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특정

오염유류에 적합한 미생물을 배양하여 최적의 상태로 유류

를 단기간에 분해하거나 [7,8], 혼합 균주를 사용하더라도

적당한 순화기간을 주어 오염에 적응된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방안이 고안되고 있다 [9].

생물학적 유류오염토양 처리법의 또 다른 단점 중 하나

는 실험실에서는 오염토양을 복원시키는 복원제가 쉽게 배

양되고 유류의 분해효율을 쉽게 검토해 볼 수 있지만, pilot

plant를 이용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복원제를 생산하고, 생산

된 복원제를 현장에 적용한 예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실험실에서의 조건과 현장의 적용 조건이 달라 처리효율이

현격히 차이나는 등 시판되는 생물학적 복원제의 효율이

제대로 검증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유류오염토양 복원제의

현장 적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처리 공정에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표준활성슬러지에서 발생되는 유기성 슬러

지와 개량이탄 (modified peat moss, MPM)을 사용하여

pilot plant에서 유류오염토양 복원제를 생산하고, 토양경

작법 (landfarming)을 이용하여 생산된 복원제의 현장 적

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생

물학적 토양 복원제의 활성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현장 적용성 실험에 따른 생물학적 및 유류화합물을 분석

하여 현장 실증실험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In this study, recovering agent was produced with organic sludge and modified peat moss (MPM) in pilot plant

mixer to recover oil contaminated soil, and field test of it was estimated using landfarming method. Oil

contaminated soil recovering agent was thought to contain more microorganisms than raw waste sludge and

was no problem to come onto the market because there were not any items of specified wast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PH variation with time, it was observed the initial degradation velocity of oil with produced

recovering agent was rapid up to 50% after 4 days, remarkably. Because the microorganisms in the organic

sludge discharged from chemical plant already acclimated with oil, therefore, it could be estimated initial

degradation velocity of recovering agent might be rapid. It was concluded that the oil contaminated soil

recovering agent produced in this study have high marketability because of its two aspects on recycling of

wastes and initial rapid degradation capac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식물성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한 LCA 연구 현황 서봉국 ;송승구 pp.1-10

혈관내피세포에서 트롬빈이 TNF-α에 의해 유도되는 IL-6에 미치는 영향 배종섭 ;박문기 pp.11-17

가래나무 추출물의 미백효과 이계원 ;이주연 ;조영호 pp.18-24

E. coli 불활성화를 위한 단일 소독 공정의 비교 김동석 ;송승구 ;박영식 pp.25-32

복합 소독 공정을 이용한 E. coli 불활성화 김동석 ;박영식 pp.33-40

하수슬러지의 물리화학적인 조건에 따른 탈수 특성 이창한 ;안갑환 ;송승구 pp.41-46

Morphological changes by submerged culture conditions for the mycelial optimal growth of Cordyceps sinensis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 of mycelium Hyung Joo Suh ;Jang Won Choi pp.47-54

In Vitro evaluation for antioxidant activities of culture broth of Tremella fuciformis Kyung Soo Ra ;Jang Won Choi pp.55-61

호기 조건에서 DPAOs (Denitrifying Phosphorus Accumulation Organisms)에 의한 인 제거 정노성 ;박영식 ;김동석 pp.62-66

활성슬러지 농도에 따른 광학밀도와 광원파장의 상관관계 김도한 ;이창한 ;왕보권 ;서정호 ;송승구 pp.67-72

생물학적 유류오염토양 복원제의 현장 적용성 평가 김수홍 ;송승구 ;서정호 pp.73-78

토양에서 분리한 Bacilus flexus로부터 Invertase의 생산 오태석 ;윤희 ;심예지 ;김진우 ;최민지 ;윤종원 pp.79-84

이온선택성 미소전극을 이용한 질산화 생물막내의 질소 이온의 농도 모니터링 선지윤 ;변임규 ;이태호 ;박태주 pp.85-90

과립제와 환제 및 현탁액으로 만들어진 생약제제의 중금속 농도 배종섭 ;박종필 ;김용웅 ;박문기 pp.91-96

티올키토산으로 피복된 EPA (Eicosapentaenoic acid) 함유 리포좀의 제조 및 아토피 감염 쥐에 대한 면역 특성 정효연 ;김진 ;이용욱 ;이기영 pp.97-102

개량된 이탄과 유기성 슬러지를 이용한 유류오염토양 분해제 개발 김수홍 ;이창한 ;서정호 pp.103-107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oi, S. I., G. T. Lee, and J. G. Yang (2009) Introduction to Soil Pollution Management and Recovery. pp. 18-22. Donghwa Tech., Seoul, Korea. 미소장
2 ENVIRONMENT® 2001 Annual Index 네이버 미소장
3 Kwak, M. Y. (2007) Prospect and present status of soil environmental remediation industry. Korean J. Environ. Eng. 29: 271-274. 미소장
4 Palitt, M., P. Poketh, E. S. Upatham, and L. Tangban (1998) Biodegradation of crude-oil by soil-microorganisms in the tropic. Biodegradation 9: 83-90. 미소장
5 Hong, S. C., G. J. Kim, S. W. Lee, S. H. Chae, S. T. Oh, C. H. Lee, and Y. Y. Chang (2008), Application of in-situ thermal desorption coupled with thermophilic hydrocarbon-degradable microbial consortia for the remediation of hydrocarbon-contaminated Soils. Korean J. Waste Man. 25: 484-491. 미소장
6 Hwang, J. H., W. J. Choi, M. C. Kim, J. H. Jung, S. H. Ha, and K. J. Oh (2008) A study on soil washing for diesel-contaminated soil by using decomposition of NaOH/H2O2. Korean J. Environ. Eng. 30: 999-1005. 미소장
7 Biotechnology in Turkey: an overview. 네이버 미소장
8 Biotechnological studies in the Far-Eastern Region of Russia. 네이버 미소장
9 Wu, Y., Y. Luo, D. Zou, W. Liu, Y. Teng, and Z. Li (2008) Bioremedi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contaminated soil with Monilinia sp.: degrad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Biodegradation 19: 247-257. 미소장
10 Biotechnology Journal 10/2010 네이버 미소장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Water Pollution Standard Test 2008-99. 미소장